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 2026년 HBM 물량 협상 구체화. 9월 내 관련 불확실성 축소 전망.
* AI의 온기는 일반서버로 확산. 4Q25 범용 DRAM 가격 전망 상향.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매수 의견 유지
■ 불확실성의 완화
2가지 변화에 주목. 2026년 HBM 물량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며, 관련 불확실성 축소 전망. AI의 선순환 속 일반 서버 수요 (DDR5, eSSD)도 상향.
1) 2026년 HBM 공급 협상, 걷히기 시작한 안개
마이크론은 최근 2026년 HBM 판매에 대한 자신감을 표출했고, 선두 업계의 2026년 물량 협상은 마무리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 HBM4의 공급 본격화 시점 (2Q26 예상) 및 제품 생산의 리드타임 (5-6개월)을 감안 시, 2025년 9월 내로 2026년 연간 물량 협상에 대한 논의는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 이에, 공급 협상 지연이 가져온 불확실성은 완화되기 시작할 것이라는 판단.
HBM4 가격의 경우, 예년과 달리, 가격이 연중 고정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 분기/반기 단위로 초기 계약이 진행될 것이라는 판단. 고무적인 점은 시장의 비관론 (HBM4 12단 가격: 500달러 초반) 대비 HBM4 12단의 초기 가격이 높게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 HBM4 초기 가격은, 2025년 HBM3e12단 가격 대비 10% 중후반의 가격 프리미엄을 받을 것으로 전망.
보다 주목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사업 전략. 수익성이 의사판단의 기준점으로 여전히 자리잡고 있고, 이는 과거 범용 반도체에서 봐왔던 자발적 가격 할인 경쟁이 재현되지 않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높일 수 있는 변화.
2) AI의 선순환, 일반 서버 수요의 상향
AI 버블론이 재차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으나, 우려는 아직 기우라는 판단. AI추론 생태계의 확산 속, 다방면에서 AI의 초과수요 현상이 목격. 이에, 데이터 센터 Build up 수요는 여전히 견고한 성장세를 지속.
최근 북미 CSP들의 메모리반도체 (DDR5, eSSD) 구매 수요도 유의미하게 상향. AI 모델의 효율적 구동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반 서버 투자가 재개. 반면, 공급 단의 병목은 지속. 단기적으로, 고객들의 수요 상향에 모두 대응하긴 어려운 상황. 일반 서버향 수급 환경 개선 영향으로 사이클의 둔화 Risk는 축소. 4Q25 범용 DRAM 가격 전망을 기존 3% 하락에서 2% 성장으로 상향.
투자전략: 대형주 매수 접근 유효
Cyclical 주식에 있어 불확실성은 차익 실현의 매개체로 작용. 8월의 주가 부진도 이러한 부분에서 기인. 업황의 불확실성을 축소시켜줄 수 있는 변화가 다가오고 있는 만큼 보다 긍정적으로 주식을 바라볼 때라는 판단.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한 매수 의견을 재확인.
(류형근 대신증권 연구원)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