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서비스
전체기사
주식
채권
외환
국제경제
국내경제
부동산
원자재
가상자산
칼럼
닫기
검색
Updated : 2025-07-12 (토)
회원가입
로그인
메뉴
검색
페이스북
네이버
유튜브
전체기사
[자료] 2025.7.10(목) RP매입 실시 결과 - 한은
2025.7.10(목) RP매입 실시 결과- 12일물(2025-048-012) 경쟁입찰ㅇ 매입예정액 : 4.00조원ㅇ 응찰액 : 9.40조원ㅇ 낙찰액 : 4.00조원ㅇ 평균낙찰금리 : 2.51%문의 : 759-4477
2025-07-10
RP 12일물 매입(예정 4조). 9.4조 응찰해 4조 2.51%에 낙찰 - 한은
2025-07-10
이창용 "(금리인하 위해) 부동산 가격 좀 잡혀야 하고. 수도권 가격 번지면 젊은층 절망 등 가격 잡는 것도 중요. 8월초 관세도 봐야 하고"
2025-07-10
이창용 "다음번 인하 언제냐, 가장 어려운 게 가계부채는 이미 이전에 계약되서. 그것만 보면 선제대응할 수 있으나 수도권 가격 자체 어떻게 되느냐도 봐야"
2025-07-10
이창용 "관세문제, 생산기지 있는 베트남, 멕시코, 캐나다 등도 봐야. 중국, EU의 대응도 중요하고 이런 게 안정해져 있어서 올해 성장률 1% 등 말하기 불확실"
2025-07-10
이창용 "1차 추경 성장률 제고효과 0.1%p, 2차도 0.1%p 정도. 1차는 5월 전망에 포함. 5월에 생각보다 소비는 좀 좋아지고 수출도 좀 좋게 나오고 해서 좀더 플러스. 반면 건설은 나쁜 정도가 더 커"
2025-07-10
이창용 "한은 금리 인하 폭이 과도해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요인이 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게 예전부터 금통위원의 의견. 기대심리 잡히는지 보자는 것"
2025-07-10
이창용 "정부대책에도 가계부채는 좀더 올라가지만 거래량 떨어지면 가계부채 다시 내려가지 않을까 생각"
2025-07-10
이창용 "부동산, 경기 진작 좀 희상하더라도 수도권 주택 가격 상승 기대심리 안정시키고 가계부채 안정시키는 게 정책우선순위"
2025-07-10
이창용 "우리나라 부동산 문제는 저출산 문제 있고 수도권 집중 등 사회문제와도 관련. 이로 인한 가계부채 GDP의 90% 가까워져 커지면 여러 부작용. 지금도 소비와 성장 제약하는 임계수준"
2025-07-10
이창용 "4명은 추가인하 가능성 열어두고 관세협상, 정부 주택대책 보면서 대책 결정하자. 2명은 금융안정 확신에 시간 필요하고 미국과 금리 격차 2% 이상 확대 주의하자"
2025-07-10
이창용 "3개월 포워드가이던스, 나머지 두 명은 3개월 후에도 이 수준 유지 전망"
2025-07-10
이창용 "3개월 포워드가이던스, 6명 중 4명 2.5%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 열어두자"
2025-07-10
이창용 "기준금리 인하 기조 이어갈 필요 있으나 금융안정, 관세 불확실성 커 향후 입수되는 데이터 보고 판단"
2025-07-10
이창용 "가계부채 대책 영향, 무역협상 등 조금 더 점검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
2025-07-10
이창용 "물가, 낮은 수요압력 감안해 안정적인 수준에서 큰 변화 없을 것으로 봐"
2025-07-10
이창용 "수도권 주택 과열 등 금융불균형 크게 높아진 게 5월 이후 가장 큰 변화...주택과열심리 진정 필요했다"
2025-07-10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장태민 칼럼
(장태민 칼럼) 진성준의 트럼프 향한 사자후
(장태민 칼럼) 이창용의 서울부동산 숙제
(장태민 칼럼) 이재명 정부 '1번' 부동산 대책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부동산 경계감 드러낸 금통위...크게 매파적으로 느껴지지 않았던 이유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금리인하 시점과 강도 좌우하는 부동산...'퐁당퐁당 인하' VS '4분기 이후...'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트럼프, 스트롱맨 혹은 치킨...한국 3주간 '협상 본게임'
김형호의 채권산책
[김형호의 채권산책] CB의 Put Option 행사
2025년 상반기 KOSPI 200 지수가 약30% 상승했다. (317.82 → 414.60, +30%)외국인 투자자는 2025.5월에 국내주식을 2...
[김형호의 채권산책] 지금은 KTB보다 UST(H)에 투자할 때
우리나라와 미국의 Macro지표가 추가적인 금리하락을 가리키고 있다.우리나라는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로 물가...
[김형호의 채권산책] 엔켐14CB를 어떻게 할 것인가?
2024.11.29일 발행한 엔켐14CB의 장내시장 가격이 7,000원대로 하락했다. 2025.6.20일 종가는 7,438원으로 채권가격으...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독립기념일 휴장 속 고용·테슬라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6월 30일~7월 4일) 뉴욕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지속할지 주목된다. 중동 긴장이 완화하고 미국 백악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美CPI·미중협상·애플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9~13일) 뉴욕주식시장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재개 등에 주목할 전망...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관세전쟁 재점화 속 PCE·엔비디아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26~30일) 뉴욕주식시장이 관세전쟁 재점화와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엔비디아 실적 등에 주목...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유예 3주 연장 속 14개국에 협상 타결 압박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집요한 압박 속 파월 7월 금리인하 가능성도 거론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中 디플레 우려 속 하반기 경기 부양 속도 빨라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