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보) 美트럼프, '반도체 1대1 생산·수입 매칭' 추진 - WSJ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김경목 기자] 미국 정부가 반도체 제조업체들에 대해 고객사들이 해외에서 수입하는 반도체 물량을 국내 생산으로 충족시키거나, 그렇지 못할 경우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제조의 국내 회귀(리쇼어링)를 강력히 추진하면서 미국 내에서 생산하는 기업에는 약 100%에 달하는 관세를 면제해 주는 인센티브를 제시했다.
기업들이 일정 기간 동안 수입 물량과 동일한 수준의 국내 생산 비율(1:1)을 유지하지 못하면 관세를 물어야 한다고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반도체 업계 경영진들과의 자리에서 이 같은 방안을 논의하며 “경제 안보를 위해 필요할 수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대변인은 WSJ에 “미국은 국가적·경제적 안보에 필수적인 반도체 제품을 외국 수입에 의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로 미국 내외 기업들은 수천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며 미국 내 생산 시설 확대에 나서고 있다.
이번 제안에 따라 기업이 미국 내 반도체 생산을 약속하면, 실제 공장이 완공될 때까지 그 물량만큼 수입에 대해 관세가 면제된다. 또한 초기 생산 능력 확충 과정에서도 혜택이 주어진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른바 '반도체 1대1 생산·수입 매칭'이 현실화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가벨리 펀드의 존 벨튼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실행이 매우 어렵고 수년이 걸릴 것”이라며 “오히려 이미 미국 내 생산공장을 보유한 기업들에 유리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소식에 세계 3위 파운드리 업체인 글로벌파운드리와 인텔의 주가는 각각 8.4%, 4.4% 상승했다. 두 회사는 미국 내 생산 능력을 상당 부분 보유한 몇 안 되는 반도체 제조업체다.
글로벌파운드리는 뉴욕주 몰타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뉴욕과 버몬트주 공장 확장을 포함해 16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추진 중이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