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4-10-05 (토)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2%대 향하는 CPI 상승률..2%대 찍고 상승률 재확대 거론하는 한은

  • 입력 2023-06-02 13:34
  • 장태민 기자
댓글
0
[뉴스콤 장태민 기자] 올해 들어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빠르게 둔화되고 있다.

전년비 CPI 상승률이 3%대 초반으로 내려온 가운데 올해 중반 2%대 진입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물가에 대한 경계감이 풀리길 원치 않는 한국은행은 CPI 상승률이 2%대로 진입한 뒤 다시 상승폭을 확대하는 시나리오를 거론하는 중이다.

■ CPI 상승률 빠르게 둔화...기저효과 이어지면서 2%대 눈앞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7월 전년비 6.3%를 기록한 뒤 둔화되는 중이다.

지난해 7월 고점 이후 8월부터 올해 1월(5.2%)까지는 5%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선 빠르게 물가상승률이 둔화되고 있다.

CPI 상승률은 2월 4.8%를 기록하면서 4%대 진입한 뒤 3월 4.2%, 4월 3.7%에서 이어 5월엔 3.3%까지 둔화됐다.

올해 4월 CPI는 14개월만에 3%대에 진입한 뒤 이젠 2%대 진입을 노리고 있다.

최근의 둔화 강도를 감안할 때 조만간 2%대가 가시권에 들어왔다.

일단 올해 물가상승률이 가파르게 둔화되는 이유는 지난해 높았던 물가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중반까지 뚜렷한 둔화 흐름이 이어지면서 2%대로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 물가 '돋보이는 둔화'에 고무된 정부..."농산물 물가 더 낮춰보겠다"

이번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수치는 러-우전쟁이 발발했던 작년 1월(3.6%)보다도 더 낮은 수준이다.

정부는 이를 고무적으로 보고 있다.

방기선 기재차관은 "OECD 국가 중에서 3%대 물가를 기록하고 있는 국가는 우리나라 포함 7개국"이라며 "주요국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둔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보다 더 낮거나 비슷한 수준의 물가 상승률을 보이는 나라는 룩셈부르크(2.7%), 스위스(2.7%), 스페인(3.8%), 일본(3.5%), 벨기에(3.3%), 코스타리카(2.4%) 정도다.

정부는 물가와 관련해 인위적으로 낮출 수 있는 부분은 더 낮추겠다는 입장이다.

돼지고기, 고등어, 설탕·원당 등 최근 가격이 오른 8개 농축수산물에 대해선 6월부터 관세를 내린다.

또 농산물 산지 유통센터(APC)를 광역화해 농산물 유통비용을 낮추기 위해 노력 중이다. 농산물 유통구조가 개선되면 구조적으로도 일정부분 물가 상승 압력이 둔화되는 효과가 있다.

■ 근원물가 거론하고 하반기 상승률 재확대 언급하는 한은

물가 상승률 둔화엔 석유류와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 가공식품과 외식 등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폭 둔화 등이 영향을 미쳤다.

물가상승률 둔화에 가장 공헌도가 큰 석유류는 전년비 18.0% 하락했다. 기여도는 -1.0%p에 달했다. 유가 안정, 유류세 인하를 8월까지 연장한 조치 등이 영향을 미쳤다.

농축수산물은 39개월만에 전년동월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농축수산물은 전년비 0.3% 하락해 기여도가 0.0%p였다.

집세는 전년비 0.6% 올라 기여도가 0.1%p였다. 전월비 집세는 2019년 6월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0.1%)를 기록했다.

반면 개인서비스 등은 상승폭 둔화에도 불구하고 고물가 요인이 되고 있다.

개인서비스는 그간 누적된 원가부담 등으로 높은 오름세를 이어갔다. 개인서비스는 전년비 5.6% 올라 기여도는 1.7%p에 달했다.

개인서비스를 '외식'(전년비 6.9%)과 '외식제외'(4.7%)로 나눠서 보면, 각각의 기여도는 0.9%p, 0.8%p였다.

전체적으로 최근 유가 하향세가 물가안정에 기여하고 있으나 개인서비스 물가 둔화 속도엔 한계가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근원물가 흐름은 '스티키'한 편이다.

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및에너지제외' 물가는 5월 중 3.9% 올랐다. 2~4월 각각 4.0%를 기록한 뒤 소폭 내려오는 데 그친 것이다.

