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05-11 (일)

(종합) 11월중 소비자심리지수 97.2으로 전월비 0.9p 하락...경기판단 하락, 기대인플레 정체 - 한은

  • 입력 2023-11-28 07:07
  • 신동수 기자
댓글
0
(종합) 11월중 소비자심리지수 97.2으로 전월비 0.9p 하락...경기판단 하락, 기대인플레 정체 - 한은이미지 확대보기
[뉴스콤 신동수 기자] 2023년 1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미국의 추가 긴축 기대 축소 및 수출 경기 회복 조짐에도 불구하고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내수 부진이 지속되면서 하락했다.

지수수준이 4개월 연속 하락했고 기준선인 100을 석 달 연속 밑돌았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3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7.2로 전월대비 0.9p 하락했다.

6개 구성지수중 현재생활형편,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등이 하락했고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향후경기전망 등은 하락했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 중 6개 주요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로, 장기평균치(2003년 1월~2020년 12월)를 기준값 100으로 해서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소비지출전망CSI(111)는 높은 물가 수준에 따른 소비 여력 둔화로 외식비(-2p), 여행비(-2p), 교양·오락·문화비(-2p) 등을 중심으로 2p 하락했다. 지난 10월 상승 전환 후 한 달 만에 하락 전환했다.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현재경기판단CSI(62)는 2p 하락해 4개월 연속 하락했다.

반면 향후경기전망CSI(72)는 전월대비 각각 2p 상승해 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취업기회전망CSI(77)은 전월비 1p 내려 한 달 만에 다시 하락 전환했다.

금리수준전망CSI(119)는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면서 기준금리 인상 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된 영향으로 9p 하락했다.

가계 저축 및 부채상황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는 현재가계저축CSI(91)와 가계저축전망CSI(94)는 모두 전월과 같았다.

물가상황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는 물가수준 전망CSI(149)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확대되었으나 국제유가가 안정되는 흐름을 보이면서 2p 내려 한 달 만에 하락 전환했다.

주택가격전망CSI(102)는 전국 주택매매가격 상승세가 둔화되고 거래량도 부진한 가운데 대출금리가 높은 수준을 지속하면서 6p 내려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임금수준전망CSI(115)는 전월비 1p 내려 3개월 연속 하락했다.

(종합) 11월중 소비자심리지수 97.2으로 전월비 0.9p 하락...경기판단 하락, 기대인플레 정체 - 한은이미지 확대보기


1년간의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4.1%)은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해 4%대의 높은 수준이 계속됐다.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3.4%)은 전월 상승 전환 후 같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더딘 물가 둔화세가 이어졌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의 응답 비중은 공공요금(64.6%), 농축수산물(39.4%), 석유류제품(37.9%) 순이었다.

전월에 비해서는 공업제품(+7.3%p), 농축수산물(+6.9%p)의 응답 비중이 증가한 반면, 석유류제품(△24.5%p) 비중은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현재경기판단은 나빠진 반면 향후 경기전망은 개선됐고 정책목표을 크게 상회하는 물가 기대가 계속됐다.

신동수 기자 dsshin@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