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07-12 (토)

[자료] 미국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에 보낸 서한 (원문과 번역)

  • 입력 2025-07-08 08:14
  • 장태민 기자
댓글
0
[뉴스콤 장태민 기자] Dear President,

It is a great honor for me to send this letter to you. This letter demonstrates the strength and commitment of our trade relationship, and shows that the United States has agreed to continue to cooperate with South Korea despite your great country and significant trade deficit.

We have decided to move forward with your country. However, this is based on more balanced and fair trade (TRADE). Therefore, we invite you to participate in the extraordinary economy of the United States, the world's number one market.

We have been discussing our trade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for years. We have concluded that we need to change course now to address the long-running trade deficit due to South Korea's tariffs and non-tariffs, policies and trade barriers. Unfortunately, our trade relationship was far from reciprocal.

From August 1, 2025, we will impose a 25% tariff on all Korean products imported into the United States, apart from sector-specific tariffs. Higher tariffs will be applied to transferred goods to avoid higher tariffs. Please understand that the figure of 25% is far below the level needed to bridge the trade deficit gap with your country.

As you know, there will be no tariffs at all if Korea or Korean companies decide to manufacture or assemble their products in the United States, and we will take all possible measures to ensure that the necessary approval process can be handled quickly, professionally, and routinely, that is, within weeks.

If for any reason you decide to increase Korea's (U.S.) tariffs, no matter how much you choose to increase the tariffs, it will be added to the 25% we have imposed on Korea.

Please understand that these tariffs are a measure to correct the unsustainable trade deficit caused by Korea's longstanding tariffs, non-tariffs, policies, and trade barriers. This deficit is a significant threat to our economy and national security.

We look forward to working together as trading partners with your country for a long time to come. If you want to open up your trade market to the United States, and remove your tariffs, non-tariffs, policies, and trade barriers, we will probably consider an adjustment to this letter.

These tariffs can be adjusted upward or downwar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 and your country. Your country will never be disappointed with the United States.

I wish you good luck and good things together,
with all one's heart

<번역>

대통령께,

이 편지를 대통령께 드릴 수 있게 되어 매우 영광입니다. 이 편지는 우리 양국 간 무역 관계의 강인함과 헌신을 보여주며, 미국이 귀국과의 상당한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과 계속 협력하기로 동의했음을 나타냅니다.

우리는 귀국과의 관계를 계속 이어가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보다 균형 잡히고 공정한 무역을 기반으로 합니다. 따라서 세계 최고의 시장인 미국의 뛰어난 경제에 귀국이 참여하기를 초대합니다.

우리는 수년간 대한민국과의 무역 관계에 대해 논의해왔습니다. 우리는 한국의 관세 및 비관세, 정책, 무역 장벽으로 인한 장기적인 무역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이제는 방향을 바꿔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불행히도, 우리 무역 관계는 상호적이지 못했습니다.

2025년 8월 1일부터,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한국산 제품에 대해, 특정 산업별 관세를 제외하고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입니다. 더 높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이전된 상품에는 더 높은 관세가 적용될 것입니다. 25%라는 수치가 귀국과의 무역 적자 격차를 해소하기에 필요한 수준보다 훨씬 낮은 것임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알다시피, 만약 한국이나 한국 기업이 미국 내에서 제품을 제조하거나 조립하기로 결정한다면, 관세는 전혀 부과되지 않을 것입니다. 또한 필요한 승인 절차가 몇 주 이내에 신속하고 전문적이며 일상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모든 가능한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만약 어떤 이유로든 귀국이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기로 결정한다면, 그 인상분은 우리가 한국에 부과한 25%에 추가될 것입니다.

이 관세는 한국의 오랜 관세, 비관세, 정책, 무역 장벽으로 인해 발생한 지속 불가능한 무역 적자를 바로잡기 위한 조치임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적자는 우리 경제와 국가 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앞으로도 귀국과 오랜 기간 무역 파트너로서 함께 일하기를 기대합니다. 만약 귀국이 미국에 무역 시장을 개방하고, 관세, 비관세, 정책, 무역 장벽을 제거한다면, 우리는 이 서한의 내용을 조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관세는 우리와 귀국의 관계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조정될 수 있습니다. 귀국은 결코 미국에 실망하지 않을 것입니다.

대통령과 귀국에 행운과 좋은 일이 함께하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