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DB증권은 10일 "미국의 셧다운 장기화에도 과거 사례들의 제한적인 영향에 주목하면서 미국 주식시장에서 낙관론이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진경 연구원은 "미국 연방정부는 오바마케어 보조금 등 예산 관련 입장 차이로 셧다운 2주차에 돌입했지만 주식시장은 견조한 모습"이라며 이같이 평가했다.
시장은 과거 셧다운이 일주일 이상 지속됐던 1995년, 2013년, 2018년 모두 실물경제 영향이 단기간에 그친 것을 주목하는 중이라고 해석했다.
세차례 모두 셧다운 기간 전후로 소비자 심리 위축이 나타났으나 사태 해결 후 1~2개월만에 빠르게 회복하며 셧다운 전 수준을 회복했다고 밝혔다.
소비 역시 워싱턴 DC, 메릴랜드 등 공무원 분포가 높은 지역 중심으로 둔화됐으나 일시적 유동성 제약에 따른 단기 위축에 그쳤다고 상기했다.
이 연구원은 다만 "미국 경제 전반에 대한 낙관이 지속되고 있으나 셧다운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는 일부 업종들에는 주가 하락 압력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공무원 및 연방 계약 업체 체불로 인한 신용 우려에 금융, 임의소비재 주가가 하락했으며 허가 지연에 따른 피해 우려에 방산, 통신 업종의 주가가 부진하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세 차례의 장기 셧다운 사례에서 셧다운 기간 동안의 주가 수익률과 종료 직후 30일 주가 수익률간 음의 관계가 나타난 바 있다"면서 "즉 실물경제에 심각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한 셧다운 이슈는 단기 심리적 이슈에 불과하며 이는 오히려 차익거래의 기회"라고 진단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체불 임금 미지급 및 인력 감축에 대한 위협이 지속될 경우 시장에 대한 영향이 보다 심화되거나 장기화될 수 있다고 했다.
미국 백악관 예산관리국은 GEFTA가 자동 보상을 규정한 법률이 아니라며 연방 공무원들의 체불 임금 미지급 가능성을 암시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이는 실제 이행 여부와 관계없이 소비를 제약할 수 있는 요인"이라며 "연방 정부 고용인원 약 300만명 중 약 50.8%가 연봉 5만~10만달러 수준의 중산층(중위소득의 2/3~2배 내)이며 이들의 가계 평균 지출액이 약 72,927달러 수준임을 고려할 때 임금 미지급 또는 해고는 즉각적인 실물 경제 영향을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따라서 "투자자들은 불확실성을 감수하기보다는 사태 진전을 지켜보면서 대응하는 게 적절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美 셧다운 장기화 불구 위험자산 낙관론 지속...셧다운 단기심리적 이슈 불과해 차익거래 기회 - DB證
이미지 확대보기


美 셧다운 장기화 불구 위험자산 낙관론 지속...셧다운 단기심리적 이슈 불과해 차익거래 기회 - DB證
이미지 확대보기


美 셧다운 장기화 불구 위험자산 낙관론 지속...셧다운 단기심리적 이슈 불과해 차익거래 기회 - DB證
이미지 확대보기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