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지난 주 금융시장 마감 직후 무디스가 미국 신용등급 강등을 발표해 그 여파가 주목되고 있다.
이날 아시아 금융시장이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재료를 반영 중인 가운데 향후 미국 본토의 반응을 다시 확인해야 한다.
아시아 시장 주가는 비교적 제한적인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금리는 다소 올랐다.
■ 무디스도 미국 등급 내리기
무디스는 16일 만성적인 재정적자와 정부부채 증가를 이유로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최고 수준인 ‘Aaa’에서 ‘Aa1’로 한 단계 하향조정했다.
무디스는 글로벌 3대 신평사 중 유일하게 미국에 트리플A 등급을 부여해 왔으나 결국 재정 우려로 등급을 강등한 것이다.
무디스는 지난 10년 이상 기간 동안 미국의 정부부채와 이자지급 비율이 상당히 증가해 비슷한 등급의 국가들보다 현저히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고 우려했다.
미국의 경제와 재정 시스템이 상당한 강점을 지니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재정지표 악화 영향을 완전히 상쇄하기 어려워졌다면서 등급 강등의 이유를 밝혔다.
무디스는 미국의 부채관리 역량을 지켜볼 것이란 입장을 전했다.
무디스는 "행정부와 의회가 대규모 재정적자와 증가하는 이자비용의 추세를 되돌릴 조치에 합의하지 못했다"면서 "앞으로 다년간 의무지출과 적자가 실질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당장 주초 미국 금융시장이 어느 정도의 강도로 반응할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등급 강등이 전해진 시점은 지난주 장 마감 직후여서 시간외 거래에 일부 영향을 줬을 뿐이다. 따라서 이번주 본격적인 시장의 반응 정도를 확인해야 한다.
■ 무디스 미국 등급 강등..."이미 반영된 재료" VS "미국물 경계감 더 키울 것"
미국이 역사적인 재정적자를 기록 중이지만 이런 사실은 모두가 알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무디스의 결정을 과대평가할 필요는 없다는 진단들이 적지 않다.
일부에선 이번 결정을 '정치적'이라면서 수긍하기 어렵다는 주장을 펴기도 한다.
선진국 중 경기 상황이 상대적으로 가장 양호한 데다 다른 선진국 대비 국가부채비율이 특별히 높다고 볼 수 없는 미국을 문제삼는 것은 어색하다는 주장도 있다.
상당수 시장 참가자들은 이번 결정을 '과도하게' 해석할 필요는 없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무디스가 이미 등급 전망을 통해 하락을 예비한 상태였고, 이번에 등급을 내린 뒤엔 전망을 '안정적'으로 제시했기 때문에 과민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다는 진단도 보인다.
국내 금융당국도 일단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데 무게를 둔다.
이날 아침 기재부, 한은, 금융위 등 금융당국 관계자들은 컨퍼런스 콜을 연 뒤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은 다른 신평와 뒤늦게 수준을 맞춘 조치"라며 "무디스가 그간 미국의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평가해 온 점을 감안할 때 어느 정도 예상된 조치로 시장에 미칠 영향은 대체로 제한적일 것"이라고 했다.
금융당국자들은 다만 이번 등급 강등이 주요국과 미국 간의 관세협상, 미국 경제상황 등 기존 대외 불확실성과 함께 단기적으로 금융·외환 시장의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F4 관계기관 간 긴밀한 공조체계를 바탕으로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면밀히 점검해 나가기로 했다.
전체적으로 무디스의 조치를 '후행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무디스의 조치가 주가 하락이나 금리 변동 등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하지만 이번 조치가 미국물의 신용에 대한 의구심을 키울 수 있다는 평가도 보인다.
최근 관세전쟁 와중에 미국채에 대한 신뢰 훼손 가능성 등도 제기된 바 있어 최근의 분위기와 버무려진다면 만만치 않은 변동성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 것이다.
미국물에 대한 신뢰 훼손을 중대하게 보는 쪽에선 금융시장 악순환 가능성을 거론하기도 했다.
프랭클린템플턴은 "투자자들이 미국채에서 다른 안전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옮겨갈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미국 금리 상승과 달러 약세가 나타나고 주식시장이 하락하는 악순환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했다.
■ 美 신용등급 강등과 금융 가격변수 움직임, 과거 사례에서 얻는 힌트
지난 2011년, 2023년 미국 신용등급 강등 사례에서 투자 아이디어를 찾으려는 모습도 보인다.
우선 2011년 8월 5일 S&P가 미국 등급을 내렸을 때는 금융시장이 크게 놀랐다.
당시엔 신평사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내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지 않았다.
그 시절 유럽에선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재정위기가 진행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소식이 전해지자 주가가 순식간에 급락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미국 신용 강등으로 주가가 폭락하자 미국채 가격이 급등했으며 달러도 안전자산선호로 강해졌다.
이후 2023년 피치가 미국 등급을 내렸을 때의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이미 S&P의 등급 인하 경험 등으로 주식시장은 별로 놀라지도 않았다.
2011년 당시엔 S&P500이 6.7% 폭락했지만, 2023년 피치가 내렸을 때 주가가 0.3% 하락하는 데 그쳤다.
미국 국채금리는 2011년 당시엔 주가 폭락에 따른 안전자산선호, 달러자산에 대한 대안 부재 인식 등으로 24 bp 폭락한 바 있다.
