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10-31 (금)

[자료] 금융당국 "대외 불확실성 요인에 대해 금융·외환시장 모니터링 체계 지속 가동"

  • 입력 2025-10-30 08:52
  • 장태민 기자
댓글
0
[뉴스콤 장태민 기자]
대외 불확실성 요인에 대해
금융·외환시장 모니터링 체계 지속 가동
- 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 -

- 10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책금리 인하 결정 -

- 美中 무역갈등, 연방정부 셧다운 등 불확실성 요인 면밀히 모니터링 -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25.10.30.(목) 07:30, 수출입은행에서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여 금일 새벽(한국시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인하 결정에 따른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 참석자: 한국은행 부총재보 박종우,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안창국,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이세훈

간밤 미(美)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차례 연속 정책금리를 인하(금리상단 4.0%)하면서 대차대조표 축소 정책을 금년 12월에 중단하기로 했다. 성명서에서는 경제전망 상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평가하면서 연준이 물가 상승과 고용 둔화 등 양 측면의 위험요인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경제전망 또는 물가와 고용 상황에 대한 판단에 있어 연준 위원들의 견해가 매우 다양하다고 하면서 다음 FOMC 회의(12월)에서의 금리 결정에 대해서는 정해진 바가 없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금일 새벽 글로벌 금융시장은 금번 금리 인하 결정 등을 예상한 수준으로 평가하면서도, 12월에 있을 다음번 FOMC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에 비해 파월 의장이 신중한 입장을 보임에 따라 미(美)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달러화는 강세를 보였다.

* (美 국채금리) [2yr]+11bp [10yr]+10bp (달러)+0.5% (다우)△0.2% (S&P)△0.0%

한편, 참석자들은 최근 국내 주식·채권시장이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 보이고

있으며, 외환시장은 여전히 변동성이 큰 상황이나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일부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미중 무역갈등,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으므로 시장 변동성에 예의주시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

이에 이 차관은 금융·외환시장 24시간 합동 모니터링 체계를 지속 가동하면서

필요시 관계기관 간 긴밀한 공조 하에 적기 대응할 것을 당부했다.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