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10-20 (월)

[김형호의 채권산책] 저Coupon 장기국채

  • 입력 2025-10-20 09:00
  • 김형호 CFA(한국채권투자운용 대표)
댓글
0
[김형호 CFA(한국채권투자운용 대표)] 국고01125-3906(19-6), 국고01500-5003(20-2) 등 표면금리가 낮고 잔존만기가 긴 채권을 “저Coupon 장기국채”라고 한다.

2022년 채권금리가 3%대로 상승하면서 절세 매력이 커져서 개인투자자들이 저Coupon 장기국채를 적극적으로 매입하게 되었다.

2025.10.17일(금) 기준 국고19-6과 국고20-2의 매매금리는 각각 2.830%, 2.807%로 2022년에 매입한 투자자는 상당한 평가이익 상태이다.

필자회사는 2022.10.12일 국고20-2를 4.01%에 최초 매입했고, 이후 3.0%까지 매입(추격매수)했다.

2022.9월 국고20-2의 Target 매입금리를 3.60%로 설정했지만 투자자에게 “장기채 투자전략”을 설명하고 매입 준비하는 동안 금리가 급등해서 4%대에 매입을 시작하게 되었다.

2022년 금리상승 원인은 물가상승이었다.

Covid-19 Lockdown발 Supply Chain 붕괴에 이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2022.7월 CPI(한국)는 +6.3%(yoy) 이었다.

미국의 2022.7월 PCE Price Index는 +7.2%(yoy) 이었다.

급등했던 국제원자재 가격은 곧 안정되었다.

원유(crude oil)가격은 2022.6월 122달러까지 상승했으나 3개월 후인 2022.9월 80달러대에서 거래되고 있었다.

시카고 선물거래소의 밀 가격은 2022.6월 1,220달러에서 2022.9월 600달러 대로 하락했다.

2022.9월에는 1년 후의 CPI(yoy)가 급격히 안정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4%대의 높은 금리”, “절세매력”, “물가상승세 둔화” 등은 왜 국고20-2를 매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가 되었다.

필자는 2022.9월~10월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등 주요 도시에서 “저Coupon 장기국채의 매력”을 설명했다.

2022년 매입 당시 설정한 투자기간이 3년이었고, 최초 투자분은 2025.10.12일에 만기가 되었다.

필자회사는 기간Mismatch 투자할 때 잔존만기 30년이면 투자기간을 3년이상, 20년은 2년이상, 10년은 1년이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투자기간(time horizon)은 금리상승위험(volatility)을 상당수준 완화할 수 있는 기간으로 정했다.

투자기간을 3년으로 설정했더라도 중간에 차익을 실현할 수 있다.

필자회사도 2.5%~2.8% 사이에서 일부 차익을 실현했다.

2022.10.12일로 돌아가보자.

투자대상종목은 국고01500-5003(20-2), 매입금리는 4.01%, 투자기간은 3년, Target 매도금리는 3.51%(0.5%하락)이었다.

3년 후(2025.10.12일)의 금리민감도분석표는 다음과 같다.

+1.0%(5.01%) → -1.53%(연)

+0.5%(4.51%) → +1.07%(연)

-0.5%(3.51%) +7.31%(연)

-1.0%(3.01%) → +10.95%(연)

투자종료시점의 국고20-2 매매금리가 1% 상승할 경우에는 연1.53%의 투자손실이 발생한다.

Target금리인 3.51%에 매도할 경우 투자수익은 3년간 연7.31%이고, 과표는 연1.50%이다.

금리가 급등한 상태이고, 물가가 안정되고 있기 때문에 실현가능성이 높아 보였다.

투자종료 시점인 2025.10.12일 매매금리(민평금리)는 2.867%이다.

금리민감도분석표에서 3년간 투자수익률을 계산해보면 +12.06%(연)이다.

2022.10월 3년만기 정기예금은 연4.50% 수준이었다.

절세효과도 크다.

정기예금은 연4.5%가 모두 과표이지만 국고20-2는 연1.5%만 과표로 잡힌다.

정기예금은 만기시점 소득에 계상되어 금융소득종합세 부담이 큰 반면 국고20-2(이표채)는 매년 1.50%에 대해 세금을 납부한다.

장기채는 Leverage가 크다.

국고20-2의 경우 3년동안 채권금리가 1.143%하락했는데 투자수익률은 연12.06%이다. (1.143% = 4.01% - 2.867%)

반대로 금리가 상승하면 손실도 커진다.

그래서 필자회사는 3%이상에서만 매입하고 2%대에서는 매입을 중단했다.

국고20-2는 2024.12월, 2025.3월~5월에 2.50% 수준에서 거래되었다.

이때 매입한 개인투자자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보유하는 동안(매도할 때까지) 연1%의 비과세효과가 있어서 세후 투자수익률은 정기예금과 비슷할 것 같다.

장기채의 투자성과에는 향후 채권금리가 중요한데, 특히 미국 정책금리 영향이 크다.

올해 2번 남은 FOMC에서 FFR을 0.50%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리고, 2026.5.23일 Chairman Jerome Powell의 임기가 만료된다는 점도 중요하다.

2026.6월에는 Trump대통령이 임명한 Governor가 7명 중에서 4명이 된다.

현재 Michelle W. Bowman, Christopher J. Waller, Stephen I. Miron에 1명이 추가되어 Board of Governor의 다수를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Board of Governor가 12개의 Reserve Bank를 통제하기 때문에 FOMC를 좌지우지할 수 있다.

Trump행정부 입장에서는 UST의 조달금리를 낮추고 싶어하고, 그러려면 FFR인하가 필수이다.

저Coupon 장기국채 투자자는 내년 6월부터 달라질 FOMC를 충분히 고려해서 판단하면 좋겠다.

김형호 CFA(한국채권투자운용 대표) strategy11@naver.com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