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서비스
전체기사
주식
채권
외환
국제경제
국내경제
부동산
원자재
가상자산
칼럼
닫기
검색
Updated : 2025-07-12 (토)
회원가입
로그인
메뉴
검색
페이스북
네이버
유튜브
국제경제
(상보) 일본 6월 도쿄 핵심 CPI 전년비 3.1% 올라 예상(3.3%) 하회
일본 도쿄 지역 6월 신선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3.1% 상승했다. 예상(+3.3%)을 하회했고, 전월 +3.6%보다 상승폭을 0.5%p 넓혔다.일본 총무성이 27일 발표한 도쿄도 6월(변동성이 ...
2025-06-27
투자자들은 트럼프의 밀린 숙제, 감세·관세 주목해야 - 대신證
대신증권은 27일 "투자자들은 이제 트럼프의 밀린 숙제인 감세와 관세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경민 연구원은 "이번주 주가 상승엔 이재명 정부 정책기대에 이스라엘-이란 휴전 등 지정학적 리스크 소멸,...
2025-06-27
[자료] 중동사태 일보(6월27일) - 국금센터
2025-06-27
미국 6월 고용지표, 기준금리 조기인하 가능성과 관세 여파 확인할 수 있는 시금석 - 신한證
신한투자증권은 27일 "미국 6월 고용지표는 기준금리의 조기 인하 가능성 및 관세 여파를 확인할 수 있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가 독립기념일(7/4) 이전까지 OBBBA(One Big Beautiful Bill Act) ...
2025-06-27
(상보) 트럼프 “어제 中과 합의 서명…인도와도 빅딜 기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합의에 서명했다며 인도와의 빅딜도 기대한다고 밝혔다.그는 26일 백악관에서 "어제 중국과의 합의에 서명했다. 우리는 중국과 협정을 체결했다"고 말했다.중국과의 합의 내용을...
2025-06-27
(속보) 일본 6월 도쿄 핵심 CPI 전년비 3.1% 올라 예상(3.3%) 하회
2025-06-27
[자료] 미국 백악관, 상호관세 유예 시한 연장 가능...연준 위원들은 7월 금리인하 신중 - 국금센터
2025-06-27
(속보) 美금리선물시장, 연준 7월 금리동결 확률 79%로 반영
2025-06-27
(속보) 트럼프 “어제 中과 합의 서명…인도와도 빅딜 기대”
2025-06-27
(상보) 美1분기 GDP 성장률 최종치 -0.5%로, 잠정·예상치 하회
미국 지난 1분기 경제 성장률 최종치가 예상치를 밑돌았다. 26일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미국 지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기 대비, 연율 마이너스(-) 0.5%로 최종 집계됐다. 이는 예상치이자 잠정치...
2025-06-27
(상보) 연준 데일리 "관세 영향 없을 듯해 가을 금리인하 가능성"
메리 데일리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26일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관세 영향이 없을 듯해서 가을쯤 금리인하에 나설 수도 있다"고 말했다.그는 "미국 노동시장은 견고하다. 약세를 시사하지 않는 것...
2025-06-27
(속보) 트럼프, 25% 관세 적용하는 車부품 확대
2025-06-27
(상보) 美백악관 “상호관세 유예 연장될 수도…대통령이 내릴 결정”
미국 백악관이 상호관세 유예가 연장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상호관세 유예 연장 계획을 묻는 질문을 받고 "트럼프 대통령의 7월 8일과 9일 상호관세 유예 기한은...
2025-06-27
(속보) 연준 데일리 "관세 영향 없을 듯해 가을 금리인하 가능성"
2025-06-27
(속보) 美백악관 “상호관세 유예 연장될 수도…대통령이 내릴 결정”
2025-06-27
(속보) 美1분기 GDP 성장률 최종치 -0.5%로, 잠정·예상치 하회
2025-06-27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집요한 압박 속 파월 7월 금리인하 가능성도 거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24~25일 열린 미국 상하원 반기 통화정책 보고 청문회에 출석해 7월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관세발 불확실성을 언급하며 현재의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2025-06-26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장태민 칼럼
(장태민 칼럼) 진성준의 트럼프 향한 사자후
(장태민 칼럼) 이창용의 서울부동산 숙제
(장태민 칼럼) 이재명 정부 '1번' 부동산 대책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부동산 경계감 드러낸 금통위...크게 매파적으로 느껴지지 않았던 이유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금리인하 시점과 강도 좌우하는 부동산...'퐁당퐁당 인하' VS '4분기 이후...'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트럼프, 스트롱맨 혹은 치킨...한국 3주간 '협상 본게임'
김형호의 채권산책
[김형호의 채권산책] CB의 Put Option 행사
2025년 상반기 KOSPI 200 지수가 약30% 상승했다. (317.82 → 414.60, +30%)외국인 투자자는 2025.5월에 국내주식을 2...
[김형호의 채권산책] 지금은 KTB보다 UST(H)에 투자할 때
우리나라와 미국의 Macro지표가 추가적인 금리하락을 가리키고 있다.우리나라는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로 물가...
[김형호의 채권산책] 엔켐14CB를 어떻게 할 것인가?
2024.11.29일 발행한 엔켐14CB의 장내시장 가격이 7,000원대로 하락했다. 2025.6.20일 종가는 7,438원으로 채권가격으...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독립기념일 휴장 속 고용·테슬라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6월 30일~7월 4일) 뉴욕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지속할지 주목된다. 중동 긴장이 완화하고 미국 백악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美CPI·미중협상·애플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9~13일) 뉴욕주식시장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재개 등에 주목할 전망...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관세전쟁 재점화 속 PCE·엔비디아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26~30일) 뉴욕주식시장이 관세전쟁 재점화와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엔비디아 실적 등에 주목...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유예 3주 연장 속 14개국에 협상 타결 압박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집요한 압박 속 파월 7월 금리인하 가능성도 거론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中 디플레 우려 속 하반기 경기 부양 속도 빨라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