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보) 백악관, 대중 관세율 현행 145%서 인하하는 방안 검토 - WSJ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김경목 기자]
미국 백악관이 대중 관세율 인하를 검토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현행 145%에서 50%까지 낮추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관련 사안에 정통한 사람들은 2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아직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논의가 여전히 유동적이며 여러 옵션이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다.
백악관 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일방적으로 행동하지 않을 것이며 관세를 낮추기 위해 중국의 조치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백악관의 한 고위 관계자는 "대중국 관세율은 약 50%에서 65%까지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백악관은 또한 작년 말 하원 위원회에서 제안된 것과 비슷하게 계층적 접근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일부 관계자들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품목에는 35%의 관세율, 미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품목에는 최소 100%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계층적 접근 방식은 5년에 걸쳐 이러한 관세를 단계적으로 인상할 것을 제안했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은 미국과 협상을 해야 한다고 분명히 말했다"며 "관세에 대한 결정이 내려지면 그 것은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나올 것이다. 다른 모든 것은 순전히 추측일 뿐"이라고 밝혔다.
한편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중국에 대한 일방적 관세 인하 제안은 없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2일 궁극적으로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관세를 인하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대중 관세는 상당히 내려갈 것이지만 제로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23일 미국과의 무역협상에 열려 있다는 신호를 보냈지만 백악관의 지속적인 위협에 따라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일부 관세를 절반으로 낮추기로 결정하더라도 이 수준은 여전히 미국시장이 많은 중국 전기 기계 및 장비 그리고 기타 제품 제조업체에 거의 닫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관계자들은 트럼프가 대중국 관세를 낮출 여지가 충분하지만 여전히 미중간 디커플링을 추구하 백악관의 목표를 향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한 관계자는 "실제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일종의 압력 밸브를 해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