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김경목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 자신의 SNS에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에게 서한을 보내 캐나다 수입품에 8월 1일부터 35%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전했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캐나다가 보복하면 관세를 더 높이겠다"고 경고했다.
전일 그는 “관세통보 서한을 받지 않는 나라들에 15~20%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동맹국들에게 “미국과 협상하는 데 계속 힘쓰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카니 총리는 새로운 마감일을 앞두고 자국 노동자와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다른 미국 파트너들에게 20건 이상의 유사한 관세 서한을 보냈다. 유럽연합(EU)과 멕시크에는 8월 1일부터 30% 상호관세를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캐나다 일부 제품에 대해선 이미 25%의 일괄 관세가 부과됐다. 캐나다는 트럼프의 글로벌 철강, 알루미늄 및 자동차 관세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다. 다만 북미 자유무역협정(NAFTA)에 부합하는 제품에 대해선 현재 면제 조치가 적용되고 있다.
미국 언론은 현재 캐나다-미국-멕시코 협정(CUSMA) 면제 조치가 이번 최신 관세 위협에도 여전히 적용될 것이라고 보도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알루미늄과 철강 수입에 50% 관세를,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와 트럭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최근 구리 수입에 5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다음 달에 시행될 예정이다.
캐나다는 수출의 약 3분의 2를 미국에 의존하고 있다. 자동차 제조 중심지이자 금속 주요 공급국으로 이번 미국의 관세는 해당 산업에 특히 심각한 타격을 입힐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35% 관세는 해당 산업별 관세와 별개라며 "캐나다나 캐나다 내 기업이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거나 제조하기로 결정한다면 관세는 부과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세를 캐나다가 미국으로의 펜타닐 유입을 막지 못한 '캐나다의 실패'와 캐나다가 미국 유제품 농가에 부과한 기존 관세, 양국 간의 무역 적자와 연결시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가 나와 협력해 펜타닐 유입을 차단한다면, 이 서한에 대한 조정을 고려할 수도 있다"며 "이 관세율은 미국과의 관계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했다.
카니 총리는 X를 통해 "캐나다는 북미에서 펜타닐의 확산을 막기 위해 필수적인 진전을 이뤘으며, 캐나다 정부는 양국 커뮤니티를 보호하기 위해 미국과 계속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에 따르면, 미국으로 유입되는 펜타닐 압수 사례 중 캐나다 국경에서 압수된 사례는 약 0.2%에 불과하다. 나머지 대부분은 미국과 멕시코 국경에서 압수됐다.
올해 초 캐나다는 트럼프의 비판에 대응해 국경 보안에 추가 자금을 투입하고 펜타닐 담당 특사를 임명한 바 있다.
캐나다는 최근 몇 달간 미국과 새로운 무역 및 안보 협정을 체결하기 위해 강도 높은 협상을 진행해 왔다.
6월 G7정상회담에서 카니 총리와 트럼프 대통령은 30일 이내에 새로운 협정을 체결하겠다며, 7월 21일을 마감일로 설정했다.
트럼프는 서한에서 캐나다가 보복 조치를 취할 경우 관세를 인상하겠다고 위협했다. 캐나다는 이미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를 부과한 바 있으며 마감일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추가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6월 말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명백한 공격이라고 지칭하고 무역 협상 중단을 위협하자, 카니 총리는 미국 대형 기술 기업에 대한 세금을 철회하기도 했다. 그는 "이 세금은 두 국가 간의 무역 협상에서 '더 큰 협상의 일부'로 철회됐다"고 설명했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