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서비스
전체기사
주식
채권
외환
국제경제
국내경제
부동산
원자재
가상자산
칼럼
닫기
검색
Updated : 2025-04-30 (수)
회원가입
로그인
메뉴
검색
페이스북
네이버
유튜브
부동산
[자료] 이복현 "PF 연착륙시 국내 금융에 대한 해외 신뢰강화 큰 도움...5월 중 건설업계 추가 간담회"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5.16일(목) 오전 10시 서울 본원, 뉴욕·런던 사무소를 화상으로 연결하여 시장동향 점검회의를 개최◦ 부동산 및 금융시장 전문가와 함께 부동산 PF 연착륙 방안 발표(5.13일) 이후 시장 상황...
2024-05-16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주택거래 증가에 늘어나는 가계대출...그리고 한은의 부채관리 의지
4월 은행 가계대출이 최근 들어 가장 두드러진 증가세를 나타냈다. 이번주 한은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4월 은행 가계대출은 5.1조원 늘어났다. 이는 2월의 1.9조원 증가나 3월의 1.7조원 감소에서 큰폭 증가한 것이...
2024-05-14
금감원 "부동산 PF 사업장 규모, 재구조화·정리 대상 확정 어려워"
금융감독원은 14일 "부동산 PF 사업장 규모, 재구조화·정리 대상은 확정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일부 언론이 "5000여 곳에 달하는 전체 부동산 PF 사업장 가운데 부실 우려에 해당하는 900여 곳이 구조조정...
2024-05-14
[코멘트] PF, 질서있는 연착륙의 시작 - 메리츠證
■ 질서있는 연착륙의 시작금융당국은 5월 13일 ‘부동산 PF의 질서 있는 연착륙을 위한 향후 정책 방향’발표. 1)정상 사업장에 대해서는 자금공급 강화, 2)사업성 부족 사업장에 대해 재구조화, 정리를 지원하는 것...
2024-05-14
[자료] 정부, PF 연착륙 방안 Q&A
2024-05-13
[자료] PF 정상화 지원 위한 금융사 인센티브 제공방안
2024-05-13
[자료] PF 사업성 평가기준 개선방안
2024-05-13
[자료] 부동산 PF 질서있는 연착륙 위한 정책방향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은 그간 추진해 온 부동산 PF 연착륙 조치를 확대‧보완한 「부동산 PF의 질서있는 연착륙을 위한 향후 정책 방향」을 발표하였습니다. 1 추진배경 정부는 '22년 하반기 이후부...
2024-05-13
(장태민 칼럼) 야당 원내대표의 '똘똘한 한 채' 밀기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지난 8일 "1주택이면서 실제 거주한다면 종부세 과세대상에서 빠져야 한다"고 밝혀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당시 박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는 국민 수용성을 고려하지 않고 이념적 ...
2024-05-13
(상보) 높은 주택임대료 탓 연준 금리인하 못할 수도 - WSJ
높은 주택임대료 탓에 연준이 금리인하를 못할 수도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 보도했다. 다만 올해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주춤하지만 결국 금리를 인하하려는 연준 계획은 흔들리지 않았다고 했다. 주택비용...
2024-05-13
KB기준 서울 아파트 주간상승률 0.00%...상승 전환 조짐
KB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 주간상승률이 0.00% 보합을 나타냈다. 최근 약보합 흐름을 지속한 뒤 이제 상승 전환을 앞두고 있는 모습이다. KB국민은행의 월요일(6일) 기준 주간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최근 서울 아파...
2024-05-10
(장태민 칼럼) 미국 외에서 먼저 시작되는 금리 인하
선진국 금리 인하가 스위스, 스웨덴에서 영국, 유로존 등으로 번져갈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경제가 너무 잘 나간 탓에 미국의 금리 인하는 미뤄지고 다른 나라들부터 금리를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금융시...
