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서비스
전체기사
주식
채권
외환
국제경제
국내경제
부동산
원자재
가상자산
칼럼
닫기
검색
Updated : 2025-07-04 (금)
회원가입
로그인
메뉴
검색
페이스북
네이버
유튜브
외환
(상보)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부장 "관세 영향 지속되면 품목 대상 상품 중심 하반기 관세영향 뚜렷해질 듯"
송재창 한국은행 금융통계부장이 관세 영향이 지속되면 품목 대상 상품을 중심으로 하반기 관세 영향이 뚜렷해질 듯 하다고 밝혔다. 4일 열린 '2025년 5월 국제수지(잠정) 설명회'에서 "7월8일까지 관세유예로 이후 ...
2025-07-04
[외환-개장] 고용 호조 속 美금리 상승..强달러 속 1360원 초반대 시작
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장보다 3.5원 내린 1362.0원으로 시작했다.달러/원은 오전 9시 23분 현재 전장보다 0.35원 높은 1365.85원에 거래되고 있다.국내 코스피지수는 0.5% 하락을 나타내고 있다. ...
2025-07-04
[달러/원 전망] 고용 호조 속 美금리 상승..强달러 속 1360원 초반대 시작할 듯
4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지수 강세에 연동했던 새벽종가(1365.5원)보다 소폭 하락한 1360원 초반대에서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간밤 시장은 예상을 웃돈 미국 고용지표와 서비스 PMI 등을 주목했다. 이에 미국채...
2025-07-04
NDF 1,361.20원..4.15원 상승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이 1,361.20원에 최종 호가됐다.4일 역외시장 참가자들에 따르면 최근 달러/원 1개월물의 스왑포인트가 -2.35원인 점을 감안하면 NDF 달러/원 1개월물 환...
2025-07-04
(상보)[뉴욕-외환]달러지수 0.4% 상승…고용 등 경제지표 호조
3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외환시장에서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인덱스가 0.4% 상승했다. 미 월간 신규고용 등 경제지표들의 잇단 호조로 국채 수익률과 달러인덱스가 동반 상승하는 모습이었다. 뉴욕시간 오...
2025-07-04
[외환-마감] 美고용 대기 속 달러지수 반등..1360원 전후 상승
달러/원 환율이 1360원 전후 수준으로 상승한 채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달러/원은 3일 오후 3시 31분 현재 전장보다 4.3원 오른 1359.8원에 거래되고 있다.미국 고용지표 발표를 앞둔 경계감 속에 달러지수가 반등하...
2025-07-03
[외환-오후] 美고용 대기 속 强달러..1360원 초반대 상승
달러/원 환율이 3일 오후 1360원 초반대에서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밤 미국과 베트남의 무역합의에 뉴욕주식시장 3대 지수가 대부분 상승한 가운데, 국내 주가지수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오늘밤...
2025-07-03
[외환-개장] 美고용지표 대기 속 달러지수 약보합..1350원 초중반대 시작
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장보다 0.5원 내린 1355.0원으로 시작했다.달러/원은 오전 9시 5분 현재 전장보다 1.05원 낮은 1354.45원에 거래되고 있다.국내 코스피지수는 0.8% 상승을 나타내고 있다. 달...
2025-07-03
[달러/원 전망] 美고용지표 대기 속 달러지수 약보합..1350원 초중반대 시작할 듯
3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지수 약세에 연동했던 새벽종가(1355.5원)와 비슷한 수준인 1350원 초중반대에서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간밤 시장은 영국 파운드화 가치 급락과 미 민간고용 부진이 맞물리면서 달러지수...
2025-07-03
NDF 1,353.40원..2.80원 하락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이 1,353.40원에 최종 호가됐다.3일 역외시장 참가자들에 따르면 최근 달러/원 1개월물의 스왑포인트가 -2.50원인 점을 감안하면 NDF 달러/원 1개월물 환...
2025-07-03
(상보)[뉴욕-외환]달러지수 약보합…파운드 급락 + 민간고용 부진
2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외환시장에서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인덱스가 약보합 수준을 기록했다. 영국 파운드화 가치 급락과 미 민간고용 부진이 맞물린 결과이다. 이런 가운데, 투자자들은 다음날 발표될 미...
