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보) 미국, 중국 고립 위해 관세 협상 이용할 계획 - WSJ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김경목 기자]
사안에 정통한 사람들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진행 중인 관세협상을 통해 미국 무역 파트너들이 중국과의 거래를 제한하도록 압력을 가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5일 보도했다.
백악관이 부과한 무역 및 관세 장벽을 줄이는 대가로 중국경제를 고립시키겠다는 미국 무역 파트너들의 약속을 이끌어내겠다는 것이다.
미정부 관계자들은 70여 개국과의 협상을 통해 중국이 이들 국가들을 통해 상품을 운송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중국기업이 미국 관세를 피하기 위해 이들 국가들 영토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고, 중국의 값싼 공산품을 자신들의 경제에 흡수하지 말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러한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잠재적 회담을 앞두고 이미 침체된 중국경제에 타격을 주고 중국이 협상 테이블로 나오도록 압박하기 위한 것이다. 정확한 요구 사항은 중국경제에 대한 관여도를 고려할 때 국가별로 크게 다를 수 있다.
미국 관리들은 일부 국가들과의 초기 회담에서 이 아이디어를 제안했다고 관계자들은 말했다. 지난 9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 90일 유예를 발표한 이후 무역 협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이 전략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베센트 장관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미국 무역 파트너로부터 양보를 이끌어내면 중국과 중국 기업들이 미국의 관세, 수출 통제 및 기타 경제 조치를 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국 관세의 범위와 강도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지만 당국자들은 대체로 베센트의 중국 계획에 동의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계획에는 관세를 통해 미국경제에서 중국을 차단하고 잠재적으로 미국 증권거래소에서 중국주식을 퇴출하는 방안도 포함된다. 베센트는 최근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미 행정부가 중국주식을 상장 폐지하려는 시도를 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았다.
베센트 장관은 "미국과 중국 간의 잠재적 무역 협상에 대한 대화의 여지가 여전히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반중 노선이 모든 국가와 협상에 들어간 것도 확실하지 않다. 협상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음을 인정하지만 일부 국가는 중국과 관련된 미국 협상가로부터 요구를 듣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독자적인 무역 외교를 펼치고 있다. 이번 주 시 주석은 트럼프 관세로 큰 타격을 입은 미국의 주요 무역 파트너인 베트남을 방문해 베트남 정부와 수십 개의 경제 서약에 서명했다.
조 바이든 전 대통령 국가안보회의(NSC) 국제경제 담당 수석이사였던 피터 해럴은 "중국이 트럼프의 상호관세 압박을 기회로 보고 있다"며 "다만 미국의 무역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중국의 능력은 제한적이다. 미국은 여전히 대규모 순수입국으로 남아 있지만 중국은 다른 세계로부터의 수입을 줄이고 자급 자족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이들 개발도상국이 생산하는 제품의 수요처로서 미국을 대체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따라서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중국이 어려움을 겪겠지만 정치적인 측면에서는 상당히 현명하게 대처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