2024-05-10
[자료] 하반기 건설, 리빌딩 타임...PF 칼대야 하는 시기 - 대신證
<2024년 하반기 건설업 전망> * 지방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 증가함에 따라 신규 착공 위축되어 미착공 브릿지론 누적. 6~12개월 단위로 PF 차환 리스크 위험이 반복되는 형태. 지난 2년의 선행지표 부진에 따른...
2024-05-10
중국 주가 급등엔 부동산주 큰 역할 했으나 부동산 추가부양책 필요 - 메리츠證
메리츠증권은 9일 "중국 주식시장의 급등에는 부동산주 급등이 한 몫 했으나 추가 부양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최설화 연구원은 "중국 부동산주가 간만에 급등한 것은 4월 말 정치국회의에서 부동산 정책...
2024-05-09
美CPI 주거비 항목과 시장가격 연동성 높아지면서 하반기엔 하방 압력 - 메리츠證
메리츠증권은 8일 "미국 CPI 주거비 항목의 시장가격과의 연동성이 높아지면서 하반기에는 전반적인 주거비 물가의 하방 압력이 더 강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자가주거비는 임대료 대비 상승 압력이...
2024-05-08
[자료] 김소영 "한국 금융시장 확고히 안정된 상황...부동산 PF 정상화, 기업 밸류업 등 차질없이 추진"
김소영 부위원장, 외국계 금융회사(IB 등)와 비디오 컨퍼런스를 통해 한국 금융시장 현황 및 주요정책 추진상황 공유- 한국 금융시장은 확고히 안정된 상황, 연체율 상승 우려할 상황 아냐 -- 부동산 PF 정상화, 기업...
2024-05-07
KB기준 서울 아파트 한주간 0.02% 하락해 약보합 흐름...전셋값은 0.10% 상승
KB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약보합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3일 국민은행의 월요일(29일) 기준 주간주택시장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한 주간 0.0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주간 변동률은...
2024-05-03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장태민 칼럼
(장태민 칼럼) 이국종의 절규
(장태민 칼럼) 한은 보고서가 부른 재정지출 승수 논란
(장태민 칼럼) '통상관료' 한덕수와 '대권주자' 한덕수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관세전쟁 속 주목받는 빅테크 '가이던스'...그리고 수출국가 한국의 심상치 않은 4월 데이터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레벨부담·외인 선물매수 속 국고3년 2.3% 대치...그리고 금리인하 컨센서스 하향 조정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1분기 '마이너스' 성장과 불확실한 미래..관세·추경·정치 등 불확실 요인 여전
김형호의 채권산책
[김형호의 채권산책] 10yr vs. 30yr UST
한미간 채권금리 역전폭이 사상 최대로 커졌다. 2025.4.25일 현재 30년물 국고채와 UST 금리는 각각 2.472%와 4.710%로...
[김형호의 채권산책] 삼척블루파워 제12회
2025.4.17일 삼척블루파워 제12회(3년물, 1,500억원, 월이자지급)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낙찰금리는 발행일 개별종목 민...
[김형호의 채권산책] 콘텐트리중앙 제23회 사모CB(신종)
2025.4.11일 콘텐트리중앙이 제23회 사모CB(신종)를 300억원 발행했다. 콘텐트리중앙은 SLL중앙과 메가박스중앙을 보...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파월·관세·실적’ 촉각
이번 주(현지시간 14~18일) 뉴욕주식시장이 미국의 관세 정책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 발언을 주시하며, 상승세...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고용·파월·관세’ 촉각
이번 주(현지시간 3월31~4월4일) 뉴욕주식시장이 상호관세와 미국 월간고용 발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
[장안나의 월가전망대] 엔비디아·FOMC 촉각
이번 주(현지시간 17~21일) 뉴욕주식시장이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및 엔비디아의 개발자콘퍼런스(GTC)에...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연준 인사들, 관세발 불확실성 속 '인내심' 강조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트럼프, 시진핑 칭찬하며 중국과 관세협상 의지 드러내
[김경목의 월드이코노미] 中, 미국에 34% 맞불 관세..글로벌 주가지수 급락세