닫기
전체서비스
전체기사
주식
채권
외환
국제경제
국내경제
부동산
원자재
가상자산
칼럼
닫기
검색
Updated : 2025-07-04 (금)
회원가입
로그인
메뉴
검색
페이스북
네이버
유튜브
부동산
KB기준 서울 아파트 매맷값 한주간 0.08% 오르며 상승폭 확대...전셋값도 0.1% 올라 상승폭 키워
KB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이 상승폭을 확대했다. 25일 국민은행의 월요일(21일) 기준 '주간주택시장동향'에 따르면 KB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은 0.08% 상승했다. 지난주 57주(대략 1년 2개월)만에 처음으로 상승 전환(...
2023-08-25
9월 첫주 벽계원 이슈 해결 여부 주목..중국 당국 선택 주시 - DB금투
DB금융투자는 25일 "9월 첫재주 벽계원 이슈 해결 여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선영 연구원은 "채무상환 만기까지 자생적으로 부동산 판매가 호전돼 자금이 융통되긴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2023-08-25
통화정책 핵심변수, 단기적으로는 환율·중장기적으로는 집값 - DB금투
DB금융투자는 24일 "향후 통화정책 핵심 변수는 단기적으로는 환율, 중장기적으로는 집값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홍철 연구원은 "환율은 1300원대 중반이 기술적 분기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연구원은 "환...
2023-08-24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한국 금리 'higher for longer'의 또 다른 이유는 부동산의 다른 이름 '가계부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금리를 더 올릴 수 있다'는 메시지를 반복하는 선에서 금통위 이벤트를 갈무리했다. 이날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이자율 시장 대다수의 전망대로 만장일치 동결하면서 기준금리는 지난 번...
2023-08-24
中 부동산 사태, 시스템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 제한적...금융기관 손익 익스포저도 제한적 - 신한證
신한투자증권은 23일 "중국 부동산 위기가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신승웅 연구원은 " 중국 부동산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경계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일각에서 중국판...
2023-08-23
中 당국, '질서 있는 파산' 통해 위기감 낮춰갈 것...투자심리 호전에 상당한 시간 필요 - 대신證
대신증권은 21일 "중국 정부는 과거와 달리 부동산 기업 지원을 위한 대규모 경기부양 정책은 배제하고 부동산 개발업체의 부도 위기가 금융기관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선에서 정책적 노력을 쏟아부을 것"이라...
2023-08-21
[표] 중국 20대 부동산 디벨로퍼 상반기 순이익과 부도 현황
2023-08-21
중국판 리먼사태 가능성 별로없어..토지재정 기반 성장모델 한계 드러나 장기 저성장 가능성↑- 메리츠證
메리츠증권은 21일 "중국판 리만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은 별로 없다"고 진단했다. 최설화 연구원은 "중국 부동산 경기 부진이 지속되면서 디벨로퍼의 부도는 물론 토지양도수입에 기반하는 LGFV의 신용 위험도 높아지...
2023-08-21
中, 대차대조표 불황 진입 가능성 커지 않아...부동산 우려로 성장세 약화는 가능 - 국금센터
국제금융센터는 18일 "중국의 대차대조표 불황 진입 가능성은 크지 않으나 부동산 경기 위축 우려가 확대될 경우 성장세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금센터는 "중국 내 기업의 차입 축소 및 가계의 대출 ...
2023-08-18
KB기준 서울아파트 주간매매가격 57주 만에 상승 전환...서울·경기, 매매·전세 모두 상승 흐름으로 바뀌어
KB기준 서울 아파트 주간매매가격이 상승세로 전환했다. 2달 남짓전 한국부동산원이 서울 아파트 매맷값을 상승 전환시킨 뒤 표본이 부동산원에 비해 훨씬 큰 KB 데이터도 상승 전환한 것이다. KB는 작년 7월 11월 이...
2023-08-18
中, 부동산 반등 못하면 경기 추가 위축...당국 적극 개입 없으면 부동산 디폴트 우려 지속 - 신한證
신한투자증권은 18일 "실물경기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국 부동산 시장이 반등하지 못하면 중국 경기의 추가 위축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신승웅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부재할 경우 부동산...
