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4-05-18 (토)

中 부동산 사태, 시스템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 제한적...금융기관 손익 익스포저도 제한적 - 신한證

  • 입력 2023-08-23 08:30
  • 장태민 기자
댓글
0
[뉴스콤 장태민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23일 "중국 부동산 위기가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신승웅 연구원은 " 중국 부동산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경계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일각에서 중국판 리먼 사태를 논하기도 하지만 중국은 문제의 단초가 됐던 부동산 관련 파생상품(MBS)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했다.

금융기관의 손익 익스포저도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은행권 대출의 부동산 디벨로퍼 익스포저는 5.7%에 불과하며 상업은행 NPL 비율도 1.6%로 양호한 수준이라고 했다.

중국 부동산 회사채 잔액 7,589억달러(약 1,015조원) 중 75.1%가 위안화 채권이라고 밝혔다. 대부분을 자국에서 조달했기 때문에 시스템 위기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다.

향후 중국 정부의 정책 대응과 관련해선 다양한 시각이 혼재한다.

신 연구원은 대응 시나리오와 관련해 △ 자산매각 통한 자구적 정상화 방안 △ 정부 미개입 및 시장 통한 청산 △ 중앙정부의 적극적 구제금융을 통한 위험통제 등을 거론했다.

그는 "이 시나리오 중 첫 번째 시나리오 확률이 높다. 이는 헝다와 유사한 형태로 벽계원의 비교적 양호한 재무 상태를 고려하면 지방정부 TF를 활용해 자구적 정상화를 유도할 공산이 크다"고 했다.

주식시장과 관련해선 "현재 상해종합지수의 12개월 선행 PER은 10.4배로 부담 없는 레벨이지만 부동산 리스크는 상방을 제약하는 요인"이라며 "경제성장률과 소비 회복 눈높이를 낮춘다는 측면에서도 달갑지 않다"고 했다.

지금은 정부 대응을 주시하며 관련 리스크에 대한 경계감도 필요하다고 짚었다.

■ 중국 부동산 사태 냉정하게 봐야....정부 리스크 통제 나설 것

작금의 중국 부동산 위기는 강력한 디레버리징 정책에서 비롯됐다.

2020년 말 중국 정부는 ‘3대 레드라인’ 도입으로 부동산 업계 부채 총량 제어를 위한 선제적 체질 개선에 나섰다.

이후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부동산 침체 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졌고 이 과정에서 자금경색에 빠진 디벨로퍼들이 부도 위기에 처한 것이다.

신 연구원은 "업황 회복이 요원한 가운데 디벨로퍼들의 위안화 채권 만기 도래 시점이 내년 상반기까지 집중돼 있어 아직 넘겨야 할 고비가 남았다"면서 "벽계원 채무불이행 위기도 온전히 해소되지 않아 연말까지 불안 심리는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확실한 점은 7월 정치국회의 기점으로 부동산 문제를 바라보는 정부 시각이 바꾼 부분이라고 했다.

신 연구원은 "‘방주불초’ 문구를 삭제해 그간 통제해왔던 1선도시까지 규제를 완화할 개연성이 생겼고, 낮은 확률이지만 디벨로퍼들에 대한 대출 문턱을 낮춰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는 부동산 성수기인 9~10월까지 지준율 인하, 선수금 납부율 인하, 감세 등 동원 가능한 정책 수단을 통해 수요 회복에 만전을 다할 공산이 크다"면서 "연초 이후 누적된 정책 효과까지 감안해 올해 4분기~내년 1분기 중 업황 반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 기간 정부는 디벨로퍼 부실에 대해선 적극적인 개입보다 중재자 역할로써 기업들이 자구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고, 질서있는 파산을 유도해 리스크를 통제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자료: 신한투자증권

자료: 신한투자증권

이미지 확대보기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