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11-03 (월)

[김형호의 채권산책] 10월 FOMC

  • 입력 2025-11-03 09:00
  • 김형호 CFA(한국채권투자운용 대표)
댓글
0
[김형호 CFA(한국채권투자운용 대표)] 10월 FOMC는 시장의 예상대로 FFR을 0.25% 인하하고, 12월부터 QT(quantitative tightening, 양적 긴축) 중단을 의결했다.

FFR인하에 대한 한국과 미국 전문가의 의견차가 다소 컸다.

FOMC 결과발표 직전기준 FedWatch(CME)는 동결(12.34%), 0.25%인하(87.66%)를 예상했다.

Check Poll에서는 동결(43.6%), 0.25%인하(55.8%)를 예상했다.

FFR인하에 대해 우리나라 전문가들이 훨씬 bearish했다.

12명의 위원 중에서 Governor Stephen I. Miran은 0.50%인하, Kansas City President Jeffrey R. Schmid는 동결(no change)에 투표했다.

QT를 중단하는 것은 FFR 인하 못지않게 중요하다.

The committee decided to conclude the reduction of its aggregate securities holdings on December 1.

QT중단 관련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25.10월, 11월 만기 도래하는 UST 원금은 $5 billion까지만 상환 받고 초과분은 roll over

- 2025.10월, 11월 만기 도래하는 Agency Securities(debt, MBS) 원금은 $35 billion까지만 상환 받고 초과분은 동일만기 UST에 재투자

- 2025.12월부터 만기 도래하는 모든 UST roll over

- 2025.12월부터 만기 도래하는 모든 Agency Securities(debt, MBS)의 원금으로 Treasury Bills 매입

12월부터는 UST(note, bond) 보유규모를 유지하고, Treasury Bill 매입규모를 늘리게 되어 유동성이 증가하게 된다. (credit spread는 확대 요인)

가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수급(supply and demand)이다. 재료(변수, factor)를 면밀히 분석하는 것은 수급을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이번 QT중단은 UST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이고, 추가적인 매입규모까지 알 수 있게 되었다.

FFR인하에도 불구하고 “12월 FOMC 결론은 정해진 것이 없다”는 Powell 의장의 발언으로 UST금리는 상승 반전했다.

FOMC결과 발표 전(2025.10.28일), 발표 후(2025.10.29일), 2025.10.31일(금요일) UST 금리는 다음과 같다. (현지 시각)

2년물: 3.498% → 3.604% → 3.582% (+8.4 bps)

5년물: 3.613% → 3.716% → 3.689% (+7.6 bps)

10년물: 3.980% → 4.076% → 4.079% (+9.9 bps)

20년물: 4.523% → 4.580% → 4.633% (+11 bps)

30년물: 4.547% → 4.624% →4. 655% (+10.8 bps)

FOMC 이후 2026년 투표권이 있는 Dallas President Lorie K. Logan, Cleveland President Beth M. Hammack의 hawkish한 발언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UST 금리상승은 없었다.

12월 FOMC의 FFR에 대한 FedWatch(CME) 전망치는 다음과 같이 조정되었다.

3.25% ~ 3.50%(0.50% 인하): 4.7%(2025.10.24) → 0.0%(2025.10.31)

3.50% ~ 3.75%(0.25% 인하): 91.7%63%

3.75% ~ 4.00%(no change): 3.6% → 37%

FOMC Statement와 Powell 의장의 발언은 “Data를 보고 결정하겠다”로 이해하면 되겠다.

현재는 연방정부 Shutdown으로 Data가 제대로 나오고 있지 않아서 판단하기 어렵고, 이럴 때는 정책변경을 최소화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

Statement는 “Available indicators suggest ~ “로 시작하는데, Data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가리키고 있다.

아무리 어려운 상황이어도 경제는 돌아가야 하고 FOMC는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FOMC의 주된 관심은 물가와 성장률(고용)이다.

늦게 나마 9월 CPI-U가 발표되었고, 관세영향으로 단기간에 물가상승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이 Consensus이다.

Powell 의장은 8월 Jackson Hole Economic Symposium에서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효과는 1회성”이라고 보고, 물가보다 고용을 더 중시하겠다고 했다.

“Amazon, Target, United Parcel Service는 AI로 인해 사무직 직원 31,800명(3사 합계)을 해고한다”는 기사가 있다.

연방정부 Shutdown으로 인한 Furlough(일시적인 휴직)는 고용사정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

항공 교통 관제사(air traffic controller) 부족으로 항공기 운항에 지장이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Air traffic controller shortages cause widespread flight delays amid government shutdown.

또한, SNAP(supplement nutrition assistance program) 재원부족으로 약4,000만명에 대한 식료품지원이 어렵게 되었고, “당분간 연방정부 지원을 중단하지 말라”는 판결이 나왔다.

“연방정부 Shutdown → 고용사정 악화 → GDP에 악영향”을 예상할 수 있다.

The longer the shutdown, the more lasting damage to Americans’ finances.

2025.12.9일~10일에 올해 마지막 FOMC가 열린다.

정상적으로 Data가 나온다면 그 Data로 판단하고, 그렇지 못하더라도 변화된 경제상황을 추정해서 FFR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FFR 조정과 별개로 QT 중단은 UST 수요증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호재이다.

10월 FOMC 전후의 UST금리 변화에 일희일비 하지 않고 "Long Position을 유지한 투자자가 결국 보상을 받는다"는 생각이다.

김형호 CFA(한국채권투자운용 대표) strategy11@naver.com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