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서비스
전체기사
주식
채권
외환
국제경제
국내경제
부동산
원자재
가상자산
칼럼
닫기
검색
Updated : 2025-07-19 (토)
회원가입
로그인
메뉴
검색
페이스북
네이버
유튜브
국제경제
(속보)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시한 변경도, 연장도 없다"
2025-07-09
(속보) 트럼프 "구리에 50% 관세"...의약품도 최고 200% 예고
2025-07-09
(상보) 호주 RBA 기준금리 3.85%로 동결..매파적 결정 속 호주달러 0.7%↑
호주 중앙은행(RBA)이 8일 기준금리를 3.85%로 동결했다. 시장에서 25bp 인하를 예상한 것보다 더욱 매파적인 결정이었다. RBA는 지난 2월 기준금리를 4.35%에서 4.10%로 25bp 인하한 바 있다. 2020년 11월 이후 4년...
2025-07-08
(속보) 트럼프 "좋은 제안시 8월1일 관세 부과일 조정 가능"
2025-07-08
(속보) 트럼프 8월 관세시한 100% 확고한 것 아니다...대화 가능 - 블룸버그
2025-07-08
[코멘트] 트럼프, 한국·일본에 25% 관세부과 통보...유예기한 8월 1일로 연장 - 국금센터
2025-07-08
[자료] 미국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에 보낸 서한 (원문과 번역)
Dear President,It is a great honor for me to send this letter to you. This letter demonstrates the strength and commitment of our trade relationship, and shows that the United States has agreed to con...
2025-07-08
(속보) 美금리선물시장, 연준 7월 금리동결 확률 95%로 반영
2025-07-08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유예 3주 연장 속 14개국에 협상 타결 압박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7월 8일 말로 예정됐던 상호관세 유예기간을 다음달 1일로 3주 가량 연장하기로 했다. 케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7일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
2025-07-08
(상보) 美백악관 "상호관세 유예기간 8월1일로 연장"
케롤라인 레빗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트럼프 대통령은 8일 만료될 예정이었던 상호관세 유예기간을 다음달 1일로 연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그는 7일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2025-07-08
(상보) 트럼프, 한국에 "8월부터 25% 상호관세 부과"…일본도 동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SNS에 한국과 일본 제품에 25% 관세를 8월 1일부터 적용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7일 공개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이 보복 관세를 적용한다면 그만큼 추가로 관세를 높이겠다고 강조...
2025-07-08
(속보) 美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조치 8월1일까지 연장' 행정명령 서명
2025-07-08
(속보) 美백악관 "상호관세 유예기간 8월1일로 연장"
2025-07-08
(속보) 트럼프, 한국에 "8월부터 25% 상호관세 부과"…일본도 동일
2025-07-08
(상보) 투자자들, 美상호관세 유예 종료 앞두고 무덤덤 - WSJ
투자자들이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앞두고 무덤덤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 보도했다. WSJ는 "불확실성은 일반적으로 투자에 있어 적이지만 올해는 그렇지 않다"며 "관세와 트럼프 대...
2025-07-07
(속보) 누리엘 루비니 "하반기 스태그플 미니쇼크 올 것 예상"
2025-07-07
(상보) 美트럼프 "월요일 12~15개국에 관세 서한 발송"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15개국에 관세 서한을 발송할 것이라고 밝혔다.그는 4일 뉴저지로 향하는 에어포스 원 기내에서 "12개국에 미국으로 수출하는 상품에 적용될 다양한 관세 수준을 명시한 서한을 서명...
2025-07-07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장태민 칼럼
(장태민 칼럼) 진성준의 트럼프 향한 사자후
(장태민 칼럼) 이창용의 서울부동산 숙제
(장태민 칼럼) 이재명 정부 '1번' 부동산 대책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포용적 성장' 위한 재정·통화정책 컨퍼런스에서 나온 아이디어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한은 채권시장팀의 금리시장 약세 전망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미국채 시장, 예상 밑돈 근원 CPI에도 위축된 이유
김형호의 채권산책
[김형호의 채권산책] Averaging Down (물타기)
채권과 주식의 Trading전략(매매전략)은 크게 Contrarian전략과 Momentum전략으로 나눌 수 있다. 투자관련 책에서 Con...
[김형호의 채권산책] CB의 Put Option 행사
2025년 상반기 KOSPI 200 지수가 약30% 상승했다. (317.82 → 414.60, +30%)외국인 투자자는 2025.5월에 국내주식을 2...
[김형호의 채권산책] 지금은 KTB보다 UST(H)에 투자할 때
우리나라와 미국의 Macro지표가 추가적인 금리하락을 가리키고 있다.우리나라는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로 물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어닝·CPI·관세 여파 주시
뉴욕주식시장이 기로에 선 가운데, 이번 주(현지시간 14일~18일) 관세 여파와 실적, 소비자물가 등을 주시할 전망이다...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독립기념일 휴장 속 고용·테슬라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6월 30일~7월 4일) 뉴욕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지속할지 주목된다. 중동 긴장이 완화하고 미국 백악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美CPI·미중협상·애플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9~13일) 뉴욕주식시장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재개 등에 주목할 전망...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크립토위크' 효과 속 비트코인 12만불 웃돌며 사상최고 경신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유예 3주 연장 속 14개국에 협상 타결 압박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집요한 압박 속 파월 7월 금리인하 가능성도 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