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11-23 (일)

(상보) 美트럼프, 쇠고기·커피·열대 과일 상호관세 폐지

  • 입력 2025-11-17 08:12
  • 김경목 기자
댓글
0
(상보) 美트럼프, 쇠고기·커피·열대 과일 상호관세 폐지이미지 확대보기
[뉴스콤 김경목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급등한 식료품 물가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을 달래기 위해 쇠고기·커피·바나나·토마토 등 수십여 개 농산물과 식품에 부과된 상호관세를 대폭 철회했다.

고물가 비판이 거세지고 최근 지방선거에서 공화당이 부진한 성적을 거둔 뒤 정책 기조를 급선회한 것으로 풀이된다.

14일(현지시간)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100여 개에 이르는 농산물·식품 품목을 관세에서 면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8월 사실상 모든 교역국에 일괄 부과했던 광범위한 상호관세 체계를 부분적으로 되돌리는 것으로, 관세 인하 혹은 폐지 대상에는 쇠고기·커피·바나나·아보카도·견과류 등 미국 내 수요를 국내 생산만으로 충족시키기 어려운 품목들이 대거 포함됐다.

백악관 관계자들은 “관세 정책을 전략적으로 재설계하는 단계”라고 설명했지만 미국산 생산량이 충분한 쇠고기까지 면제 품목에 포함되면서 사실상 ‘밥상 물가 안정’에 초점이 맞춰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CNN에 따르면 올해 들어 다진 쇠고기 가격은 14% 이상, 커피는 15% 넘게 상승했다. 시장 관계자들은 이 같은 가격 급등의 배경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광범위한 관세 부과와 농장 노동력을 담당해온 이민자 단속 강화 등을 지목한다.

이번 결정은 트럼프 행정부가 에콰도르·과테말라·엘살바도르·아르헨티나 등과 농산물 관세 완화를 위한 기본 합의에 도달했다고 발표한 직후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커피 수입을 늘리기 위해 관세를 낮추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히는 등 유권자들의 생활비 부담 완화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관세가 소비자 물가를 올렸다는 비판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측근들은 그동안 부인해왔다. 다만 이번 조치로 사실상 정책 실패를 인정한 것 아니냐는 평가도 제기된다. 시장 참여자들은 “관세 부담이 해외 수출국·유통업체가 아닌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됐다”는 점을 수차례 지적해 왔다.

정치적 부담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달 초 실시된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버지니아·뉴저지 등 핵심 지역에서 압승하면서 ‘고물가 이슈’가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 약점으로 떠올랐다. 워싱턴포스트는 “유권자들이 트럼프의 주장보다 현실 경제 상황을 더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 산업계 역시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안감을 숨기지 않고 있다. 관세로 인해 기업들의 생산 비용이 높아졌고, 도매가격 상승이 소매가격에 반영되는 시차를 감안하면 소비자 부담은 향후 더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식품 관세 철회가 일정 부분 부담을 덜어줄 수는 있지만 “근본적 해결책은 될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조치 외에도 약값 인하, 주거비 완화 등 생활비 관련 후속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 강경 기조를 고수해온 트럼프 대통령이 물가 문제를 직접 언급하며 정책 방향을 선회하고 있어 향후 추가 완화 조치가 나올지 주목된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