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김경목 기자] 한국은행(경제통계1국)이 19일 한국통계학회와 공동으로 '경제통계의 진화 : AI 활용과 통계방법론의 확장' 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경제·금융 분석의 정도를 제고할 수 있는 ‘데이터 적응 요인모형’에 관한 초청 강연을 시작으로 뉴스 데이터, 시장 수급동향 등의 정보를 활용해 금융시장을 예측하는 방법론에 대해 논의하고, 소규모 언어모델을 활용한 뉴스심리지수 개선, 머신러닝을 이용한 데이터 생산액 시산 등 한국은행의 연구를 소개했다.
한은은 "이번 포럼은 AI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제지표를 설명·예측하는 학계의 연구성과와 함께 경제통계의 현실 설명력을 높이기 위한 연구결과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한국통계학회 강기훈 회장의 개회사, 한국은행 유상대 부총재의 환영사에 이어 초청강연, 논문발표·토론 등 전체 3개 세션에 걸쳐 진행됐다.
세션1에서는 고차원 패널 데이터 분석에 있어, 분위수 요인모형(Quantile Factor Model)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전체 분포 구조를 활용해 잠재적인 패턴을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데이터 적응 요인모형'을 제시했다.
세션2에서는 전통적 경제지표 이외에 뉴스 데이터, 이미지, 주식시장 수급 동향 등 다양한 정보를 활용해 경제지표를 설명·예측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고찰했다.
세션3에서는 소규모 언어 모델(SLM, Small Language Model) LLM(Large Language Model)에 비해 특정 영역에 특화되어 설계된 언어 모델과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기존 통계를 개선하고 새로운 지표를 시산한 한국은행의 성과를 발표했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