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07-01 (화)

(1보) 5월 광공업생산 전월비 2.9% 감소...전산업생산도 1.1% 줄면서 부진

  • 입력 2025-06-30 08:21
  • 장태민 기자
댓글
0
(1보) 5월 광공업생산 전월비 2.9% 감소...전산업생산도 1.1% 줄면서 부진이미지 확대보기
[뉴스콤 장태민 기자] 광공업생산 등 산업생산 전반이 부진을 나타냈다.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5월 광공업생산은 1차금속(1.5%)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의약품(-10.4%), 금속가공(-6.9%)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2.9% 감소했다.

금속가공 분야에선 자동차용프레스가공품, 육상금속구조물(조립용 구조재) 등의 생산이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의약품(-10.7%)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18.1%), 기타운송장비(29.4%) 등에서 생산이 늘어 0.2% 증가했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대비 0.4% 증가하고 전년동월대비 6.0% 감소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1.7%로 전월대비 2.1%p 하락했다.

서비스업생산은 금융·보험(2.8%)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정보통신(-3.6%), 운수·창고(-2.4%)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1% 감소했다.

정보통신 쪽에선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등에서 감소했다. 운수·창고 쪽에선 해상 운송업, 육상 여객 운송업 등에서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도소매(-1.6%)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보건·사회복지(7.1%), 금융·보험(3.6%) 등에서 생산이 늘어 1.0% 증가했다.

전산업생산은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광공업, 건설업,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1.1%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건설업,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줄어 0.8% 줄었다.

■ 소매판매 보합...설비투자 4.7% 감소

소매판매는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1.2%), 의복 등 준내구재(0.7%)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화장품 등 비내구재(-0.7%)에서 판매가 줄어 전월대비 보합을 나타냈다.

내구재 쪽에선 통신기기·컴퓨터, 승용차에서 증가했고 비내구재에선 화장품, 음식료품 등에서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승용차 등 내구재(4.1%)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화장품 등 비내구재(-1.3%),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2.4%)에서 판매가 줄어 0.2% 감소했다.

소매업태별 판매를 보면 전년동월대비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6.5%)에서 판매가 증가했으나 면세점(-17.7%), 슈퍼마켓 및 잡화점(-2.9%) 등에서 판매가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0.1%)에서 투자가 늘었으나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6.9%)에서 줄어 전월대비 4.7% 감소했다.

반도체제조용기계 수입(일평균, 백만달러, 관세청)은 4월 50.2에서 5월 47.4로 줄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26.1%) 및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0.6%)에서 투자가 모두 늘어 7.5% 증가했다.

국내기계수주는 공공(27.0%)에서 늘었으나, 민간(-6.0%)에서 수주가 줄어 전년동월대비 4.8% 감소했다.

건설기성은 건축(-4.6%) 및 토목(-2.0%)에서 공사실적이 모두 줄어 전월대비 3.9% 감소했다. 건축에선 주거용 및 비주거용 공사실적이 모두 감소했다. 토목에선 일반토목 공사실적이 줄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건축(-23.3%) 및 토목(-12.8%)에서 공사실적이 모두 줄어 20.8% 감소했다.

건설수주(경상)를 보면 주택 등 건축(20.7%)에서 수주가 늘었으나, 발전·통신 등 토목(-62.4%)에서 수주가 줄어 전년동월대비 5.5% 감소했다.

경기종합지수를 보면 동행종합지수순환변동치는 비농림어업취업자수, 서비스업생산지수가 증가했으나 건설기성액, 내수출하지수 등이 감소해 전월대비 0.4p 하락했다.

선행종합지수순환변동치는 수출입물가비율, 경제심리지수 등이 증가했으나 건설수주액, 기계류내수출하지수 등이 감소하여 전월대비 0.1p 하락했다.

(1보) 5월 광공업생산 전월비 2.9% 감소...전산업생산도 1.1% 줄면서 부진이미지 확대보기


(1보) 5월 광공업생산 전월비 2.9% 감소...전산업생산도 1.1% 줄면서 부진이미지 확대보기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