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서비스
전체기사
주식
채권
외환
국제경제
국내경제
부동산
원자재
가상자산
칼럼
닫기
검색
Updated : 2025-07-15 (화)
회원가입
로그인
메뉴
검색
페이스북
네이버
유튜브
일주일동안 팝업 닫기
팝업 닫기
PICK NEWS
[채권-마감] 금리 상승폭 확대해 10년 중심 큰폭 상승...국고채 금리 2.1~5.7bp↑
PICK NEWS
[외환-마감] 달러지수 오름세 속 1380원 초반대로 상승
PICK NEWS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정책금리 인하와 금융소비자 불만 자극하는 예대금리차
PICK NEWS
(상보) 중국 6월 수출 전년비 +5.8%로 예상치(5.0%) 상회
주식
(속보) 다우 0.2%↑ S&P 0.1%↑ 나스닥 0.3%↑…관세후퇴 기대 속 CPI 대기
(속보) 엔비디아 0.5% 내리자 반도체지수도 0.9% 하락
‘트럼프-시진핑 회담 기대’ 亞주식 상승, 코스피 0.6%↑
‘트럼프-시진핑 회담 기대’ 亞증시 상승, 코스피 0.5%↑
아시아 주요국 주가지수들이 14일 오전 대부분 오르고 있다. 오늘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를 시작으로 미국 2분기 어...
주식 콘텐츠 더보기
채권
채권-마감
금리 상승폭 확대해 10년 중심 큰폭 상승...국고채 금리 2.1~5.7bp↑
배경훈 과기장관 후보 "소버린 AI 없으면 빠르게 변하는 글로벌 패권시대에 무기 가져갈 수 없어. 한국서 소버린 AI 누구나 쓸 수 있는 환경 내년 안엔 만들어져야"
조국 이해민(구글 출신) "소버린 AI와 산업차원의 AI 발전 투트랙 필요하다고 봤다. 현 정부는 소버린 AI 쪽인 듯하다. 성공이 쉽진 않아 보여"
우리 AI 기술 수준으로 3강에 들어갈 수 있는가? 배경훈 과기장관 후보 "많은 기업들이 주목할 만한 AI에 도점 중. 정부가 마중물 역할 충실히 하면..."
채권 콘텐츠 더보기
외환
외환-마감
달러지수 오름세 속 1380원 초반대로 상승
외환-오후
달러지수 강세 속 1370원 후반대 소폭 상승
미국 정부 장기금리 하향 안정 가져올 것...관세는 결국 디플레 압력 가해 - DB證
외환-개장
美관세 우려 속 달러지수 0.2%↑..1370원 중후반대 시작
외환 콘텐츠 더보기
국제경제
(속보) 연준 해맥 “美기준금리, 중립금리 수준에 꽤 가까워”
(속보) 트럼프 “관세서한이 무역협정 마무리한 것...대화는 열려 있다”
(상보) 중국 6월 수출 전년비 +5.8%로 예상치(5.0%) 상회
(속보) NYT "한국, 일본 주도 CPTPP 가입할 가능성"
국제경제 콘텐츠 더보기
국내경제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정책금리 인하와 금융소비자 불만 자극하는 예대금리차
[자료] 김병기 "이재명정부 60% 넘는 국정 지지도 속 기대 커"...송언석 "이재명정부 대출규제, 왜곡된 금리구조 악화시켜 서민 이자부담 확대"
* 25년 7월 14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일하는 정부, 이재명정부가...
(속보) NYT "한국, 일본 주도 CPTPP 가입할 가능성"
[자료] 이언주 "중국발 과잉생산 따른 물량 밀어내기 굉장히 심각"...송언석 "즉흥적인 돈 풀기 경제체질 약화시키고 미래세대에 빚 떠넘겨"
* 11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재난적 폭염입니다. 국민의 건강과 재...
