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10-28 (화)

트럼프 인플레 의식 감안하면 금리나 달러 모두 박스권 회귀 공산 커 - 메리츠證

  • 입력 2025-02-13 08:58
  • 장태민 기자
댓글
0
[뉴스콤 장태민 기자] 메리츠증권은 13일 "트럼프가 인플레이션을 의식하고 있고 이 영역에서 바이든 행정부와 차별화를 시킬 의지가 있다는 전제 하에 이민자 정책이나 관세는 공약에 비해 결국 완화된 형태로 구체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승훈 연구원은 "관련한 불확실성이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완화되면서 미 국채 10년 수익률이나 달러화 모두 기존 박스권으로 회귀할 공산이 크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사실 이렇게 해야 인위적인 힘에 의하지 않고 금리를 낮추며 조달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이 유력시되던 작년 10월 이후 취임 직전까지 극대화됐던 소위 트럼프 트레이드는 정점을 지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감세 법안 연장과 재정지출 감축 병행 조합, 연준 독립성 확보와 10년물 국채 금리 타겟, 이민자 추방의 한계점 제기, 관세 관련 말바꾸기 속 적용과 유예 반복, 인플레이션을 의식하는 행보 등이 부각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정부 효율부(DOGE)의 역할과 10년물 국채 금리 하향 안정화 방안에 대해서는 뚜렷한 윤곽이 보이지 않으나, 이민자 추방이 나름의 한계점을 지니고 관세가 타국과의 협상 카드 내지는 압박 수단으로 쓰여 지면서 취임 직전까지 우려했던 Full Trump2.0의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민자 정책의 경우 1) 추방 대상 이민자 소재 파악의 문제, 2) 특수한 사정이 있는 이민자 추방의 어려움, 3) 비용(구금/환송)과 제도(법률로 규정한 사안)의 한계점이 존재한다고 했다.

그는 "더욱이 급격한 이민자 추방은 임금 상승을 통해 인플레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트럼프가 공언한 연간 100~200만 명 추방보다는 보수적인 숫자를 생각하는 것이 옳다"고 풀이했다.

관세의 경우 수 일 내로 발표될 상호관세가 불공정 무역 시정의 목적을 띨 수 있지만 타국의 무역관행 시정으로 연결될 지, 목적이 다른 데 있을 지 여부가 불분명하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 수입 확대는 기대할 수 있지만 상대국의 보복이 미국 경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면 효과는 반감될 수 있다"면서 "무엇보다 관세의 전면적 확대, 특히 소비재에 대한 적용은 소비자물가 인플레이션을 촉발하는 요인이며 물가를 잡겠다는 트럼프의 공언과 배치된다"고 밝혔다.

이어 "관세를 촉매로 상대국으로부터 원하는 바를 미국이 얻어낸다면 극적인 관세 유예나 철회 가능성이 항상 있음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인플레 의식 감안하면 금리나 달러 모두 박스권 회귀 공산 커 - 메리츠證이미지 확대보기


트럼프 인플레 의식 감안하면 금리나 달러 모두 박스권 회귀 공산 커 - 메리츠證이미지 확대보기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