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보) 류진 한경협 회장 "한국 기업들, 1500억달러 대규모 대미투자"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김경목 기자]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이 “한국 기업들은 1500억달러의 대규모 대미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류 회장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한국 경제계 대표로 한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언급한 뒤 “미국과 글로벌 시장을 함께 견인해 제조업 르네상스의 새 시대를 열어가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투자 계획과 오늘 양국 기업들이 논의할 협력 강화는 원대한 한미 산업 협력 구상을 실행하는 로드맵이 될 것”이라며 “양국 정부도 적극 지원해 주시리라 믿는다”고 했다.
이 대통령의 첫 미국 방문에 맞춰 개최된 이날 행사에는 이재명 대통령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한국경제인협회의 류진 회장을 비롯해 이재명 삼성전자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LG 구광모 회장,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등 국내 16개 주요 그룹 총수들이 자리했고, 미국 측에서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칼라일 그룹 공동회장 등 21명의 기업인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첨단산업(반도체·AI·바이오) △전략산업(조선·원전·방산) △공급망(모빌리티·배터리) 등 분야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우리 기업들은 총 1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추가 투자 계획을 공식화했다.
이재용 회장과 최태원 회장은 황 CEO와 반도체·AI 협력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AI용 반도체 산업의 주역으로 떠오른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관련한 협력 방안이 테이블에 올랐다.
이 회장은 2030년까지 370억달러를 투자하는 텍사스주 테일러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공장 건설에 더해 추가 설비 투자, 현지 반도체 생태계 구축 등의 방안과 삼성중공업의 대미 조선 투자 계획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회장은 배터리와 반도체 관련 추가 협력 계획을 공개한 것으로 전해졌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38억7000만달러를 투자해 차세대 HBM 생산을 위한 반도체 후공정 공장 건설을 준비 중이다.
정의선 회장은 지난 3월 백악관을 방문해 공개한 210억달러 규모 투자 계획을 구체화했다. 현대차그룹은 로봇 등 미래 산업과 에너지 관련 투자도 검토 중이다. 구광모 회장은 배터리, 가전 등 주력 사업과 관련한 미국 투자를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의 양대 축인 한화의 김동관 부회장과 HD현대의 정기선 수석부회장도 현지 기업과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HD현대는 이날 필리핀 수비크 조선소를 보유한 미국계 사모펀드(PEF) 서버러스 및 산업은행과 마스가 관련 첫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구자은 LS그룹 회장은 해저케이블, 전력기기 등을 포함한 30억달러 규모 투자 계획을 내놨고, 최윤범 회장은 희토류의 일종인 안티모니를 록히드마틴 등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양국 기업들은 "미국의 혁신 기술력과 한국의 제조 경쟁력이 결합하면 세계 시장을 견인할 수 있다"면서 공동 연구 등 양국 기술 협력과 정부 지원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류 회장은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라는 새로운 챕터를 열고자 한다”며 “단지 생산 시설을 늘리는 데 그치지 않고 큰 틀의 상생 협력을 하는 것이 공동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한편 그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 주제가 ‘골든’을 거론하며 “한국계 미국인 여성 3명이 부른 빌보드 차트 1위 주제곡에 ‘업 업 업’(up up up)이란 노랫말이 나온다”며 “오늘 이 자리가 한미가 함께하는 제조업 르네상스, 상승과 영광의 황금시대로 가는 출발이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