2023-08-18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벽계원 채권 이자 미지급이 키운 中 부동산 우려
중국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위기가 이어지면서 이 파장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벽계원(碧桂園, 비구이위안, 컨트리가든), 중융국제신탁(中融, 중룽)과 같은 유명 업체들이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면서 이 여파에...
2023-08-17
[자료] 김소영 "부동산PF 관련 증권사NCR 제도, 대출‧보증 등 자금공급 형태 아닌 사업장 실질 리스크 반영토록 개선"
* 17일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기자간담회 발언 Ⅰ. 자본시장 분야 주요 정책성과 □ 이번 정부는 역대 어느 정부 보다 많은 자본시장 분야 과제를 국정과제에 포함하여 자본시장 발전을 위한 노력을 적극 추진...
2023-08-17
(상보) '파산 위기' 中컨트리가든 "채권 상환에 불확실성 커" - 블룸버그
'파산 위기'에 빠진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인 컨트리가든이 "채권 상환에 불확실성이 크다"는 경고를 했다고 블룸버그가 16일 보도했다.컨트리가든은 상하이증권거래소 공시에서 "에버그란데보다 4배에 가까운 프로젝...
2023-08-17
(상보) 미 7월 신규주택 착공 전월비 3.9% 늘며 예상 1.1% 증가 상회
미국 지난 7월 신규주택 착공 증가세가 예상을 상회했다. 16일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7월 신규주택 착공 건수는 전월 대비 3.9% 늘어난 연율 145만2000채를 기록했다. 이는 예상치인 1.1% 증가를 상회하는 결...
2023-08-17
中 부동산 부진으로 성장률 최대 1%P 낮아질 가능성...사회불만 확산 가능성도 - 국금센터
국제금융센터는 16일 "중국 부동산 시장 부진이 장기화될 경우 경기하방 압력이 커질 뿐 아니라 부동산세 도입 등 구조개혁까지 지연되면서 사회불만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국금센터는 "올해 중국 성장...
2023-08-16
中, 소비와 부동산 부진 두드러져...집 팔지 않으면 집 짓기 어려운 상황 - 메리츠證
메리츠증권은 16일 "중국의 7월 실물지표가 일제히 시장 예상치를 하회한 가운데 소비와 부동산 부진이 두드러진다"고 진단했다. 중국의 7월 실질 산업생산과 명목 소매판매/고정자산투자(YTD)는 각각 3.7%, 2.5%, 3...
2023-08-16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장태민 칼럼
(장태민 칼럼) 빚 탕감 논란과 감성 경제학
(장태민 칼럼) 여당 최고위원의 한은 총재 맹비난
(장태민 칼럼) 나토정상회의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고용지표, 7월 FOMC 금리인하 기대감 삭제...9월 기대감은 삭제 못해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추경, 소비쿠폰·지역화폐 강력 옹호자가 된 신임 기재차관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서울 아파트 폭등에 긴급히 나온 대출 규제
김형호의 채권산책
[김형호의 채권산책] 지금은 KTB보다 UST(H)에 투자할 때
우리나라와 미국의 Macro지표가 추가적인 금리하락을 가리키고 있다.우리나라는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로 물가...
[김형호의 채권산책] 엔켐14CB를 어떻게 할 것인가?
2024.11.29일 발행한 엔켐14CB의 장내시장 가격이 7,000원대로 하락했다. 2025.6.20일 종가는 7,438원으로 채권가격으...
[김형호의 채권산책] 견해 차이
30년물 미국국채 금리가 5%내외에서 거래되고 있어 채권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다. 필자는 투자일임고객 대상 설명회 외...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독립기념일 휴장 속 고용·테슬라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6월 30일~7월 4일) 뉴욕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지속할지 주목된다. 중동 긴장이 완화하고 미국 백악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美CPI·미중협상·애플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9~13일) 뉴욕주식시장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재개 등에 주목할 전망...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관세전쟁 재점화 속 PCE·엔비디아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26~30일) 뉴욕주식시장이 관세전쟁 재점화와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엔비디아 실적 등에 주목...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집요한 압박 속 파월 7월 금리인하 가능성도 거론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中 디플레 우려 속 하반기 경기 부양 속도 빨라질 듯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머스크 내친 트럼프..'권력 수단화' 본격 행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