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보) 트럼프, '러 원유 수입' 인도에 50% 관세 부과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김경목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에 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6일(현지시간) 인도산 수입품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인도의 대미 수출품에 부과되는 전체 관세는 50%로 상승하게 되며 이는 미국이 부과하는 관세 중 가장 높은 수준 중 하나다. 이 행정명령에 따라 새로운 관세율은 21일 후인 8월 27일부터 발효된다.
인도 외교부는 성명을 통해 "해당 관세는 부당하고 정당하지 않으며 불합리하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그러면서 "여러 다른 국가들 역시 자국의 국익을 위해 유사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이 인도에만 추가 관세를 부과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며 "인도는 자국의 국익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인도가 러시아의 침공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에서 수많은 사람이 희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며 관세 인상을 경고한 바 있다.
백악관은 성명을 통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내 군사행동은 미국의 국가안보 및 외교정책에 지속적인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보다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이 미국의 대러 제재 노력에 반하는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백악관은 "미국 정부가 러시아산 석유를 수입하는 다른 국가들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으며 필요시 추가 조치를 대통령에게 권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의 최대 수출 품목인 석유와 가스는 현재 중국, 인도, 터키 등이 주요 구매국으로 꼽힌다.
이번 관세 인상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의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가 모스크바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 협상을 위해 회담을 가진 직후에 발표됐다.
추가 관세로 인해 인도의 주요 수출품인 섬유, 보석 및 귀금속, 자동차 부품, 수산물 등에 50%에 달하는 고율의 관세가 부과될 전망이다. 이는 수백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핵심 산업에 직격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자제품과 의약품은 이번 관세 인상에서 제외된다.
인도 외교부 대변인은 "전쟁 발발 직후 미국이 에너지 시장 안정을 위해 인도에 러시아산 가스 수입을 권장했었다"며 "전통적인 공급국들이 유럽으로 방향을 틀면서 인도는 대체 공급처로 러시아를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우방국이나 주요 교역 파트너국에 대해서도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제재를 가할 수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입장을 다시 한 번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된다. 특히 8일까지로 예고된 대러 제재 확대 및 러시아산 석유 수입국에 대한 최대 100% 관세 부과 방침과 맞물리면서 다른 국가들 역시 제재의 영향권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경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인도는 미국이 러시아와 일부 무역을 계속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국에만 강경한 조치를 취하는 것은 이중잣대라고 비판해왔다. 실제로 미국은 지난해 러시아와 약 35억달러 규모의 무역을 진행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과거 서로를 '친구'로 지칭하며 양국에서 각각의 정치행사에 참석했던 바 있다. 다만 이번 조치로 인해 양국 간의 이해관계가 갈라지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인도 수출기업연합(FIEO)은 이번 결정을 두고 '매우 충격적'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FIEO는 이번 추가 관세로 인해 인도의 대미 수출의 55%가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델리 소재 싱크탱크인 글로벌무역연구소(GTRI)는 "미국 내 인도산 제품 가격이 급등해 수출량이 40~50%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GTRI 아제이 스리바스타바 소장은 "인도는 차분함을 유지하며 최소 6개월간 보복 조치를 자제하고, 위협이나 불신 아래서는 실질적인 무역 협상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미국에 인식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