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서비스
전체기사
주식
채권
외환
국제경제
국내경제
부동산
원자재
가상자산
칼럼
닫기
검색
Updated : 2025-07-08 (화)
회원가입
로그인
메뉴
검색
페이스북
네이버
유튜브
외환
[외환-마감] ‘美관세유예 종료 임박’ 달러지수 반등 속 1360원 후반대 상승
달러/원 환율이 1360원 후반대로 상승폭을 넓힌 채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달러/원은 7일 오후 3시 32분 현재 전장보다 5.8원 오른 1368.3원에 거래되고 있다.미국의 관세 유예 종료가 임박한 가운데 달러지수가 반등...
2025-07-07
[외환-오후] ‘美관세유예 종료 임박’ 달러지수 반등 속 1360원 중후반대 상승
달러/원 환율이 7일 오후 1360원 중후반대로 상승한 채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미국의 상호관세 유예조치 종료를 앞두고 관세 협상에 대한 압박이 거세진 가운데 시장은 경계감을 보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
2025-07-07
[자료] 7월 파생상품시장 증거금률 정기 조정
* 2025년 7월 파생상품시장 증거금률 정기 조정(7/7 시행) -KTB 위탁 0.87%→0.87%(유지)-LKTB 위탁 2.595%→2.595%(유지)-30KTB 위탁 5.205%→5.205%(유지) -코스피200 위탁 10.65%→10.50%(인하)-코스닥150 위탁 1...
2025-07-07
[외환-개장] 美휴장 속 달러지수 약보합..1360원 초반대 시작
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장보다 0.2원 오른 1362.7원으로 시작했다.달러/원은 오전 9시 4분 현재 전장보다 0.55원 낮은 1361.95원에 거래되고 있다.국내 코스피지수는 약보합을 나타내고 있다. 달러...
2025-07-07
[달러/원 전망] 美휴장 속 달러지수 약보합..1360원 초반대 시작할 듯
7일 달러/원 환율은 미국이 휴장한 가운데 새벽종가(1362.5원)보다 소폭 하락한 1360원 초반대에서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지난주 후반 시장은 트럼프의 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것에 경계감을 드러냈다. 미국이 휴장한...
2025-07-07
NDF 1,359.55원..0.30원 하락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이 1,359.55원에 최종 호가됐다.5일 역외시장 참가자들에 따르면 최근 달러/원 1개월물의 스왑포인트가 -2.45원인 점을 감안하면 NDF 달러/원 1개월물 환율은...
2025-07-07
[외환-마감] 弱달러 vs 코스피 2%↓..1360원 초반대 소폭 하락
달러/원 환율이 1360원 초반대에서 소폭 하락한 채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달러/원은 4일 오후 3시 32분 현재 전장보다 3.6원 내린 1361.9원에 거래되고 있다.코스피 부진에도 달러지수가 약세폭을 넓히면서 달러/원은...
2025-07-04
[외환-오후] 弱달러 vs 코스피 1.6%↓..1365원 전후 보합세
달러/원 환율이 4일 오후 1365원 전후 보합권에서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 아시아 거래 시작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부터 각국에 관세율 서한을 발송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점이 주목을 받고 있...
2025-07-04
[자료] 한은, RFI 최소거래량 기준 마련 및 보고의무 유예기간 연장..'선도 RFI' 5개 기관 선정
2025-07-04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고용지표, 7월 FOMC 금리인하 기대감 삭제...9월 기대감은 삭제 못해
고용지표가 나온 뒤 연준이 7월 FOMC가 금리를 내릴 가능성은 거의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연준에서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 미셸 보우먼 부의장 등이 7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거론해 시장에서도 '혹시 모른다'는...
2025-07-04
(상보)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부장 "관세 영향 지속되면 품목 대상 상품 중심 하반기 관세영향 뚜렷해질 듯"
송재창 한국은행 금융통계부장이 관세 영향이 지속되면 품목 대상 상품을 중심으로 하반기 관세 영향이 뚜렷해질 듯 하다고 밝혔다. 4일 열린 '2025년 5월 국제수지(잠정) 설명회'에서 "7월8일까지 관세유예로 이후 ...
