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DB금융투자는 16일 "채권투자자들은 펀더멘털이 아닌 연준-재무부 협업으로 금리인하 시점이 지연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홍철 연구원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중앙은행 완화정책이 유동성 상황을 결정했으나 코로나 이후 정부 입김이 커졌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문 연구원은 "특히 2023년 대규모 T-BILL 발행은 지준 규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면서 "따라서 재무부의 단기채 발행 전략이 향후 통화정책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그런 면에서 1월 29일 발표된 재무부 조달 계획은 FOMC보다 더 중요한 이벤트였다고 해석했다.
그는 "지금 연준은 매파적이지만 재무부는 강한 비둘기파"라며 "T-BILL 발행을 줄이라는 차입위원회(TBAC) 권고에도 불구하고 당분기까지는 유지시키기로 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결과적으로 1월 T-BILL 순밸행이 늘면서 유동성도 증가세로 전환됐다고 밝혔다.
문 연구원은 "이는 통화정책을 완화시킴으로써 매파적 연준을 상쇄시킨다. 반대로 4월부터는 계획상 T-BILL이 대량 순상환된다"면서 "이는 해당시점에 유동성 사정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따라서 연준은 4월 이후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그것은 금리인하는 물론 양적긴축을 넘어선 양적완화 재개"라며"인플레로 거대해진 금융시스템이 원활히 작동하는 최저한의 지준규모는 은행 총자산의 13%, 3조달러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문 연구원은 "현재 3.5조 달러의 지준은 4월 이후 빠르게 소진될 수 있다"면서 "미국의 펀더멘털도 중요하지만 재무부와 연준간의 유동성 협업이 더 직접적인 통화정책 바로미터"라고 풀이했다.
따라서 재무부 펀딩 계획 이후 글로벌 크레딧 리스크가 현실화되지 않고 미국의 현재와 같은 상황이 이어진다는 가정하에 연준의 금리인하 시점은 미뤄졌다고 풀이했다.
문제는 아무도 지적하지 않는 핵심 변수인 4월 세금수입이라고 했다.
그는 "재무부의 이번 조달 총규모는 일각의 예상보다 작았다. 4월 세수에 대한 가정 때문"이라며 "세수 예측은 고위공무원도 불가능에 가깝거나 혹은 정치적 의도로 조작된다"고 주장했다.
일단 4분기 전기비 세수는 양호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23년 성장이 긍정적이니 세수가 늘어야 정상이지만 정작 GDI와 YoY 세수는 GDP와 다른 소리를 하고 있다"면서 "만약 4월 세수가 재무부 예상보다 부족하면 T-BILL 발행을 늘릴지 줄일지 중대한 결단의 순간을 맞이한다"고 밝혓다.
이어 "반대로 세수가 충분하면 빠른 긴축하에서 연준의 완화정책이 나타날 것"이라며 "이는 화폐경제학의 최신 경험이론이며 현대 경제학의 밀레니엄 문제이므로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채권투자자들, 펀더멘털 아닌 연준-재무부 협업 따른 금리인하 시점 지연 감안 - DB금투
이미지 확대보기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