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4-05-15 (수)

미국 대선, 구조적 강달러 요인 우세...트럼프, 바이든 당선자 따라 속도는 차별화 - 신한證

  • 입력 2024-03-13 15:31
  • 장태민 기자
댓글
0
[뉴스콤 장태민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13일 "구조적인 강 달러가 우세한 가운데 미국 대선에서 어떤 후보가 당선되는지에 따라 속도가 차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찬희 연구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경한 보호무역주의는 경상적자 축소를 돕는 강달러 요인이나 화석연료 친화적인 정책 기조는 단기적으로 물가와 함께 높아진 긴축 경계를 누그러뜨릴 약달러 요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확장적 재정정책 역시 송환세 인하에 따른 이익잉여금 환류 가능성 등을 감안하면 일방적 약세 요인으로 보긴 어렵다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바이든 대통령은 다자주의 기조 하에 온건한 통상정책을 펼치지만 공급망 재편 등 구조적 변화는 지속해 완만한 강 달러를 뒷받침한다"면서 "친환경 정책 기조 역시 에너지 수급 차질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자극해 강 달러 요인"이라고 밝혔다.

다만 인플레이션 부담에 원유 생산 확대를 용인하는 등 친환경 전환 속도 조절 움직임을 보여 일방적인 강세 요인으로 보긴 어렵다고 평가했다. 확장적인 재정정책 기조는 약 달러 요인에 가깝다고 해석했다.

양 후보 당선 시나리오 모두 정책 요인이 부분적으로 상쇄되는 가운데 구조적인 강세 요인이 우세하다는 것이다.

미국 주도의 공급망 재편 그리고 빅테크 기업들이 주도하는 AI 산업 트렌드를 감안하면 구조적으로 달러화 자산을 배치하기 위한 수요는 꾸준히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 시, 극단적 자국우선주의 정책에 의해 강 달러가 심화될 가능성이 높고, 비교적 온건한 바이든이 당선될 경우 완만한 강세가 예상된다는 것이다.

국내 통화가치 역시 미국 대선 결과에 상당 부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은 2010년대 중반부터 달러화지수 연동성이 매우 높아졌다. 대외건전성 개선으로 원화의 변동성이 줄어들었고 미국 주도의 공급망 재편과 산업 패러다임 변화 속에 대미국 익스포저를 크게 확대한 영향"이라고 밝혔다.

그는 "구조적인 달러화의 Level-up과 발맞춰 원/달러 환율 역시 1,200~1,400원대로 범위가 상향됐다"면서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 등은 원화 가치에 영향을 미칠 제3의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동맹을 바탕으로 한 협력을 중시하기에 재집권 시 지금과 동일한 상황이 유지되겠으나, 트럼프가 당선될 경우 한국의 지정학적 위험이 확대돼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에 근거한 고립주의를 우선시해 군사 동맹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단순히 주한 미군에 대한 분담금 확대 등에 그칠 경우 한국의 위험프리미엄이 확대되진 않겠지만, 미군 철수 등 안보 여건에 유의미한 변화가 생긴다면 자금 유출 압력이 생각보다 크게 확대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트럼프와 바이든, 승자에 따른 통상정책, 산업정책, 재정정책이 달러에 미칠 영향은

트럼프 전 대통령은 보호무역주의를 지향한다.

2018년 중국과의 무역전쟁을 본격화하면서 0%대의 대중국 관세를 2년에 걸쳐 20% 내외까지 끌어올렸다. 뿐만 아니라 유럽 등 우방국에 대해서도 반복적으로 압박을 가했다.

그 결과 트럼프 재임기간 경상적자는 글로벌 공급망(Global Value Chain) 체제가 자리잡은 2000년대 이후 가장 낮은 2% 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다. 재화와 서비스 등 경상거래를 통한 달러화 유출을 제한해 달러화 가치 상승을 뒷받침했다.

김 연구원은 "트럼프가 당선될 경우 대중국 관세 상향을 넘어 모든 국가들에 대해 10% 보편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제기된다"면서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정책은 경상거래를 통한 달러화 유출을 통제해 강 달러를 뒷받침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관세 인상 수준에 따라 인플레이션을 재차 자극할 우려도 잠재해 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다자주의의 관점에서 통상정책을 펼쳐왔다. 우방국에 대한 통상정책 압박은 없었고 대중국 관세율 또한 지금까지 동일하게 유지해오고 있다.

기술 유출과 관련한 대중국 제재 조치와 중국산 전기차 관세 인상 등 중국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내비치나 전방위적인 보호무역보다는 국지적인 대응의 성격이 짙다.

온건한 통상정책과 코로나 기간 재화 소비가 집중된 영향 등으로 경상적자는 재임기간 평균 3% 중반으로 확대됐다.

김 연구원은 "바이든 시대 달러화 강세가 전개된 배경은 구조적인 요인에서 찾을 수 있다. 2010년대 오바마정부 들어 시작된 리쇼어링 정책은 코로나로 인한 공급망 차질을 계기로 한층 가속화됐다"면서 "미국에 생산시설을 직접 설립하는 그린필드투자는 2020~2022년 평균 1,090억달러 유입돼 2010년대 평균(790억달러) 대비 40% 가까이 급증하며 달러화 수요를 확대를 뒷받침했다"고 밝혔다.

