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3일 "투자자들은 정부의 R&D 예산 확대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2026년 정부 R&D 예산은 35.3조원으로 전년 대비 19.3% 증가한 상태다.
이 연구원은 "이번 예산안의 R&D 예산은 최근 10년 이내 연간 최대 상승폭"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세계은행에 따르면 한국의 정부·민간 합산 R&D 지출은 GDP 대비 약 5.2%다.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2위, EU 평균의 두 배 이상"이라며 "정부의 진짜R&D는 ‘기술주도 성장’과 ‘모두의 성장’을 통한 ‘과학기술 기반의 진짜성장 실현’이라는 전략의 성장 동력"이라고 밝혔다.
그는 따라서 "임기 내 25년 4.3%에 불과한 정부 총지출 대비 R&D 투자 비중을 5%로 높이는 것이 목표"라며 "향후 수년간 적극적 예산 투입 기조가 유지될 이유"라고 했다.
R&D 예산 중점 투자 분야로는 첫째, 기술주도 성장 부문에 인공지능, 에너지, 전략기술, 방산, 중소벤처 분야가 있다. 둘째, 모두의 성장 부문엔 기초연구, 인력 양성, 출연기관, 지역성장, 재난안전 분야가 있다. 대부분 분야에서 예산액이 크게 증가했다.
인공지능 예산의 경우 26년 2.3조원(25년 1.1조원)으로 전년 대비 109.1% 증가했다. 26년 세제개편안에서도 첨단산업 R&D 세액공제 분야가 확장됐다. 세제 혜택이 확대된 것인데 국가전략기술에 인공지능이, 신성장•원천기술에 방위산업 분야가 신설됐다. 국가전략, 신성장•원천기술 각각 중소기업은 4~50%, 3~40% 중견 및 대기업은 이보다 10% 낮은 세액 공제율이 적용된다.
이 연구원은 "투자자들은 세액공제가 기업 이익 개선에 직접적 효과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서 R&D 지출 비중 높은 업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KOSPI 지출액 대비 무형자산 처리액 비중은 21년 4.8%에서 24년 3.9%까지 하락했다. 지출이 비용으로 소진된 비중이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회계에선 기업이 R&D를 진행하더라도 개발 단계까지 이어지지 못하면 이를 비용으로 처리한다. 비용 증가로 EPS가 하락할 수 있다.
이 연구원은 "R&D 예산 확대와 세제 혜택은 이런 부담을 완화한다. 정부 예산은 기업의 리스크를 분산시켜 R&D 지출을 늘리도록 유도한다"면서 "세제 혜택은 세액공제를 통해 법인세 부담을 줄여 순이익을 개선하고, 이는 EPS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무형자산으로 처리된 R&D 지출은 당기비용을 줄여 EPS 하락을 완화하며, 세액공제 효과는 실제 현금 유출 감소로 이어져 현금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그는 "세액공제는 예산안 대비 기업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주식시장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면서 "정부는 첨단산업 및 중소기업 중심으로 더 큰 세액공제율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시가총액이 큰 KOSPI보다 KOSDAQ이 해당 정책에서 유리하다고 밝혔다.
KOSDAQ내 매출액 대비 R&D 지출 비중이 높은 세제 혜택 수혜 기대 업종은 헬스케어, S/W, 반도체, IT하드웨어, 디스플레이, 미디어 순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해당 업종내 영업이익 흑자인 528개 기업 중 중소기업(최근 3년평균 매출액 1,500억원 이하)에 해당하는 종목은 385개로 전체 기업의 대다수인 73%에 해당, 수혜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투자자들, 정부 R&D 예산 확대 섹터와 종목 주목 - 신한證
이미지 확대보기


투자자들, 정부 R&D 예산 확대 섹터와 종목 주목 - 신한證
이미지 확대보기


투자자들, 정부 R&D 예산 확대 섹터와 종목 주목 - 신한證
이미지 확대보기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