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 2026년에도 호황은 지속될 것. 이익 성장의 강도도 그만큼 높아질 것.
* Valuation Trap에 갇힐 필요는 없다는 판단. 산업 생태계 변화에 주목.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 상향. 반도체 매수의견 유지.
■ 모두가 원한다
DRAM 구매 경쟁이 심화되고 있고, 그만큼 단기 업황은 강화. 시장의 관심은 사이클이 얼마나 연장될 수 있을지에 있을 것. 당사는 2026년 메모리반도체 시장규모가 2,784억 달러 (y-y +40%)에 이를 것으로 전망.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이익 전망도 상향이 필요.
1) 공급의 Discipline 지속: 재고가 부족하고, 고객 수요가 상향되고 있는 만큼 공급업계의 2026년 Capex도 상향될 것. 다만, 과거와 같은 Capex의 급증이 나타나진 않을 것. 절제된 Capex를 통해 수급 환경을 개선해갈 것.
2) HBM의 Capa 잠식 효과: Nvidia에서 HBM4 I/O Speed 스펙 상향을 요청. 모든 다이에서 상위 스펙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만큼 생산은 그만큼 타이트해질 것. 이는 수급과 가격에 긍정적 변화.
3) 새로운 기회가 열린다: SO-CAMM2가 Vera Rubin에 탑재될 예정. 2026년 공급업계의 출하량은 270억 Gb 내외일 것으로 전망 (HBM: 332억 Gb 전망). Grace CPU 때와 달리, 초기 시점부터 한국 반도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예상.
■
더 높은 곳을 향해 나아갈 때
Valuation Trap에 갇혀야 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 우리가 참조하는 Historical Valuation은 과거의 유산. 지금은 Computing System의 변화 속 메모리반도체의 역할이 증가하고 있고, 사업을 대하는 공급업계의 스탠스도 변화. 그렇다면, 그 가치를 추가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
1) Computing System의 변화: AI의 병목을 해결하기 위해선 메모리반도체 기술 혁신이 필요. 월 900K의 웨이퍼가 필요하다는 샘 올트만의 말을 100% 신뢰하긴 어렵지만, 분명한 것은 AI의 병목 해결에 메모리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해졌다는 것. Computing 혁신에 메모리반도체가 핵심 요소라면, 그만큼 산업의 가치도 더 받아야 한다는 판단. 넓어진 메모리반도체의 저변과 고객들의 구매 Budget 상승을 감안 시, Valuation의 상방은 열려 있다고 생각.
2) 공급 대응 구조 변화: 수요에 대한 낙관론만으로 게임에 임하고 있지 않은 상황. 여러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수급 환경을 공급업계에 유리하게 가져가려고 노력 중인 것으로 추정. 변화한 스탠스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할 필요.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목표주가 상향
이익 전망과 Target P/B 상향 분을 감안하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각각 107,000원, 480,000원으로 상향. 급등한 주가에 두려움을 가지기 보다 사이클을 즐겨야 할 때라 생각.
(류형근 대신증권 연구원)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