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28일 "주식시장 4천피가 부담스럽지 않다"고 진단했다.
노동길 연구원은 "지금은 PER(유동성 장세)과 EPS(실적 장세)가 맞물린 강세장"이라며 이같이 평가했다.
노 연구원은 "KOSPI가 4천포인트에 도달했다. 가보지 않은 신세계"라며 "지수 상승이 가팔라질수록 버블이나 과열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진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실적 추정과 밸류에이션을 놓고 보면 현기증나게 높은 수준은 아니라고 분석했다.
국내 주식시장 강세는 올해 중순 유동성 장세에서 시작했으나 이제 역대급 실적 상향을 장착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그는 "유동성 증가 기대와 실적 상향 기대가 동시에 맞물린 강세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KOSPI는 4천포인트를 상회했으나 12MF PER(주가수익비율)은 아직 12배에 도달하지 않았다"면서 "9월부터 KOSPI 실적 상향 조정에 따라 밸류에이션 부담은 아직 크지 않다"고 풀이했다.
현재 실적 개선 온기가 모든 종목으로 확산되는 상황은 아니다. EPS는 9월 들어 전례 없는 속도로 상승 중이나 올해 및 내년 이익수정비율은 오히려 주춤해졌다.
올해 이익수정비율은 마이너스(-)다. 올해 실적을 하향조정하는 애널리스트 비율이 높다는 의미다. 내년 비율도 겨우 제로 수준이다.
즉 실적 상향 온기가 일부 종목, 특히 대형주에 국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기대감은 여전히 반도체에 쏠려 있다.
노 연구원은 "대형 반도체(KOSPI200 내 기업 중심) 12MF EPS는 9월 이후 41.0% 상향됐다. 주가 상승률은 57.1%"라며 "반도체는 과거 EPS 상승과 PER 하락이 동반했던 바 있다"고 상기했다.
이는 오랜 기간 반도체에 대해 '고PER에 사서 저PER에 팔라’는 격언이 지속됐던 배경이라고 했다.
그는 그러나 "지금은 다르다. EPS 상향과 PER 상승이 동반하는 몇 안되는 구간 중 하나를 통과하고 있다. 주식시장 관념이 바뀌었는지는 아직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메모리 반도체 호황에 대해 1) 커머니티 성격이 제외했다는 시각도 있고 2) 제작 주문에 가까운 형태이기 때문에 인위적 공급 확대로 사이클을 종료시키기 어렵다는 의견도 반영됐다고 했다.
그는 "핵심은 세계 데이터 성장 규모를 고려했을 때 추가 이익 증분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했다.
■ 4천피 도달에도 올해 말, 내년 말 PER 11.5배, 9.0배에 그쳐
노 연구원은 "KOSPI가 4천을 돌파했지만 밸류에이션 부담은 앞으로도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애널리스트 이익 추정치가 빠르게 상향 조정될 수 있다. 올해 말 KOSPI 12MF EPS는 351p로 추정된다"면서 "8월까지 해당 숫자를 315p로 예상했으나 기존 경로를 크게 뛰어넘는 엄청난 반전을 쓰고 있다"고 밝혔다.
연말 EPS로 추산한 현재 PER은 11.5배로 올해 9월 이후 평균 수준이라고 밝혔다. 현재가 실적 장세 뿐만 아니라 유동성 확대 기대에 따른 장세임을 고려하면 추가 상승을 기대할 수준이라는 것이다.
그는 "KOSPI가 12배 PER에 도달한다면 올해 말 종가는 4,200p"라며 "내년 말 EPS 전망치는 391.4p다. 역시 12배 PER에 도달한다면(현재 수준과 유사) 4,700p"라고 밝혔다.
그는 "이는 만인이 바라마지 않았던 리레이팅 가능성을 배제한, 실적에 기반한 온건한 가정"이라며 "문제는 현재 국면에서 해당 가정도 낮게 계상됐을 수 있다는 사실"이라고 했다.
우선 반도체 업종만 놓고 보면 12MF EPS 증분 속도는 어느 때보다 가파르다.
2016~2017년 빅사이클 당시 수준보다도 가파르고, 팬데믹 당시보다도 가속화했다. 이익수정비율은 상승 여력을 갖고 있다. 반도체 업종 올해와 내년 이익수정비율은 각각 19.0%, 26.4%로 2017년 및 팬데믹, 2024년 당시와 비교했을 때 상승 여력을 둔다.
노 연구원은 "두 번째는 목표주가와 영업이익"이라며 "현재 반도체 애널리스트들의 삼성전자 목표주가 중간값과 평균은 각각 11.5만원, 11.6만원이며 10% 내외 여력을 두고 있어 상향 조정을 앞두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때 상향 조정 근거는 실적 예상일 것"이라며 "올해와 내년 삼성전자 영업이익 중간값은 각각 36.1조원, 62.1조원"이라고 밝혔다.
반도체 초대형주 이익 상향 조정은 KOSPI 전반 EPS 추정치를 높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 연구원은 "다른 업종으로 EPS 온기 전이는 확인되지 않는다. 낮은 이익수정비율을 설명한다. 반도체가 호황일 때 KOSPI는 기존 예상보다 15%가량 추가로 상향 조정됐던 바 있다"면서 "내년 말 EPS를 15% 상향조정하면 450p"라고 밝혔다.
그는 "내년 말까지 주식을 보유할 투자자라면 현재 4천피를 9.0배 수준으로 봐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지나치게 도발적 가정일까. 한국 주식의 현재 강세는 지난 2년 반 동안 소외됐던 갭을 축소하는 과정"이라며 "국내 시장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특별한 위치를 고려하면 과거 관념에서 점차 벗어나야 할 구간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는 "4천이 아닌 PER 9배에 집중하면 그렇다"고 강조했다.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