2025-07-03
[외환-마감] 관세위협 부활 속 美고용 대기..1360원 전후 강보합
달러/원 환율이 1360원 전후 강보합 수준에서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달러/원은 2일 오후 3시 33분 현재 전장보다 0.2원 오른 1359.2원에 거래되고 있다.트럼프의 관세위협이 부활한 가운데 미국 고용지표 발표를 대기...
2025-07-02
[외환-오후] ‘관세위협 부활 ’ 코스피 1.2%↓..1360원 전후 소폭 상승
달러/원 환율이 2일 오후 1360원 전후 수준에서 소폭 상승한 채 이어가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연장을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한 발언에 영향을 받으면서 코스피가 1%대 하락을 보이고 있...
2025-07-02
[외환-개장] 美고용지표 대기 속 弱달러..1350원 초중반대 하락 시작
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장보다 4.0원 내린 1355.0원으로 시작했다.달러/원은 오전 9시 2분 현재 전장보다 4.5원 낮은 1354.5원에 거래되고 있다.국내 코스피지수는 0.2% 하락을 나타내고 있다. 달러...
2025-07-02
달러/원 하향 안정 국면은 유효 - 대신證
대신증권은 2일 "달러/원 환율 하향 안정 국면은 유효하다"고 진단했다. 이주원 연구원은 '7월 환율 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금융시장은 트럼프 협상 방식을 인지하며 경계를 낮추고 있으나...
2025-07-02
[달러/원 전망] 美고용지표 대기 속 弱달러..1350원 초중반대 시작할 듯
2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지수 약세에 연동해 새벽종가(1359.0원)보다 하락한 1350원중반대에서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간밤 시장은 예상치를 웃돈 구인건수, 제조업 PMI 등을 주목하면서도 주후반 발표되는 미국...
2025-07-02
NDF 1,353.80원..0.55원 상승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이 1,353.80원에 최종 호가됐다.2일 역외시장 참가자들에 따르면 최근 달러/원 1개월물의 스왑포인트가 -2.65원인 점을 감안하면 NDF 달러/원 1개월물 환...
2025-07-02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장태민 칼럼
(장태민 칼럼) 빚 탕감 논란과 감성 경제학
(장태민 칼럼) 여당 최고위원의 한은 총재 맹비난
(장태민 칼럼) 나토정상회의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추경, 소비쿠폰·지역화폐 강력 옹호자가 된 신임 기재차관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서울 아파트 폭등에 긴급히 나온 대출 규제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정부의 '코스피 5000 마케팅'...기대와 의심, 그리고 의혹
김형호의 채권산책
[김형호의 채권산책] 지금은 KTB보다 UST(H)에 투자할 때
우리나라와 미국의 Macro지표가 추가적인 금리하락을 가리키고 있다.우리나라는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로 물가...
[김형호의 채권산책] 엔켐14CB를 어떻게 할 것인가?
2024.11.29일 발행한 엔켐14CB의 장내시장 가격이 7,000원대로 하락했다. 2025.6.20일 종가는 7,438원으로 채권가격으...
[김형호의 채권산책] 견해 차이
30년물 미국국채 금리가 5%내외에서 거래되고 있어 채권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다. 필자는 투자일임고객 대상 설명회 외...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독립기념일 휴장 속 고용·테슬라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6월 30일~7월 4일) 뉴욕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지속할지 주목된다. 중동 긴장이 완화하고 미국 백악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美CPI·미중협상·애플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9~13일) 뉴욕주식시장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재개 등에 주목할 전망...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관세전쟁 재점화 속 PCE·엔비디아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26~30일) 뉴욕주식시장이 관세전쟁 재점화와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엔비디아 실적 등에 주목...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집요한 압박 속 파월 7월 금리인하 가능성도 거론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中 디플레 우려 속 하반기 경기 부양 속도 빨라질 듯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머스크 내친 트럼프..'권력 수단화' 본격 행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