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 광고 노출 횟수 증가, 단가 상승에 기반한 실적 호조
* Core AI 투자를 통한 추천 시스템 개선, 광고 시스템 최적화 전략 유지
* 12MF P/E 21배로 밸류 부담 적음. 다만, 3분기 14억 달러 일회성 비용 유의
■ 2Q24 Review: 광고 노출 횟수 증가 & 단가 상승에 실적 호조
2분기 매출액은 391억 달러(+22.1% YoY, +7.2% QoQ)를 기록하면서 컨센서스 +2.1% 상회. 영업이익 148억 달러(+58.1% YoY, +7.4% QoQ)로 컨센서스를 +2.9% 상회. EPS(GAAP 기준)는 5.16달러로 시장 예상치를 +9.4% 상회. EPS 상회폭이 큰 것은 영업비용 증가율 관리 & 낮은 법인세율의 영향
광고 노출 +10% YoY 증가한 가운데, 단가도 +10% YoY 상승. 2023년 4분기부터 3개 분기 연속으로 노출 횟수와 단가가 동시에 증가하면서 실적 견인. 광고 노출은 아시아 태평양 & 기타 지역 중심, 광고 단가는 광고 성과 개선에 기인
온라인 커머스가 광고 매출 증가에 가장 크게 기여. 게임, 엔터테인먼트, 미디어가 뒤를 이음. 아시아 태평양 지역 광고주들 광고 집행 금액이 전년대비 28% 증가. 지난 분기에 기록한 41%보다는 낮아졌지만 양호한 성장세 유지. 테무, 알리를 비롯한 중국 기업들의 광고 집행이 지속되는 것으로 추정
■
Core AI 투자를 통한 매출 증대를 추진. AI 투자는 지속될 전망
3분기 매출액 가이던스는 398억 달러(중간값 기준)로 컨센서스 +1.7% 상회
메타 플랫폼스는 AI 투자를 Core AI, 생성형 AI 부문으로 구분. Core AI는 추천 시스템, 광고 시스템 최적화 등을 포함. Core AI CAPEX는 ROI 관점에서 투자. 생성형 AI CAPEX는 단기적으로는 수익화에 도움이 되지 않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할 계획. 초기 사용률을 높인 뒤 수익화는 추후에 도입할 예정
메타는 Core AI 부문 추천 시스템 개선, 광고 시스템 최적화를 통한 매출 증대 전략을 유지. 추천 시스템을 통해 인스타그램 Reels, 페이스북 비디오 이용시간 늘리고 있음. 페이스북 비디오 추천 시스템도 하나로 통합해 성능 높임
한편, AI를 통해 어떤 광고를 보여줄지 판단하는 시스템 도입한 뒤 전환율 상승. Advantage Plus를 사용할 경우 미국 광고주들의 광고 효율도 22% 증가
AI 투자 확대로 2024년 CAPEX 가이던스를 350~400억 달러에서 370~400억 달러로 하단을 상향. 2025년 CAPEX도 2024년보다 증가할 것이라고 발표
매출 성장률 하락하는 구간인 점을 감안하면 멀티플 상승은 어려움. 다만, 이익이 증가하는만큼 주가에 반영해 줄 전망. 시간 외 거래 상승 반영한 12MF P/E 21배 수준으로 밸류 부담 적음. 다만, 3분기 14억 달러 일회성 비용 유의
<컨퍼런스콜 정리>
Q. AI
- 지난 분기 Meta AI를 퀄리티와 사용량 측면에서 가장 앞선 AI 서비스로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는데 순항하고 있음. 메타 AI는 20개 국에서 8개의 언어를 지원
- Llama 4 훈련을 이미 시작했으며 Llama 3보다 10배 더 많은 컴퓨팅이 소요될 것
- 단일 AI를 만드는 것이 끝이 아니라 개인화된 AI를 만드는 것이 목표. AI 스튜디오를 통해 사람들이 AI를 앱 전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광고주들이 비즈니스 목표, 예산 등을 수립하면 이에 기반해 메타 플랫폼스가 광고 생성 등 모든 것을 대신 진행해 주는 시대가 도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생성형 AI 투자가 당장은 수익화가 되지 않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많은 수익화 기회 창출
Q. 추천 시스템
- 6월에 풀 스크린 비디오 플레이어 & 통합 추천 시스템을 페이스북에 도입한 이후 이용시간 증가 나타나고 있음. 추천 시스템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CPU에서 GPU로 전환했을 때보다 수치가 더 높음
Q. CAPEX
- 트렌드가 어떻게 변할지 예상하기는 어려움. 다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컴퓨팅 캐파를 확보하는 것이 더 옳다고 판단. 신규 인프라 프로젝트까지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함
- 수요 전망에 따라서 캐파를 생성형 AI 혹은 Core AI 부문에 유연하게 배분할 계획
Q. 기타
- 18~29세의 젊은 연령층 사용량 증가하고 있음
- Ray-Ban 메타 글래스는 초기 예상보다 반응이 좋음
- 퀘스트3 판매량도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 Reality Labs 영업비용 전년대비 21% 증가한 48억 달러. 인력 채용 & 재고 원가 증가
- Thread MAU 2억 명 조만간 달성할 전망. 10억 명 넘어가면 수익화 계획
- 임직원 수는 2024년 유의미하게 증가할 전망
(서영재 대신증권 연구원)
![[자료] 메타, 수익화는 Core AI, 미래는 생성형 AI - 대신證](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4080113251705119d94729ce13211255206179.jpg&nmt=59)
![[자료] 메타, 수익화는 Core AI, 미래는 생성형 AI - 대신證](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999&simg=2024080113251705119d94729ce13211255206179.jpg&nmt=59)
[자료] 메타, 수익화는 Core AI, 미래는 생성형 AI - 대신證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메타, 수익화는 Core AI, 미래는 생성형 AI - 대신證](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4080113254506591d94729ce13211255206179.jpg&nmt=59)
![[자료] 메타, 수익화는 Core AI, 미래는 생성형 AI - 대신證](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999&simg=2024080113254506591d94729ce13211255206179.jpg&nmt=59)
[자료] 메타, 수익화는 Core AI, 미래는 생성형 AI - 대신證
이미지 확대보기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