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김경목 기자] 한국은행이 앞으로도 물가 안정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18일 한은 조사국 물가고용부는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에서 "앞으로도 물가 안정기조는 이어질 전망"이라며 "상반기중 가공식품 및 일부 서비스가격이 인상된 점은 연중 상방요인으로 작용하겠으나, 낮은 수요압력 등이 이를 상쇄하면서 금년 하반기중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은 모두 1%대 후반 수준에서 안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최근 들어 중동지역 지정학적 갈등 고조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이 물가 상방요인으로 부각된 점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물가 전망경로 상에는 미국 관세정책의 전개양상, 내수 회복속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했다.
한은 물가고용부는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기를 거치며 높아진 물가수준은 가계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그동안 농축수산물 가격이 높은 변동성을 보여온 데다, 최근 가공식품 등 필수재 가격이 인상되면서 취약계층의 체감물가가 높다. 특히 가공식품‧외식물가는 생산비용 상승이 가격에 장기간 전가되면서 취약계층의 부담이 계속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수도권 집값 상승으로 인한 주택시장 양극화도 수도권 가계의 주거비 부담을 높이는 요인이라며 "물가수준, 부동산 시장 양극화와 같은 문제는 구조적인 성격이 커 통화정책만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만큼 공급여력 확충, 유통구조 개선 등 구조개혁을 통해 근본적인 물가안정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올해 상반기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목표 수준2.0% 근방에서 안정된 흐름을 나타냈다. 근원물가 상승률도 안정된 흐름을 지속한 가운데 여타 기조적 물가 지표들도 대체로 안정 흐름을 지속하며 평균치가 2% 부근에서 유지됐다.
물가고용부는 "올해 상반기 CPI는 작년 하반기 대비 0.3%p 높아졌는데 이는 석유류가격 및 공업제품 가격, 서비스 가격 등이 상승한 데 기인한다"고 밝혔다.
한편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은 작년 하반기 이후 2%대 후반 수준을 지속하다 최근 2%대 중반 수준으로 하락했다.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은 물가목표 2%를 소폭 하회하는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향후 물가 여건에 대해 "공급 측면에서는 농산물가격의 안정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나 국제유가가 중동지역 지정학적 갈등 고조에 따라 최근 70달러대 중반 수준으로 상승했다"며 "수요 측면에서는 완만한 내수 회복이 예상된다. 공공요금 인상도 물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