국내경제 콘텐츠 더보기
부동산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정책금리 인하와 금융소비자 불만 자극하는 예대금리차
국토장관 후보에 김윤덕 민주당 의원 지명
(장태민 칼럼) 이창용의 서울부동산 숙제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부동산 경계감 드러낸 금통위...크게 매파적으로 느껴지지 않았던 이유
부동산 콘텐츠 더보기
원자재
(속보) WTI 1.47달러(2.15%) 하락한 배럴당 66.98달러...러 즉각적 제재 우려 감소
OPEC+ 증산 효과 반영엔 시차 있어...3분기말~4분기초 공급발 유가 하방 압력 확대 예상 - 신한證
원자재시장 농산물 섹터는 상승 반전 동력 부재 - NH證
(상보)[뉴욕-원유]WTI 2.8% 상승...트럼프, 러 제재 가능성
11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 가격이 2.8% 상승, 배럴당 68달러 대로 올라섰다. 도널드 트럼프...
원자재 콘텐츠 더보기
가상자산
'크립토위크' 기대 속 암호화폐 강세..비트코인 2.7%↑
(속보) '크립토위크' 기대...비트코인, 한때 11만9천$ 돌파 사상최고 경신
지속된 매수세 속 암호화폐 강세..비트코인 5.1%↑
(속보) 비트코인, 11만6000불 돌파…사상 최고 경신
가상자산 콘텐츠 더보기
장태민 칼럼
(장태민 칼럼) 진성준의 트럼프 향한 사자후
(장태민 칼럼) 이창용의 서울부동산 숙제
(장태민 칼럼) 이재명 정부 '1번' 부동산 대책
(장태민 칼럼) 빚 탕감 논란과 감성 경제학
(장태민 칼럼) 여당 최고위원의 한은 총재 맹비난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정책금리 인하와 금융소비자 불만 자극하는 예대금리차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부동산 경계감 드러낸 금통위...크게 매파적으로 느껴지지 않았던 이유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금리인하 시점과 강도 좌우하는 부동산...'퐁당퐁당 인하' VS '4분기 이후...'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트럼프, 스트롱맨 혹은 치킨...한국 3주간 '협상 본게임'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확정된 2차 추경 규모...채권수급과 경기에 미칠 영향은
김형호의 채권산책
[김형호의 채권산책] Averaging Down (물타기)
채권과 주식의 Trading전략(매매전략)은 크게 Contrarian전략과 Momentum전략으로 나눌 수 있다. 투자관련 책에서 Con...
[김형호의 채권산책] CB의 Put Option 행사
2025년 상반기 KOSPI 200 지수가 약30% 상승했다. (317.82 → 414.60, +30%)외국인 투자자는 2025.5월에 국내주식을 2...
[김형호의 채권산책] 지금은 KTB보다 UST(H)에 투자할 때
우리나라와 미국의 Macro지표가 추가적인 금리하락을 가리키고 있다.우리나라는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로 물가...
[김형호의 채권산책] 엔켐14CB를 어떻게 할 것인가?
2024.11.29일 발행한 엔켐14CB의 장내시장 가격이 7,000원대로 하락했다. 2025.6.20일 종가는 7,438원으로 채권가격으...
[김형호의 채권산책] 견해 차이
30년물 미국국채 금리가 5%내외에서 거래되고 있어 채권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다. 필자는 투자일임고객 대상 설명회 외...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어닝·CPI·관세 여파 주시
뉴욕주식시장이 기로에 선 가운데, 이번 주(현지시간 14일~18일) 관세 여파와 실적, 소비자물가 등을 주시할 전망이다...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독립기념일 휴장 속 고용·테슬라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6월 30일~7월 4일) 뉴욕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지속할지 주목된다. 중동 긴장이 완화하고 미국 백악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美CPI·미중협상·애플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9~13일) 뉴욕주식시장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재개 등에 주목할 전망...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관세전쟁 재점화 속 PCE·엔비디아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26~30일) 뉴욕주식시장이 관세전쟁 재점화와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엔비디아 실적 등에 주목...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美中협상·CPI·소매판매 촉각
이번 주(현지시간 12~16일) 뉴욕주식시장이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과 소비자물가, 소매판매 등을 주시할 전망이다. ...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유예 3주 연장 속 14개국에 협상 타결 압박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집요한 압박 속 파월 7월 금리인하 가능성도 거론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中 디플레 우려 속 하반기 경기 부양 속도 빨라질 듯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머스크 내친 트럼프..'권력 수단화' 본격 행보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파죽지세' 비트코인 11만불 돌파...사상 최고 경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