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11-13 (목)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中 10월 CPI 3개월 만에 반등…“연휴 효과 따른 일시적 상승” 관측 우세

  • 입력 2025-11-10 10:46
  • 김경목 기자
댓글
0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中 10월 CPI 3개월 만에 반등…“연휴 효과 따른 일시적 상승” 관측 우세이미지 확대보기
[뉴스콤 김경목 기자] 중국의 소비자물가가 두 달 연속 이어진 하락세에서 벗어나 3개월 만에 반등했다.

국경절과 중추절 연휴 기간 여행·식품 수요가 급증한 데다 정부의 내수 진작 정책이 효과를 보이기 시작한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시장에서는 이번 상승세를 '일시적 반등'으로 평가하며 근본적인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압력은 여전히 남아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9일 발표한 자료에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2%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9월의 0.3% 하락에서 반등한 것으로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관계자 전망치(-0.1%)를 웃돌았다. 전월 대비로는 0.2% 올라 상승 폭이 0.1%포인트 확대됐다.

국가통계국 둥리쥔 도시통계처 수석통계사는 “내수 확대 정책의 지속적 효과와 국경절·중추절 연휴 영향으로 소비가 크게 진작됐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서비스 가격은 전월 0.3% 하락에서 0.2% 상승으로 전환되며 CPI 상승을 견인했다. 연휴 기간 여행 수요 급증으로 호텔 숙박료, 항공권, 관광 가격이 각각 8.6%, 4.5%, 2.5% 오르며 계절적 수준을 웃돌았다.

식품 가격은 전년 대비 2.9% 하락했으나, 전월 대비로는 0.2% 상승 전환됐다. 신선 채소·양고기·과일·수산물 가격이 0.5~4.3% 상승했고, 산업 소비재 가격은 안정세 속에 0.3% 올랐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대비 1.2% 상승해 6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2.1% 하락해 37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다만 하락 폭은 9월(-2.3%)보다 0.2%포인트 줄었다. 전월 대비로는 0.1% 상승하며 올해 들어 처음 반등했다. 석탄 채굴, 비철금속 제련, 반도체 등 일부 산업의 수급 개선이 반등을 견인했다.

시장 관계자들은 이번 CPI 반등이 구조적 회복의 신호라기보다는 ‘연휴 효과’에 따른 일시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보고서에서 “10월 물가 상승은 황금연휴로 인한 계절적 수요 증가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며 “지속 가능성은 아직 불확실하다”고 진단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의 에릭 주 애널리스트도 “소비자물가 반등은 일시적 인플레이션에 불과하며 근본적인 디플레이션 압력은 여전하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지난 수개월간 디플레이션 우려에 시달려왔다. 8월과 9월 CPI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GDP 디플레이터 역시 2년 넘게 하락세를 이어오며 1993년 이후 최장 기간을 기록 중이다. 낮은 물가와 둔화된 소비 심리는 기업 수익성 악화와 경기 둔화를 동시에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이에 중국 정부는 내수 확대와 산업 경쟁 완화, 소비 진작 정책을 병행하며 대응에 나서고 있다. 둥리쥔 통계사는 “내수 확대 정책과 산업 구조조정의 효과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도이체방크는 중국의 경기 회복세를 일부 반영해 올해 4분기 GDP 성장률 전망치를 4.6%로, 연간 성장률 전망을 5%로 상향 조정했다. 이들은 “추가 재정지출 5,000억위안이 인프라 투자에 투입되고 지방정부 재정 여력 확충이 이어질 것”이라며 “이는 4분기와 내년 초 경기 회복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장에서는 당분간 중국의 저물가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본다. 골든크레딧레이팅 인터내셔널의 펑린 연구개발본부 전무는 “현재 물가 수준은 안정적이며 통화·재정정책 여력이 충분하다”며 “11월 중국 CPI는 전년 대비 약 0.6%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국 10월 CPI 반등은 중국 정부의 내수 진작책과 연휴 수요 증가가 맞물린 결과로 해석된다. 다만 시장 관계자들은 “단기적 개선 신호보다는 중장기적으로 소비 회복의 확실한 추세 전환이 필요하다”며 “정책 지속성과 구조 개혁이 물가 안정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