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서비스
전체기사
주식
채권
외환
국제경제
국내경제
부동산
원자재
가상자산
칼럼
닫기
검색
Updated : 2025-07-05 (토)
회원가입
로그인
메뉴
검색
페이스북
네이버
유튜브
외환
[외환-마감] 弱달러 속 네고 출회..1370원 전후까지 낙폭 넓혀
달러/원 환율이 1370원 전후 수준까지 낙폭을 넓힌 채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달러/원은 18일 오후 3시 31분 현재 전장보다 3.9원 내린 1370.0원에 거래되고 있다.달러/원은 간밤 중동갈등으로 달러지수가 강세를 보인...
2025-06-18
[외환-오후] FOMC 대기 속 달러지수 반락..1370원 초반대 소폭 하락
달러/원 환율이 18일 오후 1370원 초반대 소폭 내린 수준에서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미국의 이란 분쟁 개입 징후가 아직 나타나지 않자, 위험회피 분위기가 다소 누그러진 모습이다. 달러지수가 소폭 하락으로 전환한...
2025-06-18
[외환-개장] 중동갈등 악화 속 안전선호..1370원 후반대 상승 시작
1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장보다 5.9원 오른 1379.9원으로 시작했다.달러/원은 오전 9시 4분 현재 전장보다 2.3원 높은 1376.3원에 거래되고 있다.국내 코스피지수는 0.4% 하락을 나타내고 있다. 달...
2025-06-18
[달러/원 전망] 중동갈등 악화 속 안전선호..1370원 후반대 상승 시작할 듯
18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중동갈등으로 달러지수가 강세를 보인데 연동해 새벽종가(1374.0원)보다 상승한 1370원 후반대에서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간밤 시장은 미군의 이란 분쟁 개입 가능성 등으로 안전선호 심리...
2025-06-18
NDF 1,379.00원..19.15원 상승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이 1,379.00원에 최종 호가됐다.18일 역외시장 참가자들에 따르면 최근 달러/원 1개월물의 스왑포인트가 -2.85원인 점을 감안하면 NDF 달러/원 1개월물 ...
2025-06-18
(상보)[뉴욕-외환]달러지수 0.8% 급등…중동갈등 악화 속 안전선호
17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외환시장에서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인덱스가 0.8% 급등했다. 미군의 이란 분쟁 개입 가능성 등으로 중동 갈등 악화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커졌다. 뉴욕시간 오후 4시 기준, 미 ...
2025-06-18
[외환-마감] 중동상황 경계 속 FOMC 대기..1360원 초반대 상승 유지
달러/원 환율이 1360원 초반대 상승 흐름을 유지하며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달러/원은 17일 오후 3시 32분 현재 전장보다 4.7원 오른 1362.8원에 거래되고 있다.달러/원은 중동긴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새벽종가(1358...
2025-06-17
[외환-오후] 중동상황 경계 속 FOMC 대기..1360원 초반대 소폭 상승
달러/원 환율이 17일 오후 1360원 초반대 소폭 오른 수준에서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이스라엘과 이란의 갈등 추이에 경계감을 보이면서 주중 열릴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대기하는 분위기다. 일본중앙...
2025-06-17
[외환-개장] 중동긴장 속 强달러..1360원 초반대 상승 시작
1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장보다 1.9원 오른 1360.0원으로 시작했다.달러/원은 오전 9시 6분 현재 전장보다 4.15원 높은 1362.25원에 거래되고 있다.국내 코스피지수는 0.2% 상승을 나타내고 있다. ...
2025-06-17
[달러/원 전망] 중동긴장 완화 속 美주식 강세..1350원 중후반대 하락 시작할 듯
17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중동긴장이 다소 완화된 가운데 새벽종가(1358.1원)보다 하락한 1350원 중후반대에서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간밤 시장은 이스라엘과 이란의 갈등 완화 기대감이 작용한 가운데 FOMC 회의를...