미국 주도의 공급망 재편은 장기적인 트렌드로 미국 내 생산시설 확충(=달러화 수요)과 경상적자(=달러화 유출)의 완만한 축소는 구조적인 강 달러 요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리쇼어링 등 공급망 재편과 관련된 부분을 제외하고 달러화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산업정책은 에너지 부문이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은 전통적인 공화당 후보들과 마찬가지로 화석연료 친화적인 산업정책을 지향한다"면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만들어진 화석연료 생산 규제 완화에 적극적으로 나서 에너지 가격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과거 트럼프 대통령 재임기간 미국의 일간 원유 생산량은 900만배럴에서 1,300만배럴까지 가파른 속도로 늘었고, 충분한 공급에 힘입어 WTI 가격은 배럴당 30~70달러대에서 유지됐다. 인플레이션 역시 1~2%대에 머물렀다.

그는 "트럼프의 재집권은 에너지 가격 안정에 힘입어 연준의 긴축 경계를 누그러뜨릴 요인"이라며 "바이든 대통령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취임과 동시에 파리기후변화 협정에 재가입하고 탄소 제로 정책을 제시하는 등 친환경 구조로의 전환에 힘썼다"고 지적했다.

바이든 정권이 연장될 경우 화석연료 공급이 제약된 환경이 인플레이션을 지속적으로 압박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는 다만 "극심한 인플레이션에 대응해 원유 생산 증대를 어느정도 용인하면서 1,100만배럴/일 수준까지 위축됐던 생산 규모는 트럼프 정부 당시 정점 부근인 1,300만배럴/일까지 확대됐다"면서 "인플레이션 안정이 급선무라는 인식은 공유된다"고 밝혔다.

재정정책 측면에선 두 후보 모두 재임기간 확장적인 정책을 펼쳤다.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이전인 2015년 2%대까지 축소됐던 GDP 대비 재정적자 규모는 2019년 4.5%까지 확대됐고 코로나가 발발한 2020년에는 무려 16%까지 늘었다.

2021년 바이든 대통령 집권 이후에도 평균 8%에 가까운 재정적자를 기록했다. 재정적자의 확대는 일반적으로 미국의 재정 신뢰도를 훼손해 약 달러 요인으로 해석된다. 그런데 트럼프와 바이든 대통령의 재임기간 재정적자가 2000년대보다 큰 폭으로 늘었음에도 달러화는 오히려 추세적으로 상승했다. 단편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것이다.

김 연구원은 "트럼프 재임기간에는 재정건전성 우려에도 불구하고 감세 정책이 미국 기업들의 이익 증가 등 펀더멘탈 개선으로 이어져 달러화 수요를 자극했다"면서 "여기에 다국적 기업들이 해외에 유보된 이익잉여금을 본국으로 들여오도록 유도하기위해 송환세 일시 감면에 나섰다"고 밝혔다.

2018년 단기간에 다국적기업들의 환전 수요가 집중되며 강 달러가 전개됐다. 코로나 기간(트럼프~바이든) 집행된 전례없는 규모의 부양책 역시 초반에는 금융시장의 위험선호 확산과 맞물려 달러화 약세 압력을 더했지만, 시차를 두고 미국경제의 독보적인 펀더멘탈 여건을 뒷받침해 달러화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는 "국채 발행 증가에 따른 이자 부담 확대 등으로 다음 임기에도 5~6%대 재정적자가 유지될 것"이라며 "2010년대 중반 국가부채가 GDP 대비 100%를 넘어섰고 코로나를 거치며 120%까지 추가로 확대됐다"고 밝혔다.

고금리와 맞물린 재정건전성 우려는 분명 달러화 신뢰를 훼손할 요인이다.

다만 약세 폭은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김 연구원은 "대안 통화가 부재하기 때문"이라며 "중국은 대내외적인 펀더멘탈 여건이 불분명하고 위안화의 국제적 위상은 아직 달러화에 한참 못 미친다"고 밝혔다.

유로존의 경우 비교적 재정 관리는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지만 미국에 비해 산업 경쟁력이 크게 뒤쳐져 유로화 자산의 매력이 미국대비 열세라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감세 정책의 일환으로 송환세 감면을 재차 시행할 가능성도 있어 단기 강세 모멘텀이 부각될 가능성이 공존한다"면서 "2005년과 2018년 송환세 일시 인하 효과로 다국적기업들의 이익잉여금이 각각 3,000억달러, 8,500억달러 환류되며 달러화 강세를 자극한 바 있다"고 밝혔다.

두 후보 모두 확장적 재정정책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은 만큼 재정건전성 우려로 인한 약 달러 전망은 타당하나 대안 통화의 부재와 트럼프 당선 시나리오에서 송환세 인하 재개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하락 폭은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했다.

미국 대선, 구조적 강달러 요인 우세...트럼프, 바이든 당선자 따라 속도는 차별화 - 신한證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대선, 구조적 강달러 요인 우세...트럼프, 바이든 당선자 따라 속도는 차별화 - 신한證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대선, 구조적 강달러 요인 우세...트럼프, 바이든 당선자 따라 속도는 차별화 - 신한證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대선, 구조적 강달러 요인 우세...트럼프, 바이든 당선자 따라 속도는 차별화 - 신한證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대선, 구조적 강달러 요인 우세...트럼프, 바이든 당선자 따라 속도는 차별화 - 신한證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대선, 구조적 강달러 요인 우세...트럼프, 바이든 당선자 따라 속도는 차별화 - 신한證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신한투자증권

자료: 신한투자증권

이미지 확대보기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