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07-01 (화)

부동산 매매 ‘상호주의’ 시행되지 않아 문제...중국인 등 외국인 부동산 매입 제한법 국회 제출 - 고동진 의원

  • 입력 2025-05-28 08:42
  • 장태민 기자
댓글
0
[뉴스콤 장태민 기자] 외국인의 한국 부동산 매입 관련한 '상호주의'를 적용하는 법안이 제출됐다.

삼성전자 사장 출신인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은 "중국 등 외국인의 부동산 매입을 제한하는 법안을 국회 제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국내에서 부동산을 사들인 외국인은 전년 대비 12% 늘어 1만 7,000명을 넘어섰다.

중국인이 전체의 64.9%인 1만 1,346명으로 외국인 매수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고 의원은 외국인 부동산 매입시 ‘상호주의’를 의무적으로 적용하는 동시에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인천)을 대상으로 ‘외국인 토지거래허가제’를 도입하는 「부동산 거래신고법 개정안」을 27일 국회에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전체 외국인 기준의 지역별로 경기(7,842명), 인천(2,273명), 서울(2,089명), 충남(1,480명) 등 순으로 부동산 매수가 수도권에 집중되는 등 외국 자본의 수도권 부동산 취득이 가속화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경우 우리나라 국민들이 중국 현지의 토지를 매입할 수 없고 아파트 등 주택의 경우는 1년 이상 중국에 거주해야 현지 주택을 매수할 수 있는 반면, 중국인은 대한민국의 토지와 아파트를 사실상 큰 제약 없이 살 수 있다.

고 의원은 "이는 현행법에 ‘상호주의 규정’이 존재하지만 ‘임의 규정’으로 돼 있고, 정부 측의 관련 하위 법령조차 제정되어 있지 않은 상황 탓에 ‘상호주의’가 실질적으로 시행 및 적용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사실 이런 문제는 그간 많이 지적돼 왔으나 국회는 대응방안 마련에 미온적이었다.

특히 외국인의 부동산 취득은 1998년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전환된 이후, 군사시설보호구역, 생태ㆍ경관보전지역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외국인의 부동산 취득에 제한이 없는 상황이다.

고 의원은 "우리 국민들에 대해 자국 안의 부동산 취득 등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외국 국가의 개인ㆍ법인ㆍ단체 또는 정부에 대하여 대한민국 안의 부동산 취득 등을 금지 또는 제한하는 ‘상호주의’를 의무적으로 적용하는 동시에 ‘수도권 전 지역’을 대상으로 ‘중국 등 외국인 토지거래허가제’를 도입하여 실제 거주 목적 등이 아닌 부동산의 취득은 엄격히 제한하도록 하는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 국민들은 각종 대출규제 등으로 인하여 내 집 마련이 어렵지만, 중국 등 외국인은 자국 금융기관의 대규모 대출 등을 통한 우리나라의 부동산 취득이 상대적으로 수월하다는 역차별 문제와 시세차익을 노린 투기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중국 등 외국에서 우리 국민들에게 부동산 매입 등에 대하여 불합리한 차별을 할 경우, 우리 정부 또한 외국 현지 규제에 상응하는 국내의 외국인 부동산 제한 조치를 조속히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부동산 매매 ‘상호주의’ 시행되지 않아 문제...중국인 등 외국인 부동산 매입 제한법 국회 제출 - 고동진 의원이미지 확대보기


부동산 매매 ‘상호주의’ 시행되지 않아 문제...중국인 등 외국인 부동산 매입 제한법 국회 제출 - 고동진 의원이미지 확대보기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