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11.4.)
|
□ 지금부터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10월 소비자물가동향 및 주요 특징] [소관 품목별 가격동향 및 대응방향]
□ 오늘 발표된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4%를 기록했습니다.
ㅇ 작년도 기저효과*와 함께 잦은 강우, 장기 연휴로
일부 농산물 가격과 숙박·여행 등 서비스 가격이 상승하였습니다.
* ‘24.10월 과일(전월비 △8.3%), 석유류(전월비 △2.3%) 가격이 낮았던데 따른 기저효과
□ 정부는 “민생경제의 핵심”인 생활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하겠습니다.
ㅇ 특히, 갑작스러운 추위 등 기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관리해 나가겠습니다.
[김장재료 수급안정 대책]
□ 우선 김장철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가용수단을 총동원하겠습니다.
ㅇ
배추와 무는 정부 가용물량을 4만 7천톤 이상 공급하고
고추, 마늘, 양파와 소금도 5천여톤을 집중 방출하겠습니다.
ㅇ
김장철 할인행사에 역대 최대 규모인 500억원을 투입하여 김장채소와 새우젓, 돼지고기 등을 최대 50%까지 할인합니다.
□ 아울러, 관계부처가 품목별 가격과 수급상황을 상시 점검하면서 필요시에는 추가 대응방안도 즉시 마련하겠습니다.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
□ 농산물*에 이어 수산물 유통구조도 근본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 발표(9.15일, 경제관계장관회의)
□ 2030년까지 유통비용률 10% 절감을 목표로 유통경로를 간소화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스마트수산업으로 신속히 전환해 나가겠습니다.
ㅇ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를 위해 판매자 가입요건을 완화*하고 거래 품목을 2배 이상 확대(60→134종)합니다.
* 거래규모 연간 20억원 제한 규정 삭제, 산지 중도매인 판매자 등록 허용 등
ㅇ ‘28년까지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5곳*을 조성하고,
AI 기반 수산물 수급예측모형을 신속히 개발하겠습니다.
* (’25) 강원(연어) / (‘26) 포항(연어), 신안(새우), 제주(넙치) / (’28) 당진(바다송어)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