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보) 美FOMC, 기준금리 4.25~4.50% 동결…파월 "9월 결정은 9월에 할 것"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김경목 기자]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30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4.25~4.50%로 유지했다. 5회 연속 동결이다.
최근 수입 관세 인상과 관련해 수입업체, 소매업체, 소비자 간 비용 분담이 향후 인플레이션과 고용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신중히 고려한 결정이었다. 이러한 변수들은 연준이 향후 금리인하 재개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전망이다.
이날 미셸 보먼,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금리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표를 행사했다. 두 명 이상의 연준 이사가 FOMC 회의에서 반대표를 행사한 것은 1993년 이후 처음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관세 영향의 불확실성에 대해 "관세는 이론적으로 인플레이션에 일시적 영향을 미친다"면서도 "과정의 끝에 가까워졌다는 느낌이 안들고 인플레이션에 더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일시적인 물가 상승이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연준의 목표라며 "너무 빨리 움직이면 인플레이션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해 다시 금리를 인상해야 할 수 있고, 너무 늦게 움직이면 노동시장에 불필요한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부 반대표가 나온 것에 대해서는 "대다수 위원은 적당한 긴축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9월 회의 전까지 두차례 고용·물가지표가 발표될 것이다. 다음 회의 때까지 데이터 명확할지 정말 말하기 어렵다"며 "현재 정책은 적당하게 제약적인 수준으로 9월 결정은 9월에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이 나온 이후 미국선물시장은 9월 금리 동결 가능성을 인하보다 더 높게 반영하기 시작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시장은 뉴욕 오후 5시 40분 전후 연준이 9월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전장 35.4%에서 54.3%로 크게 높여 반영했다.
연준은 현재 관세가 물가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면밀히 분석 중이다. 지난 1~2년 간 인플레이션은 점차 진정됐지만, 연준은 섣불리 물가 안정을 선언하기보다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물가 상승세가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기업들이 관세 인상으로 인한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기 시작하면 다시 인플레이션이 자극될 수 있다는 우려도 보인다.
파월 의장은 "관세가 물가 지표의 일부 항목에 반영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며 "영향이 나타나는 데 시간이 걸리며 더 깊이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예상치를 웃돌았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계절 조정 기준 2분기 GDP 성장률은 전분기 대비 연율 3.0% 증가하며 1분기 성장률 -0.5%에서 반등했다. 시장 예상치는 2.5% 증가였다. 다만 민간 수요 지표는 1.2%로 전분기(1.9%)보다 둔화됐다.
WSJ는 "이번 7월 회의는 지난 6개월간 이어진 금리 동결 기조에 균열이 생겼음을 보여준다"며 "향후 관건은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기보다 경기 위축을 초래하는 쪽으로 작용할 것인지 여부다. 데이터 흐름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연준 내 의견 대립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리처드 클라리다 전 연준 부의장은 "현재의 데이터 흐름이 확연히 나빠지거나 좋아지지 않는다면, 파월 의장은 금리 조정을 미루는 쪽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