2025-07-04
[외환-개장] 고용 호조 속 美금리 상승..强달러 속 1360원 초반대 시작
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장보다 3.5원 내린 1362.0원으로 시작했다.달러/원은 오전 9시 23분 현재 전장보다 0.35원 높은 1365.85원에 거래되고 있다.국내 코스피지수는 0.5% 하락을 나타내고 있다. ...
2025-07-04
[달러/원 전망] 고용 호조 속 美금리 상승..强달러 속 1360원 초반대 시작할 듯
4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지수 강세에 연동했던 새벽종가(1365.5원)보다 소폭 하락한 1360원 초반대에서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간밤 시장은 예상을 웃돈 미국 고용지표와 서비스 PMI 등을 주목했다. 이에 미국채...
2025-07-04
NDF 1,361.20원..4.15원 상승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이 1,361.20원에 최종 호가됐다.4일 역외시장 참가자들에 따르면 최근 달러/원 1개월물의 스왑포인트가 -2.35원인 점을 감안하면 NDF 달러/원 1개월물 환...
2025-07-04
(상보)[뉴욕-외환]달러지수 0.4% 상승…고용 등 경제지표 호조
3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외환시장에서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인덱스가 0.4% 상승했다. 미 월간 신규고용 등 경제지표들의 잇단 호조로 국채 수익률과 달러인덱스가 동반 상승하는 모습이었다. 뉴욕시간 오...
2025-07-04
[외환-마감] 美고용 대기 속 달러지수 반등..1360원 전후 상승
달러/원 환율이 1360원 전후 수준으로 상승한 채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달러/원은 3일 오후 3시 31분 현재 전장보다 4.3원 오른 1359.8원에 거래되고 있다.미국 고용지표 발표를 앞둔 경계감 속에 달러지수가 반등하...
2025-07-03
[외환-오후] 美고용 대기 속 强달러..1360원 초반대 상승
달러/원 환율이 3일 오후 1360원 초반대에서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밤 미국과 베트남의 무역합의에 뉴욕주식시장 3대 지수가 대부분 상승한 가운데, 국내 주가지수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오늘밤...
2025-07-03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장태민 칼럼
(장태민 칼럼) 빚 탕감 논란과 감성 경제학
(장태민 칼럼) 여당 최고위원의 한은 총재 맹비난
(장태민 칼럼) 나토정상회의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확정된 2차 추경 규모...채권수급과 경기에 미칠 영향은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고용지표, 7월 FOMC 금리인하 기대감 삭제...9월 기대감은 삭제 못해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추경, 소비쿠폰·지역화폐 강력 옹호자가 된 신임 기재차관들
김형호의 채권산책
[김형호의 채권산책] CB의 Put Option 행사
2025년 상반기 KOSPI 200 지수가 약30% 상승했다. (317.82 → 414.60, +30%)외국인 투자자는 2025.5월에 국내주식을 2...
[김형호의 채권산책] 지금은 KTB보다 UST(H)에 투자할 때
우리나라와 미국의 Macro지표가 추가적인 금리하락을 가리키고 있다.우리나라는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로 물가...
[김형호의 채권산책] 엔켐14CB를 어떻게 할 것인가?
2024.11.29일 발행한 엔켐14CB의 장내시장 가격이 7,000원대로 하락했다. 2025.6.20일 종가는 7,438원으로 채권가격으...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독립기념일 휴장 속 고용·테슬라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6월 30일~7월 4일) 뉴욕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지속할지 주목된다. 중동 긴장이 완화하고 미국 백악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美CPI·미중협상·애플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9~13일) 뉴욕주식시장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재개 등에 주목할 전망...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관세전쟁 재점화 속 PCE·엔비디아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26~30일) 뉴욕주식시장이 관세전쟁 재점화와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엔비디아 실적 등에 주목...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집요한 압박 속 파월 7월 금리인하 가능성도 거론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中 디플레 우려 속 하반기 경기 부양 속도 빨라질 듯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머스크 내친 트럼프..'권력 수단화' 본격 행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