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서비스
전체기사
주식
채권
외환
국제경제
국내경제
부동산
원자재
가상자산
칼럼
닫기
검색
Updated : 2025-07-12 (토)
회원가입
로그인
메뉴
검색
페이스북
네이버
유튜브
국내경제
[자료] 예탁원, 토큰증권 테스트베드 플랫폼 오픈
한국예탁결제원, 토큰증권 Test-bed 플랫폼 오픈토큰증권 법제화에 대비한 시스템 기반 마련 - □ 한국예탁결제원(사장 이순호)은 6월 25일(수) ‘토큰증권 Test-bed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오픈하여, 토큰증권 ...
2025-06-25
[한은 금융안정①] 금융시스템 양호한 금융기관 복원력과 대외지급능력 감안시 대체로 안정
2025-06-25
[한은 금융안정②] 대내외 불확실성 요인들에 따른 거시경제 충격 및 기업의 신용리스크 확대 금융시장 안정성에도 영향 미칠 것으로 예상
2025-06-25
[한은 금융안정③] 비은행금융기관, 규제 및 감독 수준 상대적으로 낮고 외부충격 취약성이 높다는 점 감안해 리스크 선제적으로 관리해야
2025-06-25
[한은 금융안정④] 중장기 가계에 대한 금융지원 점차 줄여나가되, PF 제도 개선 노력과 함께 주택 공급 뒷받침하는 정책금융 더욱 활성화돼야
2025-06-25
[자료] 서비스업 경기 부진 등 자영업자 채무상환능력 개선 제약할 수 있어..필요시 채무조정과 함께 재취업 지원 등 소득 회복 위한 미시적 정책 강화 필요
2025-06-25
[자료] 기준금리 인하 기조 하에서 서울 등 수도권 중심 주택가격 상방압력 크게 나타날 가능성 유의
2025-06-25
[자료] 스테이블코인 확산 시 금융안정 및 경제 전반에 잠재적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측면 간과해선 안돼
2025-06-25
[자료] 중소기업에 대한 은행 대출태도 강화 속 신용공급 크게 위축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2025-06-25
[자료] 기준금리 인하의 시차 효과와 대출금리 하락세로 차주 채무상환부담 차츰 완화되는 것 고려시 향후 연체율 점차 개선될 듯
2025-06-25
(상보) 장정수 한은 금안국장 "2분기 가계대출 많이 늘어서 GDP 상황 고려하지 않아도 가계부채 비율 반등 가능성 있어"
장정수 한국은행 금융안정국장이 2분기 계부채 비율이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그는 25일 금융안정상황(2025년 6월) 설명회에서 "가계부채 비율은 작년 연말 89.9%로 기록했다. 3년 연속으로 하락했고 1분기는...
2025-06-25
[자료] 작년말 보험회사 자본성증권 발행잔액 22.7조원으로 전년비 6.1조원↑..여타 업권 대비 증가폭 큰 모습
2025-06-25
[자료] 최근 글로벌 투자자금 흐름, 투자자 경기둔화 가능성 대비해 움직이고 있음을 시사
2025-06-25
(상보) 김종화 금통위원 "일부 지역 주택가격 상승세, 금융불균형 확대시키지 않도록 정부와 정책 공조 지속해야"
김종화 한국은행 금통위원이 일부 지역 주택가격 상승세가 금융불균형을 확대시키지 않도록 정부와 정책 공조를 지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25일 발표된 금융안정 상황(2025년 6월)보고서의 주관위원 메시지에서 그는 ...
2025-06-25
[자료] 금융위, 장기 연체채권 채무조정 프로그램 기준 관련 입장
1. 보도내용 □ 2025.6.24. 중앙일보는 「도박업 빚도 탕감해준다고?」 제하 기사에서, ㅇ 정부가 발표한 장기 연체채권 소각프로그램에 ➊업종 제한이 없어 도박·사행성 사업을 하다가 빚을 져도 조건 충...
2025-06-25
[자료] 국정기획위원회 경제1분과, 산은·수은 업무보고
국정기획위원회 경제1분과, 산업은행 및 수출입은행 업무보고 - 첨단전략산업기금의 민간참여를 촉진하는 마중물로서 산은 역할 확대 - “수출 금융지원 사각지대 해소” 위해 적극적 역할·제도 개선 필요 □ ...
2025-06-25
[자료] 국정기획위원회 경제1분과, 금감원 업무보고
국정기획위원회 경제1분과, 금융감독원 업무보고 - 새 정부의 ‘진짜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금융감독원의 핵심 추진과제 보고 - 자본시장 경쟁력 제고, 금융소비자 권익보호 강화, AI 등 혁신금융 지원방안 등...
2025-06-25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장태민 칼럼
(장태민 칼럼) 진성준의 트럼프 향한 사자후
(장태민 칼럼) 이창용의 서울부동산 숙제
(장태민 칼럼) 이재명 정부 '1번' 부동산 대책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부동산 경계감 드러낸 금통위...크게 매파적으로 느껴지지 않았던 이유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금리인하 시점과 강도 좌우하는 부동산...'퐁당퐁당 인하' VS '4분기 이후...'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트럼프, 스트롱맨 혹은 치킨...한국 3주간 '협상 본게임'
김형호의 채권산책
[김형호의 채권산책] CB의 Put Option 행사
2025년 상반기 KOSPI 200 지수가 약30% 상승했다. (317.82 → 414.60, +30%)외국인 투자자는 2025.5월에 국내주식을 2...
[김형호의 채권산책] 지금은 KTB보다 UST(H)에 투자할 때
우리나라와 미국의 Macro지표가 추가적인 금리하락을 가리키고 있다.우리나라는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로 물가...
[김형호의 채권산책] 엔켐14CB를 어떻게 할 것인가?
2024.11.29일 발행한 엔켐14CB의 장내시장 가격이 7,000원대로 하락했다. 2025.6.20일 종가는 7,438원으로 채권가격으...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독립기념일 휴장 속 고용·테슬라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6월 30일~7월 4일) 뉴욕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지속할지 주목된다. 중동 긴장이 완화하고 미국 백악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美CPI·미중협상·애플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9~13일) 뉴욕주식시장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재개 등에 주목할 전망...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관세전쟁 재점화 속 PCE·엔비디아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26~30일) 뉴욕주식시장이 관세전쟁 재점화와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엔비디아 실적 등에 주목...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유예 3주 연장 속 14개국에 협상 타결 압박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집요한 압박 속 파월 7월 금리인하 가능성도 거론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中 디플레 우려 속 하반기 경기 부양 속도 빨라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