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09-07 (일)

(상보) 美베센트 "협상 불발 국가에 8월1일부터 상호관세 적용"

  • 입력 2025-07-07 07:28
  • 김경목 기자
댓글
0
(상보) 美베센트 "협상 불발 국가에 8월1일부터 상호관세 적용"이미지 확대보기
[뉴스콤 김경목 기자]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무역협상이 불발된 국가에는 8월 1일부터 상호관세가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6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90일 관세 유예 조치가 9일 종료됨에 따라 앞으로 며칠 내에 약 100개국에 관세 통보 서한이 발송될 것이라며 "만약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8월 1일 관세 수준은 4월 2일 당시 수준으로 되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관세 통보 서한에 관세율은 현재 10% 기준에서 최대 70%까지 적용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베센트 장관은 "미국이 주요 무역 파트너에 대해 70% 관세율을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며 "약 100통의 서한이 우리와 무역량이 많지 않은 소규모 국가들에 발송될 것이다. 이 중 많은 국가가 이미 기준선 10%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4일 트럼프 대통령은 "7월 9일 마감일까지 협상을 완료하지 못한 국가들은 서한이 더 나은 옵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까지 트럼프 대통령은 세 국가와의 협정만을 발표했다. 영국은 10% 관세율을 유지했으며 중국은 대부분의 상품에 대한 관세를 145%에서 30%로 일시 하향 조정했다. 베트남 상품에 대해선 최소 20% 관세를 부과했다.

세 가지 협정이 '프레임워크'로 묘사된 데 대해 베센트 장관은 "앞으로 발송될 서한들이 관세율을 확정할 것이다. 앞으로 며칠 내로 100건이 완료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중 많은 국가들은 우리에게 연락조차 하지 않았다. 우리는 이 상황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며 "이번 주에 몇 가지 큰 발표가 있을 수 있다"고 했다. 다만 협정을 체결할 수 있는 국가명은 밝히지 않았다.

베센트는 8월 1일을 새로운 마감일로 설정하는 것에 반대하며 "이것은 새로운 마감일이 아니라 이것이 일어나는 시점"이라며 "속도를 내고 싶다면 그렇게 하면 된다. 예전 관세율로 돌아가고 싶다면 그건 당사국의 선택"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들은 트럼프의 무역 전쟁, 특히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광범위한 관세가 소비자의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경고해 왔다. 월마트를 포함한 일부 기업들은 트럼프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고객에게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현재까지 인플레이션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며 이러한 전망을 '허위 정보'와 '관세착란증후군'이라고 칭했다.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관세는 일부 세수를 확보할 것이지만, 이로 인해 미국 생산자의 경쟁력 저하와 더 높은 인플레이션이라는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스티브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은 "트럼프 1기 당시 중국에 부과된 관세가 경제에 해를 끼쳤다는 지속적인 증거는 없다. 트럼프 2기 정부는 올해에도 같은 정책을 반복했을 뿐"이라며 "관세 수입은 쏟아지고 있다. 경제적으로 의미 있는 인플레이션의 징후는 전혀 없으며 고용 창출은 여전히 견조하다"고 덧붙였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