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3.3억달러 흑자...반기 기준 역대 흑자 폭 2위 - 한은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신동수 기자] 올해 상반기 지식재산권 무역수지가 지난해 하반기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2023년 상반기 지식채권권 무역수지(잠정)'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지식채권권 무역수지는 3.3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반기 기준 흑자폭으로는 2위 수준이며 최대 흑자는 2019년 하반기 3.5억달러였다.
한은은 "산업재산권 적자폭이 확대되었으나 저작권 흑자폭이 크게 확대된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유형별로 산업재산권(-10.8억달러)은 특허 및 실용신안권(-5.7억달러), 상표 및 프랜차이즈권(-5.2억달러) 등의 수입이 확대된 영향으로 적자를 기록했고 전년동기대비 적자 폭도 확대했다.
저작권(+15.2억달러)은 문화예술저작권과 연구개발 및 SW 저작권 모두 흑자폭이 늘어나며 2010년 통계편제 이후 반기 기준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
기관 형태별로는 국내 대기업은(+28.5억달러)은 현지법인에 대한 특허권, 상표권 등의 수출 확대로 흑자폭이 확대됐고 반기 기준 흑자폭으로 최대치였다.
반면 국내 중소·중견기업(-2.7억달러)은 컴퓨터프로그램 수입 확대 등으로 반기 기준 최대 적자폭을 기록했다.
외투 중소·중견기업(-22.5억달러)은 컴퓨터프로그램 수입이 수출보다 더 크게 축소되어 적자 폭이 축소됐지만 대규모 적자 흐름이 이어졌다.


올해 상반기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3.3억달러 흑자...반기 기준 역대 흑자 폭 2위 - 한은
이미지 확대보기
산업별로는 제조업(+10.7억달러)은 자동차·트레일러(+8.6억달러), 전기전자제품(+7.1억달러) 등이 흑자를 나타냈다.
반면 서비스업(-8.2억달러)은 도매 및 소매업(-4.0억달러) 등이 적자를 기록했다.
거래상대방 국가별로는 중국(+13.5억달러), 베트남(+7.7억달러) 등에서 흑자를 보인 반면, 영국(-17.3억달러), 미국(-11.1억달러), 일본(-1.1억달러) 등에서는 적자를 기록했다.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통계는 우리나라의 지식재산권 국제거래 현황을 종합적·체계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산업재산권, 저작권 등 모든 유형의 지식재산권 매매와 사용거래를 포괄한다.
신동수 기자 dsshin@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