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북한 실질 GDP 전년비 3.7% 성장..8년 만에 최고 - 한은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김경목 기자] 지난해 북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8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4년 북한의 실질 GDP는 국가 정책사업 추진 강화 및 북·러 경제협력 확대 등에 힘입어 전년(3.1%)대비 3.7% 성장했다.
연간 실질 GDP 성장률 3.7%는 지난 2016년 3.9%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제조업, 광업, 건설업 등의 증가폭이 확대됐으나 농림어업은 감소했다.
제조업은 설비증설, 무기류 수출 증가 등에 힘입어 1차 금속제품, 조립금속 및 기계,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7.0% 증가했다.
광업은 석탄, 금속, 비금속이 모두 늘어 8.8% 증가, 건설업은 주거용 건물을 중심으로 12.3% 증가했다.
반면 농림어업은 어업이 소폭 늘었으나, 축산업 및 임업이 줄며 1.9% 감소했다. 2022년 -2.1%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작년 기준 북한의 산업별 비중(명목GDP 대비)은 광공업(30.5%), 서비스업(29.8%), 농림어업(20.9%) 등의 순으로 높았다.
전기가스수도업(+1.8%p, 5.4% 2023년→7.2% 2024년), 건설업(+0.6%p,11.0%→11.6%)의 비중은 전년대비 상승했으나 서비스업(-1.1%p, 30.9%→29.8%), 농림어업(-1.1%p, 22.0%→20.9%), 광공업(-0.2%p, 30.7%→30.5%)은 하락했다.
북한의 국민총소득(명목 GNI)은 44.4조원으로 전년대비 8.6% 증가했으며, 우리나라(2,593.8조원)의 1/58(1.7%)수준이었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171.9만원으로 전년대비 8.2% 증가했으며, 우리나라(5,012.0만원)의 1/29(3.4%)수준이었다.
북한의 대외교역 규모는 27.0억달러로 전년(27.7억달러)에 비해 2.6% 감소했다.
수출은 3.6억달러로 조제우모·가발, 광·슬랙·회 등을 중심으로 10.8% 증가한 반면, 수입은 23.4억달러로 비료, 곡물 등을 중심으로 4.4% 감소했다.
한편 남북간 반출입 실적은 전년에 이어 전무했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