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중국 CPI 22개월 연속 1% 하회 속 추가 부양책 예고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김경목 기자]
중국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밑돌았다.
지난 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 11월 CPI는 전년비 0.2% 올라 예상치(+0.5%)를 하회했다. 1~11월 CPI는 전년비 0.3% 상승했다.
중국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전년비 2.5% 하락해 26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예상(-2.8%)은 상회했다. 1~11월 PPI는 전년비 2.1% 하락했다.
코스콤 CHECK(6316)에 따르면, 작년 2월 중국 CPI는 전년비 1.0% 상승해 예상(1.9%)을 대폭 밑돌았다.
이후 하락세를 지속해 올해 1월 들어서는 전년비 0.8% 하락하면서 네 달째 마이너스에 머물렀다. 4개월 연속 CPI가 마이너스에 머물며 디플레이션 우려가 더 커진 바 있다.
중국 전년비 CPI는 올해 2월 들어서 0.7% 상승으로 전환했지만 1%를 밑도는 저물가 기조는 작년 2월부터 올해 11월까지 22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16일 발표된 중국 11월 경제지표는 산업생산은 전년비 5.4% 늘며 예상에 부합했다. 다만 소매판매는 전년비 3.0% 늘며 예상(+4.6%)을 대폭 하회했다.
소매판매 지표만 놓고 보면 최근 몇 달 동안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경기 부양책이 단기적인 효과에 그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낳았다.
지난달 발표된 10월 소매판매 총액은 4조 5396억위안으로 전년비 4.8% 늘며 예상(+3.8%)을 상회했다. 지난 1~2월 5.5% 증가를 기록한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경기 부양책이 실제로 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지난 11~12일 베이징에서 중앙경제공작회의를 개최하고 적극적인 재정 정책과 통화정책 완화를 통해 경기 부양에 나설 것을 예고했다.
매년 12월에 열리는 이 회의는 다음 해 양회(兩會)를 앞두고 중국의 경제 성장 목표와 경기부양책 등 중국 경제의 주요 방향을 결정하는 자리다. 시진핑 중국 주석 등 최고지도부를 비롯해 중앙·지방 고위 관료, 국영기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중국 관영 CCTV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관리들은 정부가 더 큰 예산 적자를 허용하고 더 많이 빌리고 금리를 인하해야한다는 데 동의했다"고 전했다.
관련 성명에서는 중국이 지출을 늘리기 위해 더 공격적인 조치를 취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는 수년간 부진세인 소비자 수요와 부진한 성장세 및 물가 하락 기조를 전환하기 위해 지난 9월 시작된 대대적인 경기 부양책의 일부이다.
CCTV는 "내년 경제 의제를 설정하는 이틀간의 중앙경제공작회의를 마무리하면서 중국은 내년 경제 성장을 유지하고 고용과 물가의 전반적인 안정을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주 중국 정부는 금리를 더 인하할 의향이 있음을 시사하면서 당국이 경제에 대해 더 강력한 접근 방식을 취할 필요가 있음을 공개적으로 인정했다. 중국 지도자들이 통화정책에 대한 입장을 완화한 것은 14년 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론 처음 있는 일이다.
중국은 올해 성장률을 끌어올리고 물가 하락세를 반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부분의 중국 가계는 부를 축적하는 수단인 부동산 시장의 붕괴와 함께 소비를 꺼리는 양상을 띄고 있다.
많은 지방정부는 직원 월급을 지급할 돈이 부족해졌고, 수백만명의 젊은이들이 실직 상태에 놓여 있다.
리서치 회사인 트리비엄 차이나의 공동 설립자인 앤드류 폴크는 "중국인들은 경제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소비를 주저하고 있다"며 "정부는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9월 이후 중국 중앙정부는 지방정부를 구제하기 위한 1.4조달러 규모의 계획을 포함해 정체된 지출을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를 발표한 바 있다.
다만 중국은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소비자 부양보다는 국가 주도의 성장을 선호해 왔다. 이에 많은 사람들은 중국 정부가 제조업과 같은 우선순위에서 지출을 실질적으로 전환할지 의구심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흔들리는 중국 경제는 내년 트럼프 2기가 시작되면서 첨단기술에 대한 무역 및 통제권을 둘러싼 미국과의 경쟁이 격화되는 또 다른 역풍에 직면해 있다.
상하이의 중국유럽국제경영대학원의 주티엔 경제학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중국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공언했다"며 "이는 내년 중국의 경제 생산량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코노미스트들은 다가오는 대중 관세 위협으로 인해 중국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에 서둘러 선적을 서두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최근 발표된 데이터에 따르면, 11월 중국의 대미 수출은 예상보다 더디게 증가했다.
주 교수는 "유일하게 긍정적인 부분은 관세 인상으로 타격을 받을 수 있는 수출이었다"며 "따라서 내수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중국 정부가 무언가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경제지표에서 확인된 디플레이션 기조와 소비 부진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5%로 제시했다. 내년에는 비슷한 수준에 도달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는 상황이다.
투자은행 나티시스의 알리시아 가르시아-헤레로 아태지역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가 봄 회의에서 같은 목표를 설정한다면 실질 성장률은 공식 성장률과 더 큰 차이를 보일 것”이라며 "중국이 작년에 비해 올해 더 적극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취한 조치만 놓고 보면 장기적으로 경제에 필요한 변화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분석했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