하지만 2023년 피치가 등급을 내렸던 당시엔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이나 국채 물량 증가 움직임 등으로 금리가 상승 압력을 받았다. 8월 1일 피치의 등급 인하 당일엔 금리가 6bp 가량 올랐다.
달러가격은 2011년 미국 신용등급 강등 때는 상승했다. 미국의 등급이 강등됐지만,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으로 달러를 찾는 사람들이 늘었다. 미국 등급 하락을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요인에 따른 안전자산(달러) 수요 증가요인으로 본 것이다.
2023년엔 FOMC의 매파적 스탠스, 유로존 대비 낙관적인 미국 경제 전망 등으로 달러 강세가 이어졌다.
■ 25년 미국 재정 문제와 등급 강등...미국장 반응 주시
최근까지 미국 재정에 대한 우려는 지속돼 왔다.
트럼프가 관세전쟁을 통해 적자를 줄이려는 노력을 하는 것도 재정 문제 때문이다.
하지만 무디스는 미국 신용등급을 낮추면서 미국 정부의 재정적자와 정부부채를 줄이려는 노력을 높게 쳐주지 않았다.
미국의 재정적자는 2024년 GDP의 6.4%에서 2035년 9%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GDP 대비 부채비율은 지난해 98%에서 2035년엔 134%로 상승할 것으로 봤다.
이자비용은 지난해 세입의 18%을 차지하나 2035년에는 30%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향후 미국 정부의 재정 부담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봤다.
임기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는 트럼프 정부에선 '바이든의 무책임한 퍼주기 재정정책' 때문에 이 사달이 났다는 입장을 보였다.
무디스가 미국 재정에 대해 비관적인 평가를 내리자 백악관은 신용등급 강등을 바이든의 탓으로 돌렸다. 4년간 가만이 있던 무디스가 트럼프 정부 들어 등급을 내렸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후행적 조치'라면서 이 조치의 영향은 이미 시장 가격변수에 반영돼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국내 금융시장 입장에선 향후 관건은 미국 시장의 반응, 그리고 미국물에 투자하는 외국인 등 수급 주체의 움직임이라는 진단도 나오고 있다.
증권사의 한 채권딜러는 "미국 등급 강등에 국내 채권, 주식 모두 밀리고 있다. 관건은 오늘밤 미국장 반응"이라며 "아시아 장에서 미국채10년물이 4.5%를 넘어서면서 일단 투자자들을 긴장시킨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관세전쟁 속에 세계 최고의 안전자산으로 군림해왔던 미국채에 대한 신뢰도도 타격을 입었던 만큼 미국 시장 반응이 중요하다"고 했다.
미국 정부, 의회의 부채 관리나 세금 감면 관련 갈등 등을 계속 눈여겨 봐야 한다는 진단도 이어지는 중이다.
주혜원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무디스는 지난 10년간 미국의 부채와 이자지급 비율이 유사 신용등급 국가대비 크게 상승했고 현재의 정책 제안들로는 다년간의 지출 삭감이나 재정건전성 회복 등 실질적으로 필요한 조치들이 이뤄질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했다"면서 "미국 장기금리 상승과 달러약세에 대해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주 연구원은 "2011년과 2023년 경험을 감안할 때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의 자체적 파장보다는 무역전쟁 등 현재 진행 중인 이슈들이 금융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그러나 미 부채한도 합의 지연에 따른 가용예산 고갈시점(X-date)를 앞두고 재정우려가 고조될 수 있다" 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아시아 외환시장의 달러약세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어 미 국채시장과 달러화가 미국의 소버린 리스크 관련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할 우려도 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무디스 美신용등급 강등 보는 투자의 창..."이미 반영된 악재" VS "미국물 경계 더 키울 것"](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51914132303049d94729ce13211255206179.jpg&nmt=59)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무디스 美신용등급 강등 보는 투자의 창..."이미 반영된 악재" VS "미국물 경계 더 키울 것"](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999&simg=2025051914132303049d94729ce13211255206179.jpg&nmt=59)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무디스 美신용등급 강등 보는 투자의 창..."이미 반영된 악재" VS "미국물 경계 더 키울 것"
이미지 확대보기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무디스 美신용등급 강등 보는 투자의 창..."이미 반영된 악재" VS "미국물 경계 더 키울 것"](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51914134109259d94729ce13211255206179.jpg&nmt=59)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무디스 美신용등급 강등 보는 투자의 창..."이미 반영된 악재" VS "미국물 경계 더 키울 것"](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999&simg=2025051914134109259d94729ce13211255206179.jpg&nmt=59)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무디스 美신용등급 강등 보는 투자의 창..."이미 반영된 악재" VS "미국물 경계 더 키울 것"
이미지 확대보기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무디스 美신용등급 강등 보는 투자의 창..."이미 반영된 악재" VS "미국물 경계 더 키울 것"](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51914135509365d94729ce13211255206179.jpg&nmt=59)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무디스 美신용등급 강등 보는 투자의 창..."이미 반영된 악재" VS "미국물 경계 더 키울 것"](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999&simg=2025051914135509365d94729ce13211255206179.jpg&nmt=59)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무디스 美신용등급 강등 보는 투자의 창..."이미 반영된 악재" VS "미국물 경계 더 키울 것"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국제금융센터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무디스 美신용등급 강등 보는 투자의 창..."이미 반영된 악재" VS "미국물 경계 더 키울 것"
이미지 확대보기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