2025-06-17
NDF 1,356.00원..5.00원 하락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이 1,356.00원에 최종 호가됐다.17일 역외시장 참가자들에 따르면 최근 달러/원 1개월물의 스왑포인트가 -2.80원인 점을 감안하면 NDF 달러/원 1개월물 ...
2025-06-17
(상보)[뉴욕-외환]달러지수 약보합…FOMC 대기모드
16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외환시장에서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인덱스가 약보합 수준에 머물렀다. 주중 열릴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대기모드가 나타났다. 뉴욕시간 오후 4시 기준,...
2025-06-17
[외환-마감] FOMC 대기 속 1360원 초반 보합세
달러/원 환율이 1360원 초반대 보합권에서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달러/원은 16일 오후 3시 32분 현재 전장보다 0.1원 오른 1363.6원에 거래되고 있다.FOMC를 대기한 가운데 지난주 후반 달러지수 강세, 이날 네고물량...
2025-06-16
[외환-오후] 네고 출회 속 FOMC 대기..1360원 초반대 약보합
달러/원 환율이 16일 오후 1360원 초반대 약보합 수준에서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주중 열릴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대기하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네고 물량이 나오면서 초반 상승분을 반납하고 소...
2025-06-16
원화, 위안화 흐름에 영향 받을 수 있어.. 미⸱중 무역갈등 전개 양상 예의주시 속 위안화 추이 지속 모니터링 필요 - 한은 국제국
향후 원화가 위안화의 흐름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으며, 미⸱중 무역갈등의 전개 양상을 예의주시하면서 위안화 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한국은행 국제국 국제금융연구...
2025-06-16
[외환-개장] 중동긴장 속 强달러 지속..1360원 후반대 시작
1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장보다 4.5원 오른 1368.0원으로 시작했다.달러/원은 오전 9시 6분 현재 전장보다 4.4원 높은 1367.9원에 거래되고 있다.국내 코스피지수는 0.4% 상승을 나타내고 있다. 달...
2025-06-16
이스라엘-이란 무력 충돌, 투자 자산군별 영향은 - NH證
NH투자증권은 16일 "이스라엘과 이란 양측 모두 최악의 시나리오 전개를 원치 않는 상황인 만큼 단기 무력충돌이 계속되더라도 일정 수준에서 관리되는 국면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NH 연구원들은 "중동 긴장...
2025-06-16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장태민 칼럼
(장태민 칼럼) 빚 탕감 논란과 감성 경제학
(장태민 칼럼) 여당 최고위원의 한은 총재 맹비난
(장태민 칼럼) 나토정상회의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고용지표, 7월 FOMC 금리인하 기대감 삭제...9월 기대감은 삭제 못해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추경, 소비쿠폰·지역화폐 강력 옹호자가 된 신임 기재차관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서울 아파트 폭등에 긴급히 나온 대출 규제
김형호의 채권산책
[김형호의 채권산책] 지금은 KTB보다 UST(H)에 투자할 때
우리나라와 미국의 Macro지표가 추가적인 금리하락을 가리키고 있다.우리나라는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로 물가...
[김형호의 채권산책] 엔켐14CB를 어떻게 할 것인가?
2024.11.29일 발행한 엔켐14CB의 장내시장 가격이 7,000원대로 하락했다. 2025.6.20일 종가는 7,438원으로 채권가격으...
[김형호의 채권산책] 견해 차이
30년물 미국국채 금리가 5%내외에서 거래되고 있어 채권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다. 필자는 투자일임고객 대상 설명회 외...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독립기념일 휴장 속 고용·테슬라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6월 30일~7월 4일) 뉴욕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지속할지 주목된다. 중동 긴장이 완화하고 미국 백악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美CPI·미중협상·애플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9~13일) 뉴욕주식시장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재개 등에 주목할 전망...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관세전쟁 재점화 속 PCE·엔비디아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26~30일) 뉴욕주식시장이 관세전쟁 재점화와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엔비디아 실적 등에 주목...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집요한 압박 속 파월 7월 금리인하 가능성도 거론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中 디플레 우려 속 하반기 경기 부양 속도 빨라질 듯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머스크 내친 트럼프..'권력 수단화' 본격 행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