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 이창용 "금융안정 고려해 인하 시기 조율...내년 상반기까지 금리인하 기조 유지 가능성 커"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신동수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8일 기자간담회에서 "금융안정이 필요해 금리인하 시기를 조율하는 등 소극적 금리 인하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현재 상황에서 금리를 빨리 내릴 경우 경기를 올리는 긍정효과보다 부동산 가격을 더 올리고 가계부채 더 올리는 부작용 더 심해서 시기를 잘 조정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정부 부동산 정책 등과의 공조 필요성도 금리인하 시기 조정 요인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물가 안정 상황에선 경기, 금융안정 상충 보면서 조율한다"며 "금융안정을 매번 보고 있는데 지금 금융안정은 부동산을 말하는데 환율 등 다른 변수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낮은 성장률을 보면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인하 기조 유지 가능성 크지만 내년 하반기에도 금리 인하 기조 갈 것인지는 그 때 가서 판단할 것"이라며 "현재 상황에서 최종 금리를 말하는 것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향후 통화정책과 관련해 "안정된 물가 흐름 속 낮은 성장세가 예상돼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갈 필요 있으나 시기와 폭은 향후 데이터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8월 금통위에서 금통위원 중 5명이 동결, 1명이 25bp 인하를 주장했지만 3개월 포워드 가이던스에서는 5명이 인하 가능성 열어두기, 1명이 동결 입장을 나타냈다.
이번 금리동결 결정에서 25bp 인하를 주장한 위원은 신성환이었다.
■ 금리 동결 5명, 인하소수 의견 1명...금융안정 확인 필요 우세
이 총재는 "동결을 주장한 금통위원 5명은 6.27 정책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충분한 안정 확인이 필요한 데다 정책 공조를 감안해 미국 정책 상황 등 대내외 정책 상황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었다"고 전했다.
반면 신성환 위원은 부동산 상승 주춤해졌고 연준 금리 인하 가능성도 높아 선제 인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 총재는"5명은 잠재수준보다 낮은 성장세가 예상되어 인하 필요성을, 1명은 향후 데이터 보겠지만 금융안정 확인 시간이 필요해 기준금리 유지 입장을 보였다" 밝혔다.
이 총재는 "낮은 성장률을 보면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인하 기조 유지 가능성 크지만 내년 하반기에도 금리 인하 기조 갈 것인지는 그 때 가서 판단할 것"이라며 "현재 상황에서 최종금리 말하는 것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현재 상황에서 금리를 빨리 내릴 경우 경기를 올리는 긍정효과보다 부동산 가격을 더 올리고 가계부채 더 올리는 부작용 더 심해서 타이밍을 잘 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한은 금리로 집값 잡을 수 없지만 유동성을 과감히 공급함으로써 집값 상승 기대에 기여하지는 않겠다"며 "분위기를 더 올리는 건 막아야 하기에 소극적으로 금리인하에 나서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물가 안정 상황에선 경기, 금융안정 상충을 보면서 조율한다"며 "금융안정을 매번 보고 있는데 지금 금융안정은 부동산을 말하는데 환율 등 다른 변수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내외 금리차와 관련해서는 "기계적으로 보지 않고 환율은 1400원 아래서 변동성이 좀 있다"며 "미국 상황 따라 환율 변동성 커질 것이란 견해도 많이 있어 여러 요인을 같이 보면서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정부 부동산 정책 등과 공조 필요성으로 금리인하 시기가 조정되고 있다"고 밝혔다.
■ 금리인하 실기 아니야...실질금리 다른 선진국 보다 낮은 수준
금리인하 실기와 관련해서는 이 총재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까지 100bp를 빠르게, 선제적으로 인하했다"며 "국제적으로 봐도 실질금리를 보면 우리가 다른 선진국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GDP갭과 관련해선 "좀더 확대되다가 내년 하반기부터는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가면서 갭이 좀 줄지 않을까 생각된다. 내년 중반쯤 다시 평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관세가 생각보다 잘 안착되면 좋을 것"이라며 "반도체 관세 크게 부과되지 않는다면, 생각보다 반도체 사이클이 계속되고 있어 경기 상방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예산안에서 재정지출이 예상보다 크면 단기적으로는 경제성장률의 상방 조정 가능성이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할지는 중장기 이슈로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동수 기자 dsshin@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