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서비스
전체기사
주식
채권
외환
국제경제
국내경제
부동산
원자재
가상자산
칼럼
닫기
검색
Updated : 2025-07-09 (수)
회원가입
로그인
메뉴
검색
페이스북
네이버
유튜브
장태민 채권포커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국고3년 2.75%와 기준금리 터미널레잇...그리고 외국인과 한은
외국인의 대규모 국채선물 매수로 국내 금리가 레벨을 낮춘 뒤 금통위를 앞둔 로컬 투자자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전날 국고3년 금리는 장중 3.75%를 하회하는 모습을 보인 뒤 다소 반등했으나 이날 장중엔 다시...
2024-11-27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금통위 앞둔 외인의 국채선물 대량 순매수...2년 8개월래 최저치로 향한 금리
지난주부터 외국인이 가공할 만한 국채선물 매수를 벌이면서 3년, 5년 구간 금리 등이 2년 8개월만에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 국내 금리는 최근 트럼프 트레이드에 따른 미국 금리 상승에 제대로 반응하지 않은 뒤 트...
2024-11-26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한국 통화완화, 유로존 빅컷 기대에 묻어가나..트럼프 시대 앞두고 양분된 경기흐름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된 뒤 차기 정부의 친기업 행보에 따른 미국 경기 기대감이 높아졌다. 반면 유로존 등 '그밖의 지역'에선 안 그래도 어려운 경기 상황에서 트럼프발 불확실성이 더해졌다. 이런 점은 지난...
2024-11-25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예산심사기간에 나온 연초 추경 얘기...채권시장, 대통령실 시와 때 못 가린다고 비판
22일 아침 대통령실이 '추경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금융시장에선 세수 부족에 따른 나라살림의 어려움이 거론되고 있다. 또 예산심사기간에 원칙을 지키지 않는 재정 운영이란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 채권시장은 내년...
2024-11-22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IMF, 한국 내년 성장 2% 제시했으나 하방위험 무게...금융시장 상당수는 이미 1%대 각오
IMF가 한국에 점진적인 금리인하와 적극적인 건전재정 기조를 권고했다. IMF는 2024년 연례협의에서 한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2%로 낮춘 뒤 이같이 제안했다. IMF는 "한국 경제 성장률은 2025년에 2.0%로 전망되...
2024-11-20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삼성전자, '묘한' 자사주 매입 발표시점...수급 개선, 그리고 궁극적으로 중요한 일
삼성전자 주가가 연이틀 급등했다. 삼성전자 주가는 '4만전자'를 찍은 다음날인 금요일(15일) 7% 넘게 뛰었다. 공교롭게도 그날 장 마감 뒤 자사주 매입 발표가 나왔다. 이번주 거래 첫날에도 주가가 뛰면서 일단 수...
2024-11-18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코스피 2400선 공방...'4만전자' 찍은 다음날 급등한 삼성전자
코스피지수가 15일 장중 2,400선을 내주고 미끌어진 뒤 2,400선 공방을 벌이고 있다. 최근 외국인 매도와 트럼프 재등장 등으로 수출주 위주의 한국 주식시장이 기를 못 폈다. 그간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지...
2024-11-15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힘 실린 연준 12월 인하...금리 인하 강도 약화 가능성 내포한 2025년
미국의 10월 소비자물가상승률(CPI)이 시장 예상에 부합하면서 12월 금리 인하에 보다 힘이 실렸다. 미국 CPI는 전월 대비 0.2%, 전년 대비로도 2.6% 올라 예상치와 같았다. 근원 CPI도 전월보다 0.3%, 전년 대비 3....
2024-11-14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대폭 확대된 한미 10년 금리 스프레드...강화된 한국경제 비관론이 합리화시켜 줄까
최근 한미 금리 차별화가 두드러지고 있다. 한국 금리는 미국 대비 강세 편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 금리는 미국채 금리 상승시 덜 오르고, 하락시엔 상대적으로 이를 적극 추종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흐...
2024-11-11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파월 '자리 지킨다'는 약속과 변함없는 금리 경로...한국 당국자들은 '트럼프 시대' 경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사퇴를 압박하더라도 사임할 생각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파월은 FOMC가 시장 대다수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이 의장...
2024-11-08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불안한 기운 감지됐던 한국 수출경기...트럼프가 더욱 높여버린 한국경제 난이도
작년 하반기부터 수출을 중심으로 한국경제가 회복됐지만 내년부터 트럼프가 이끄는 미국이 자국 중심주의를 강화할 경우 국내 경기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걱정이 만만치 않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 등...
2024-11-07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트럼프가 돌아온다...4년 전과 지금
2020년 11월 4일 한국시간 오후 2시 30분. 미국 대선 개표 상황을 보면, 이 시간만 하더라도 트럼프의 당선이 확실해 보였다. 4년 전 미국 언론이나 여론조사기관들이 대부분 바이든의 우세를 점쳤으나 실제 개표 결...
2024-11-06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45개월만의 최저 기록한 물가상승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비 1.3%로 크게 둔화되면서 45개월만에 가장 낮게 나왔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비 1.3% 상승하는 데 그쳤으며, 전월비로는 변동이 없었다.전년비 상승률은 지...
2024-11-05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장태민 칼럼
(장태민 칼럼) 이재명 정부 '1번' 부동산 대책
(장태민 칼럼) 빚 탕감 논란과 감성 경제학
(장태민 칼럼) 여당 최고위원의 한은 총재 맹비난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금리인하 시점과 강도 좌우하는 부동산...'퐁당퐁당 인하' VS '4분기 이후...'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트럼프, 스트롱맨 혹은 치킨...한국 3주간 '협상 본게임'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확정된 2차 추경 규모...채권수급과 경기에 미칠 영향은
김형호의 채권산책
[김형호의 채권산책] CB의 Put Option 행사
2025년 상반기 KOSPI 200 지수가 약30% 상승했다. (317.82 → 414.60, +30%)외국인 투자자는 2025.5월에 국내주식을 2...
[김형호의 채권산책] 지금은 KTB보다 UST(H)에 투자할 때
우리나라와 미국의 Macro지표가 추가적인 금리하락을 가리키고 있다.우리나라는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로 물가...
[김형호의 채권산책] 엔켐14CB를 어떻게 할 것인가?
2024.11.29일 발행한 엔켐14CB의 장내시장 가격이 7,000원대로 하락했다. 2025.6.20일 종가는 7,438원으로 채권가격으...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독립기념일 휴장 속 고용·테슬라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6월 30일~7월 4일) 뉴욕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지속할지 주목된다. 중동 긴장이 완화하고 미국 백악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美CPI·미중협상·애플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9~13일) 뉴욕주식시장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재개 등에 주목할 전망...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관세전쟁 재점화 속 PCE·엔비디아 주시
이번 주(현지시간 26~30일) 뉴욕주식시장이 관세전쟁 재점화와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엔비디아 실적 등에 주목...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유예 3주 연장 속 14개국에 협상 타결 압박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집요한 압박 속 파월 7월 금리인하 가능성도 거론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中 디플레 우려 속 하반기 경기 부양 속도 빨라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