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원 전망] 매파 파월 속 달러지수 0.4%↑...1390원 중후반대 상승 시작할 듯](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50807490000093fe48449420211255206179.jpg&nmt=59)
![[달러/원 전망] 매파 파월 속 달러지수 0.4%↑...1390원 중후반대 상승 시작할 듯](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999&simg=2025050807490000093fe48449420211255206179.jpg&nmt=59)
[달러/원 전망] 매파 파월 속 달러지수 0.4%↑...1390원 중후반대 상승 시작할 듯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김경목 기자] 8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지수 강세 영향으로 새벽종가(1394.0원) 대비 소폭 오른 수준에서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간밤 시장은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과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통제 정책 철회 소식 등을 주목했다. 이에 달러지수와 미국주식이 강세를 보였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이날까지 이틀간 진행된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현행 4.25~4.50%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전문가 예상에 부합하는 결과로, FOMC 위원 전원일치로 이뤄졌다. FOMC는 성명에서 “경제 전망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증대됐다”며 “실업률 및 물가상승 위험이 커졌다”고 판단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관세 인상이 계속되면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둔화가 초래될 것”이라면서도 "관세 영향이 명확해질 때까지 당분간 기다리는 편이 낫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인하 압박이 업무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며 "고관세가 지속되면 내년까지 목표금리 달성이 어려울 듯하다"고 덧붙였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미 하원 재무위원회에 출석해 “오는 1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중국과의 첫 번째 무역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는 중국과의 협상이 이미 상당히 진전된 상태냐는 질문에 “진전된 논의는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정부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통제 정책을 철회할 방침이라고 블룸버그 등이 보도했다. 미 상무부 대변인은 "전임 정부의 AI 규칙은 과도하게 복잡하고 관료적"이라며 "대체될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외환시장에서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인덱스가 0.4% 상승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매파적 발언으로 금리인하 기대감이 약화한 덕분이다.
뉴욕시간 오후 3시 10분 기준, 미 달러인덱스는 전장 대비 0.41% 높아진 99.65에 거래됐다.
유로화는 달러화 대비 약했다. 유로/달러는 0.25% 낮아진 1.1342달러를 나타냈다. 파운드/달러는 0.26% 내린 1.3334달러를 기록했다.
일본 엔화도 달러화 대비 약했다. 달러/엔은 0.66% 오른 143.35엔에 거래됐다.
역외시장에서 중국 위안화 역시 달러화 대비 약했다. 달러/위안 역외환율은 0.21% 상승한 7.2247위안에 거래됐다.
원자재 통화인 호주 달러화는 미 달러화에 0.68% 약세를 나타냈다.
뉴욕주식시장 3대 지수가 0.7% 이하로 동반 상승, 사흘 만에 반등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매파적 발언으로 금리인하 기대가 약해졌으나, 반도체주 강세가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장 막판 나온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통제 정책 철회 소식이 주목을 받았다.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 가격이 1.7% 하락, 배럴당 58달러 대로 내려섰다. 주간 휘발유 재고의 예상 밖 증가 소식이 유가를 압박했다. 금리인하 기대감 약화로 달러화가 강해진 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이 1,395.70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달러/원 1개월물의 스왑포인트가 -2.80원인 점을 감안하면 NDF 달러/원 1개월물 환율은 전 거래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거래된 현물환 종가(1,398.00원) 대비 0.50원 상승했다.
이에 따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지수 강세에 연동하며 새벽종가보다 소폭 오른 1390원 중후반대에서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장중에는 주가지수, 외국인 주식 매매동향, 위안화를 비롯한 주요 통화 등락 등에 영향을 받으면서 등락폭을 조정해 갈 것으로 보인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