이 물가지수는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변동분을 제외한 기저의 물가상승률로 458개 품목 중 식료품,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한 309개를 기준으로 작성된다. 한국은행이 이를 중시한다.

정부가 활용하는 다른 근원물가인 '농산물및석유제외' 물가는 전년비 4.3% 올라 4월(4.6%)보다 꽤 내려왔다.

이 물가지수는 전체 458개 품목 중 변동성이 가장 강한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401개 품목으로 작성된다.

한은은 계속해서 근원물가 둔화 속도가 '더디다'는 점을 거론하는 중이다.

김웅 부총재보는 "근원물가 상승률은 전월 수준에서 소폭 낮아지며 더딘 둔화 흐름을 지속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그간 경직적인 흐름을 보여온 개인서비스물가(5.8%→6.1%→5.6%) 오름세가 둔화됐지만, 상품가격은 섬유제품을 중심으로 오름폭이 확대됐다고 지적했다.

부총재보는 "향후 물가경로상엔 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흐름, 공공요금 인상 정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2%대까지 낮아지더라도 연말 3% 내외 수준으로 재차 오를 수 있다고 했다.

한은은 일단 근원물가 상승률이 올해 중반경까지 소비자물가에 비해 더딘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물가 하향 안정을 예상하면서도 안정세 강화를 위해 정책적으로 힘을 보태겠다는 입장이다.

기재부는 "앞으로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지만 국제에너지 가격,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물가 안정기조 안착을 위해 대응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 매파적 스탠스 유지하고픈 한은, 미래에 확인할 '물가 실적' 의심도 적지 않아

금융시장에선 한은이 당분간 가파른 물가 상승세가 좀더 이어질 것으로 보면서도 연말로 가면서 재차 확대된다고 보는 레토릭에 주목하기도 했다.

증권사의 한 채권딜러는 "매파적 스탠스를 유지하고 싶은 한은이 가파른 물가 상승률 둔화에도 하반기 상승폭 확대를 거론하는 듯하다"면서 "시장 기대와 달리 금리를 내리고 싶은 생각이 없는 한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한은의 말처럼 연말에 물가가 오르더라도 3%를 넘기 쉽지 않다고 보는 쪽에선 2%대 물가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이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금리인상의 명분이 인플레였다. 이제 CPI가 2%대로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고 난 뒤 한은이 4분기 정도에 금리를 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때 마침 원가 하락으로 전기, 가스요금 인상 부담이 연초에 비해 경감돼 하반기 인상 압력이 크지 않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의 기대인플레가 안정화 수순을 따라갈 것이라는 점도 금리 인하에 일조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분기 4.7%에 이어 2분기 3.1%, 3분기 2.4%로 빠르게 낮아진 뒤 4분기엔 2.7% 정도를 나타낼 것으로 봤다. 이 정도의 물가 흐름이라면 경기를 감안해 금리를 내릴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아울러 한은이 '불확실성'을 물가가 오르는 쪽으로만 생각하는 '상향 편의'에 빠져 있다는 진단도 보인다. 불확실성을 근거로 주변 여건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높게 잡고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한은은 지난 5월 25일 금통위 당시의 경제전망에서 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4.0%, 하반기 2.9%로 예상하면서 연간 3.5%라는 수치를 제시했다. 내년엔 상반기 2.5%, 하반기 2.3%, 연간 2.4%를 전망했다.

하지만 올해 하반기 물가 상승률이 확연하게 고개를 들지는 못할 것이란 의심은 살아있다. 즉 연간 물가상승률이 3%대 중반보다는 3%에 가까울 수 있다는 전망도 있는 것이다.

하건형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공급 측 물가 상승 압력 완화 속에 완만한 수요 측 물가 둔화 흐름이 동반돼 올해 CPI 상승률은 3.1%로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5%를 넘었던 소비자물가 상승률(5.1%)이 3% 근처로 내려올 수 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그는 "전기 등 관리물가 인상 부담에도 인건비 상승이 선진국에 비해 제한돼 추세적인 물가 안정 흐름이 우세하다"고 분석했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2%대 향하는 CPI 상승률..2%대 찍고 상승률 재확대 거론하는 한은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통계청, 기재부

자료: 통계청, 기재부

이미지 확대보기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