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서비스
전체기사
주식
채권
외환
국제경제
부동산
원자재
가상자산
칼럼
닫기
검색
Updated : 2023-02-08 (수)
회원가입
로그인
메뉴
검색
페이스북
네이버
유튜브
원자재
(상보)[원자재-종합]WTI 4% 상승...아람코 亞 공급가격 인상
7일(현지시간)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 가격이 4% 넘게 상승, 배럴당 77달러 대로 올라섰다. 이틀 연속 올랐다. 전 거래일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인 아람코가 아시아에 대한 3월 공급 가격을 예상과 달...
2023-02-08
(속보) 금값 5.30달러(0.28%) 오른 온스당 1884.80달러...달러 약세 덕분
2023-02-08
(속보) WTI 3.03달러(4.09%) 상승한 배럴당 77.14달러...아람코 亞 공급가격 인상
2023-02-08
(상보) 미국, 러産 알루미늄에 '200% 관세' 부과 준비중 - 블룸버그
미국이 빠르면 이번주에 러시아산 알루미늄에 관세를 200% 부과하는 것을 준비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7일 보도했다. 한 관계자는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아직까지는 공식적인 승인을 하지는 않았다. 다만 미 정부내...
2023-02-07
(상보)[원자재-종합]WTI 1% 상승...반발 매수세 속 中 수요회복 기대
6일(현지시간)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 가격이 1% 상승, 배럴당 74달러 대로 올라섰다. 나흘 만에 반등했다. 터키 터미널 가동 중단과 중국 수요회복 기대, 최근 낙폭 과대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가 상승을...
2023-02-07
(속보) 미국, 러産 알루미늄에 '200% 관세' 부과 준비중 - 블룸버그
2023-02-07
(속보) 금값 2.90달러(0.15%) 오른 온스당 1879.50달러...최근 급락 후 반발 매수세
2023-02-07
(속보) WTI 72센트(0.98%) 오른 배럴당 74.11달러...반발 매수세 속 中 수요회복 기대
2023-02-07
원유시장, 對러시아 제재 이후 달라지고 있어 - 대신證
대신증권은 6일 "러시아 제재 이후 원유시장이 달라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2월 5일 이후 EU와 G7 등이 러시아산 정제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를 시행한다. 유럽 27개국들의 대사들은 디젤과 같은 고급 정제품에 ...
2023-02-06
(상보)[원자재-종합]WTI 3.3% 하락...고용호조 속 긴축 우려
3일(현지시간)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 가격이 3.3% 하락, 배럴당 73달러 대로 내려섰다. 사흘 연속 내린 것이다. 미 고용지표 호조에 따른 긴축 지속 우려가 유가를 압박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WT...
2023-02-06
(상보)[원자재-종합]WTI 0.7% 하락...달러 강세에 압박
2일(현지시간)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 가격이 0.7% 하락, 배럴당 75달러 대로 내려섰다. 이틀 연속 내린 것이다. 유럽중앙은행(ECB)의 비둘기파적 메시지 속에 달러인덱스가 오르자 하방 압력을 받았다. 뉴욕...
2023-02-03
(속보) WTI 53센트(0.69%) 하락한 배럴당 75.88달러...달러 강세에 압박
2023-02-03
(속보) 금값 12달러(0.62%) 내린 온스당 1930.80달러...유로 약세 속 달러 강세
2023-02-03
(속보) OPEC+ 감시위, 회원국에 일평균 200만배럴 감산 유지 권고
2023-02-02
(상보)[원자재-종합]WTI 3% 급락...주간 원유재고 급증
1일(현지시간)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 가격이 3% 넘게 급락, 배럴당 76달러 대로 내려섰다. 하루 만에 반락한 것이다. 미 주간 원유재고가 예상과 달리 급증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
2023-02-02
(속보) WTI 2.46달러(3.12%) 낮아진 배럴당 76.41달러...주간 원유재고 급증
2023-02-02
(속보) 금값 2.50달러(0.13%) 내린 온스당 1942.80달러...FOMC 발표 앞두고 압박
2023-02-02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장태민 칼럼
(장태민 칼럼) 난방비 논란과 추경 중독
(장태민 칼럼) 인상사이클 끝 지점에서 확인하는 유동성
(장태민 칼럼) 중앙은행과 싸우는 채권시장(2)
(장태민 칼럼) 중앙은행과 싸우는 채권시장
(장태민 칼럼) 서울 평균인 재산 7억원..23년에도 개최되는 부동산표 '오징어 게임'
(장태민 칼럼) 흥국 콜옵션 사건이 남긴 의혹과 환율
(장태민 칼럼) '강성' 비둘기파 출신 KDI 원장
(장태민 칼럼) 국민연금 투자 손실, 부진과 선방 사이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22년 경상수지 성적표...그리고 23년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美고용지표 여파 후...채권투자자들 금리 되돌림 한계에 '이구동성'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놀라운 美고용지표, 통화정책 전망 흔들며 시장금리 되돌림 견인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기준금리 밑도는 CD금리...시장금리 급락속 자금집행 미룬 여파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연준·ECB·BOE의 변화와 이자율 시장의 맹공...중앙은행업자들 경고발언 귀에 안 들어와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파월의 디스인플레이션 시대 선언과 한국 채권시장의 점잖은 반응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금통위 내 강해진 비둘기파 목소리...그리고 금통위 의장을 압박하는 고민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IMF, 주요 선진·신흥국 성장 전망 올리면서 한국은 하향...韓 전망은 여전히 '악화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