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09-08 (월)

한국형 준구조 거시경제모형 구축, 경제전망 및 효율적인 통화정책 운영에 크게 기여 - 한은

  • 입력 2025-02-03 12:00
  • 신동수 기자
댓글
0
한국형 준구조 거시경제모형 구축, 경제전망 및 효율적인 통화정책 운영에 크게 기여 - 한은이미지 확대보기
[뉴스콤 신동수 기자] 한국은행이 세계 5번째로 대규모 준구조 거시경제모형(BOK-LOOK)을 구축해 향후 경제전망 및 효율적인 통화정책 운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3일 '한국형 대규모 준구조 거시경제모형(BOK-LOOK) 개발 결과' 발표에서 신축적이고 유연한 모형체계를 기반으로 국내외 금융경제 여건 변화 및 우리나라 고유의 경제특징 등을 충분히 반영하여 우수한 전망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다양한 정책효과 분석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며 이 같이 밝혔다.

한은은 그간 대내외 금융연계성 강화,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분절화 심화, 가계부채 누증 등 금융경제 여건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FRB/US 형태의 대규모 준구조 거시경제모형 개발에 본격 착수하였다.

한은은 "BOK-LOOK은 대외・지출・물가 및 금융 등 크게 4개 블록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총 150여개의 내생변수와 200여개의 방정식으로 구성되었고 모형 내 주요변수는 각 블록들이 상호작용하면서 내생적으로 결정되도록 설계되었다"고 밝혔다.

한은은 "특히 유연하고 신축적인 준구조모형의 특징을 활용하여 경제이론과 데이터 부합성이 효과적으로 조화를 이루면서도 우리나라의 고유한 금융・경제여건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하였다"고 밝혔다.

한은은 "대외부분에서는 경제모형에 교역채널이 다양하게 반영됨에 따라 각 국가별 경제충격 발생시 국내 파급효과를 보다 다양하게 분석하고 대내 금융부문에서는 국채 기간구조, 차주별 신용프리미엄, 회사채 스프레드 등의 주요변수를 반영하여 통화정책기조 변화, 가계 및 기업 신용위험 등 다양한 금융충격 발생에 대한 효과 분석을 가능케 하였다"고 밝혔다.

한은이 BOK-LOOK을 통해 코로나19 이후의 변화된 국내외 여건 하에서의 전망력 평가를 위해 2021년 이후 기간을 대상으로 매 분기별 조건부 전망 Test를 실시한 결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 VAR 등 여러 대조모형을 통한 전망치 뿐만 아니라 주요 기관들의 전망 등과 비교해 보더라도 BOK-LOOK의 전망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중장기 GDP전망 뿐만 아니라 코로나19 발생 이후 예측의 불확실성이 크게 증대되었던 물가 부문에 대해서도 전망오차가 상당폭 낮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형 준구조 거시경제모형 구축, 경제전망 및 효율적인 통화정책 운영에 크게 기여 - 한은이미지 확대보기

한은은 "앞으로도 대내외 정책여건 변화를 면밀히 분석하고 경제모형의 개선・보완 작업을 추진하면서 전망시스템 고도화와 통화정책체계 선진화를 지속적으로 뒷받침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또한 미 연준, ECB 등 주요국 중앙은행 등과도 거시경제모형 발전을 위한 연구교류 및 협력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신동수 기자 dsshin@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