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보) 김용범 "관세협상 타결 이후 미국 측에서 보낸 문서, 예상과 판이하게 달라"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김경목 기자]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관세협상 타결 이후 미국 측에서 보낸 문서가 예상과 판이하게 달랐다고 밝혔다.
그는 24일(현지시간) 뉴욕 주유엔대한민국대표부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간 접견 결과를 브리핑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실장은 “지난 7월 말 350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펀드와 관련해 합의한 내용은 대출·보증 중심에 일부 직접 투자가 포함되는 구조였다”며 “하지만 미국이 이후 전달한 공식 문건은 상당히 직접 지분투자에 가깝게 서술돼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이 강조한 ‘캐시플로우’ 개념을 보면 우리 입장과 다르게 해석되고 있다”며 “이 경우 한국 외환시장에 충격이 발생할 수 있음을 대통령이 직접 짚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이날 접견의 배경에 대해 “원래 베센트 장관이 투자 서밋 기조연설에 참석하려고 했지만 일정상 불참하게 되면서 별도로 대통령을 만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의 메시지와 관련해 그는 “한국과 일본의 상황은 다르며, 한국의 대미 투자 패키지는 상업적 합리성이 담보돼야 하고 한국이 감내할 수 있는 조건이어야 한다는 점을 대통령이 강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통화스왑 문제에 대해 “대통령이 직접 설명했고, 베센트 장관도 경청하며 관계 부처에서 검토하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자동차 관세 문제에 대해서는 “미국은 3500억달러 투자 패키지 MOU 체결이 있어야 관세 인하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라며 “대통령이 환율 등 핵심 포인트를 직접 설명한 것이 협상의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쌀·쇠고기 등 민감 품목은 제외하고 다른 영역에서 실질적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며 “협상 중인 사안이라 구체적 내용을 밝히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이번 접견의 의미에 대해 “대통령이 직접 주무 장관과 만나 핵심 현안을 설명한 것은 긍정적인 계기”라며 “향후 협상이 좋은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